겹말 손질 649 : 나 자신



나는 나 자신에게 묻고 있다

→ 나는 나한테 묻는다

→ 나는 바로 나한테 묻는다

→ 나는 스스로 묻는다


나 : 1. 말하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2. 남이 아닌 자기 자신 3. [철학] = 자아(自我)

자신(自身) : 1. 그 사람의 몸 또는 바로 그 사람을 이르는 말 2. 다름이 아니고 앞에서 가리킨 바로 그 사람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자기(自己) : 1. 그 사람 자신 2. [철학] = 자아(自我) 3.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자아(自我) : 1. [심리]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2. [철학] 대상의 세계와 구별된 인식·행위의 주체이며, 체험 내용이 변화해도 동일성을 지속하여, 작용·반응·체험·사고·의욕의 작용을 하는 의식의 통일체



  한국말사전에서 ‘나’를 찾아보면 ‘자기’나 “자기 자신”이나 ‘자아’로 풀이해 버립니다. ‘자기’를 찾아보면 ‘자신’으로 풀이하지요. ‘자신 = 바로 그 사람’으로 풀이하고, ‘자아’는 “자기 자신”이라는 말을 써서 풀이해요. 이렇게 되면 ‘나·자기·자신·자아’는 그만 뒤섞이는 돌림풀이가 됩니다. 지난날에는 사람들이 한자말로 말하지 않았을 테니 “나 자신” 같은 겹말을 쓸 일이 없었으리라 느낍니다. “나 자신”이라는 겹말은 “자기 자신”이라는 겹말 때문에 생겼구나 싶고, “자기 자신”에서 ‘자기’를 ‘나’로 바꾸기만 한 겹말이에요.


  네 낱말이 얽힌 실타래를 살핀다면 ‘나 = 자기 자신’ 또는 ‘나 = 자아’인 얼거리이기 때문에, 거꾸로 ‘자기 자신 = 나’요 ‘자아 = 나’인 얼거리이기도 합니다. 이 얼거리를 살필 수 있다면 “나 자신”이나 “자기 자신”이라는 겹말을 털어내고 ‘나’ 한 마디만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2016.10.12.물.ㅅㄴㄹ



나는 나 자신에게 묻고 있다

→ 나는 나한테 묻는다

→ 나는 스스로 묻는다

→ 나는 바로 나한테 묻는다

《하나가타 미쓰루/고향옥 옮김-용과 함께》(사계절,2006) 89쪽


나 자신을 존중하는 것에서부터 인문학은 시작한다는 말을 기억해 냈다

→ 나를 스스로 높이는 데에서 인문학은 비롯한다는 말을 떠올려 냈다

→ 내가 나를 아끼는 데에서 인문학은 비롯한다는 말을 생각해 냈다

《여고생 미지의 빨간약》(양철북,2015) 24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자기 自己


 자기 본위로 생각하다 → 저를 가운데에 놓고 생각하다

 자기 위주로 말하다 → 저를 으뜸으로 삼고 말하다

 자기를 극복하다 → 나를 이기다

 자기가 가겠다고 했다 → 제가 가겠따고 했다

 자기 고집대로 한다 → 제 고집대로 한다

 자기 방으로 들어갔다 → 제 방으로 들어갔다

 자기 일에 항상 최선을 다한다 → 제 일에 늘 온힘을 다한다

 자기 귀를 의심했다 → 제 귀를 의심했다


  ‘자기(自己)’는 “1. 그 사람 자신 2. [철학] = 자아(自我) 3.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자기’를 풀이하면서 ‘자신·자아’ 같은 다른 한자말이 나오는데, ‘자신(自身)’은 “1. 그 사람의 몸 또는 바로 그 사람을 이르는 말 2. 다름이 아니고 앞에서 가리킨 바로 그 사람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이라 하고, ‘자아(自我)’는 “1. [심리]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2. [철학] 대상의 세계와 구별된 인식·행위의 주체이며, 체험 내용이 변화해도 동일성을 지속하여, 작용·반응·체험·사고·의욕의 작용을 하는 의식의 통일체”라 한답니다.


  그러면 ‘나’는 무엇일까요? ‘나’는 “1. 말하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2. 남이 아닌 자기 자신 3. [철학] = 자아(自我)”라고 뜻풀이를 합니다. 그런데 ‘나 = 자기 자신’으로 풀이한다면, 또 ‘나 3 = 자아’로 풀이한다면, 이 같은 뜻풀이로 ‘나’란 무엇인가를 어느 만큼 알거나 헤아릴 만할까요?


  ‘나 = 자기 자신’이라는 풀이를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이는 ‘자기 자신 = 나’라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나 = 자아’라는 뜻풀이도, 거꾸로 ‘자아 = 나’라는 소리가 되어요. 다시 말해서 ‘자기·자신·자아’라고 하는 세 가지 한자말은 모두 ‘나’를 가리키는 셈입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은 몇 가지 다른 ‘자기’를 싣는데, 다음 여섯 가지 한자말은 쓰임새가 없다고 느낍니다. 이런 한자말은 굳이 쓸 일도 없을 테니 한국말사전에서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2016.10.12.물.ㅅㄴㄹ



자기(自起) : 1.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남 2. 저절로 일어남

자기(自記) : 1. 스스로 기록함 2. 기계가 자동적으로 문자나 부호를 기록함

자기(自棄) : = 자포자기

자기(自欺) : 1. 어떤 말이나 행동에서 자기 양심을 속임 2. 자기가 자기에게 속음

자기(自期) : 마음속으로 스스로 기약함

자기(紫氣) : 1. 자줏빛의 기운 2. 상서로운 기운



아이들은 자기 앞에 놓인 과자를 물끄럼말끄럼 바라보기만 했지요

→ 아이들은 저희 앞에 놓인 과자를 물끄럼말끄럼 바라보기만 했지요

→ 아이들은 제 앞에 놓인 과자를 물끄럼말끄럼 바라보기만 했지요

《팻 허친즈/신형건 옮김-자꾸자꾸 초인종이 울리네》(보물창고,2006) 20쪽


마치 자기가 있는 곳이 어디인지 모르는 것 같았지요

→ 마치 제가 있는 곳이 어디인지 모르는 듯했지요

→ 마치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지 모르는 듯했지요

《엘사 베스코브/김상열 옮김-호기심 많은 꼬마 물고기》(시공주니어,2007) 22쪽


요정 플리 풋이, 자기가 너보다 더 잘한다고 큰소리치더라

→ 요정 플리 풋이, 제가 너보다 더 잘한다고 큰소리치더라

→ 요정 플리 풋이, 너보다 더 잘한다고 큰소리치더라

《엘리너 파전·샬럿 보크/김서정 옮김-줄넘기 요정》(문학과지성사,2010)


자기랑 똑같이 생겼어

→ 저랑 똑같이 생겼어

《홍영우-옹고집》(보리,2011) 9쪽


누군가 정원 문에서 자기를 기다리고 있는 꿈이었죠

→ 누군가 앞뜰 문에서 저를 기다리는 꿈이었죠

→ 누군가 뜨락 문에서 나를 기다리는 꿈이었죠

《필리파 피어스/햇살과나무꾼 옮김-마법 같은 하루》(논장,2012) 23쪽


최승자는 자기 내장을 다 드러내는 사람의 선연한 말을 비수처럼 내던져

→ 최승자는 이녁 내장을 다 드러내는 사람다운 생생한 말을 칼처럼 내던져

→ 최승자는 제 내장을 다 드러내는 사람다운 뚜렷한 말을 날카롭게 내던져

《황현산-우물에서 하늘 보기》(삼인,2015) 187쪽


자기 집의 가사노동을 하는 사람, 자기 가족을 돌보는 일을 하는 사람

→ 우리 집에서 집안일을 하는 사람, 우리 식구를 돌보는 일을 하는 사람

《하승수-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한티재,2015)


아이들은 서로 자기가 먼저라며 앞을 다투어

→ 아이들은 서로 제가 먼저라며 앞을 다투어

→ 아이들은 서로 내가 먼저라며 앞을 다투어

《주디스 커/길상효 옮김-행복해라, 물개》(씨드북,2016) 15쪽


그들은 자신의 손으로 자기 자신의 운명을 택할 수 있고

→ 그들은 제 손으로 제 운명을 고를 수 있고

→ 그들은 손수 제 앞길을 고를 수 있고

《헬렌 러셀/백종인 옮김-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덴마크 사람들》(마로니에북스,2016) 18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놈의


 그놈의 술 → 그놈 술 / 몹쓸 그놈 술

 그놈의 미련 때문에 → 그놈 미련 때문에 / 그 바보 같은 미련 때문에

 죽일 놈의 사랑 → 죽일 놈 같은 사랑

 이놈의 자존심 → 이놈 자존심 / 이 자존심 / 이 얼뜬 자존심

 이놈의 인기 → 이놈 인기 / 이 인기 / 이 대단한 인기


  ‘이놈·그놈·저놈’ 같은 말투에 ‘-의’를 붙인다거나 “망할 놈”이나 “죽을 놈·죽일 놈”에 ‘-의’를 붙이는 말투가 번집니다. 언제나 ‘-의’ 없이 말하기만 하면 되는데, 군더더기처럼 붙을 적에 외려 말씨가 부드럽다고 여기지 싶기도 합니다. ‘망할·죽을·죽일’ 같은 말마디가 앞에 있다면 “망할 놈 같은·죽을 놈 같은·죽일 놈 같은”처럼 손볼 만합니다. 또는 ‘놈의’를 아예 덜 수 있어요. “망할 놈의 사기꾼”이 아닌 “망할 속임수꾼”처럼 말이지요. “이놈의 인기”나 “이놈의 자존심”은 “이 인기”나 “이 자존심”을 거친 느낌으로 힘주어 나타내려는 말투입니다. “이 인기”를 “이의 인기”처럼 ‘-의’를 안 붙인다는 대목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이놈’으로 힘주어 쓰려 한다면 “이놈 인기”라고만 하면 돼요. 또는 “이 대단한 인기”나 “이 놀라운 인기”나 “이 짜증나는 인기”나 “이 커다란 인기”처럼 ‘놈의’가 아닌 꾸밈말을 알맞게 넣어 줍니다. 2016.10.12.물.ㅅㄴㄹ



특히 망할 놈의 낙농 할당제 같은 것들 말이다

→ 더구나 망할 놈 같은 낙농 할당제 따위 말이다

→ 게다가 썩을 낙농 할당제 따위 말이다

→ 무엇보다 어리석은 낙농 할당제 따위 말이다

《크리스 도네르/김경온 옮김-말의 미소》(비룡소,1997) 40쪽


망할 놈의 사기꾼이 또 나타났구나

→ 망할 사기꾼 놈이 또 나타났구나

→ 고약한 놈 같은 속임수꾼이 또 나타났구나

→ 얼어죽을 놈 같은 속임수꾼이 또 나타났구나

→ 괘씸한 속임꾼 놈이 또 나타났구나

→ 못된 속임꾼 놈이 또 나타났구나

《홍영우-옹고집》(보리,2011) 27쪽


요놈의 똥개

→ 요놈 똥개

→ 요 똥개

→ 요 바보 똥개

→ 요 귀여운 똥개

《오인태-돌멩이가 따뜻해졌다》(문학동네,2012) 4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궁리 窮理


 궁리가 서다 → 생각이 서다 / 꾀가 서다

 궁리를 짜내다 → 생각을 짜내다 / 머리를 짜내다

 궁리 끝에 생각해 낸 → 깊이 살핀 끝에 생각해 낸

 궁리도 많고 해결책도 많다 → 생각도 많고 풀이법도 많다

 이리저리 대안을 궁리했다 → 이리저리 새 길을 생각했다

 한참을 궁리한 끝에 → 한참을 헤아린 끝에 / 한참을 생각한 끝에

 무엇을 궁리하고 앉았다 → 무엇을 생각하고 앉았다


  ‘궁리(窮理)’는 “1.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함 2. 마음속으로 이리저리 따져 깊이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을 가리킨다고 해요. ‘연구(硏究)하다’는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하여서 깊이 있게 조사하고 생각하여 진리를 따져 보다”를 가리킵니다. “깊이 있게 생각하여 따지다”가 ‘연구하다’라면 ‘궁리 = 깊이 연구하다’ 같은 말풀이는 겹말입니다. 그리고 두 가지 말풀이를 살피면 ‘궁리 = 생각’이라고 하는 얼거리가 드러납니다. 생각할 적에는 ‘생각’이라 하면 되고, 깊이 생각할 적에는 “깊이 생각한다”나 “곰곰 생각한다”라 하면 돼요. 또는 ‘곰곰생각’처럼 새 낱말을 지어 볼 만합니다. 2016.10.12.물.ㅅㄴㄹ



어떻게 하면 약속을 지키지 않아도 될지 곰곰 궁리하기 시작했지요

→ 어떻게 하면 약속을 지키지 않아도 될지 곰곰 생각해 보았지요

→ 어떻게 하면 다짐을 지키지 않아도 될지 곰곰 헤아려 보았지요

《아서 랜섬·유리 슐레비츠/우미경 옮김-세상에 둘도 없는 바보와 하늘을 나는 배》(시공주니어,1997) 31쪽


잠깐 천장을 올려다보며 선물 받을 방법이 뭐 없을까 궁리해 봐요

→ 잠깐 천장을 올려다보며 선물 받을 길이 뭐 없을까 헤아려 봐요

→ 잠깐 천장을 올려다보며 선물 받을 길이 뭐 없을까 생각해 봐요

→ 잠깐 천장을 올려다보며 선물 받을 길이 뭐 없을까 되짚어 봐요

《케이 톰슨·힐러리 나이트/김이숙 옮김-나야, 엘로이즈, 여기는 뉴욕!》(리드북KIDS,2000) 25쪽


어떻게 할까 궁리하던 차 역시나 운이 좋게도

→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참으로 운이 좋게도

→ 어떻게 할까 헤아리다가 다시금 운이 좋게도

→ 어떻게 할까 돌아보다가 이 또한 운이 좋게도

《사이토 히토리/하연수 옮김-부자의 운》(다산3.0,2012) 28쪽


계절마다 제철 음식을 궁리해서 만들었던 것이다

→ 철마다 그때에 알맞은 밥을 살펴서 지었다

→ 철마다 그때그때 알맞은 밥을 살펴서 지었다

→ 제철 밥을 그때그때 생각해서 지었다

《사노 요코/이지수 옮김-사는 게 뭐라고》(마음산책,2015) 52쪽


새 트렌드를 이용해 돈 벌 궁리만 하는군

→ 새 흐름을 타서 돈 벌 생각만 하는군

→ 새 물결을 타서 돈 벌 꾀만 내는군

→ 새 흐름을 빌어 돈 벌 수만 찾는군

《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2016) 10쪽


어떤 일이든 한참 궁리를 하고 노력하는 습성이 있었다

→ 어떤 일이든 한참 생각을 하고 애쓰는 버릇이 있었다

→ 어떤 일이든 한참 헤아려 보고 힘쓰는 버릇이 있었다

《민종덕-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돌베개,2016) 12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648 : 계절마다 제철 음식



계절마다 제철 음식을

→ 철마다 그때에 알맞은 밥을

→ 제철 밥을 그때그때


계절(季節) :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제철 : 알맞은 시절 ≒ 철

철 : 1. 계절(季節) 2. 한 해 가운데서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나 때 3. = 제철



  한자말 ‘계절’은 한국말로 ‘철’을 가리켜요. “계절마다 제철 음식”을 한다면, “철마다 제철 밥”을 한다는 소리이니 겹말입니다. “철마다 알맞은 밥”이나 “철마다 그때에 알맞은 밥”으로 손질하거나, “제철 밥을 그때그때”로 손질해 줍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살피니 ‘철 = 계절’로 풀이해 놓습니다. 얄궂습니다. 한국말 ‘철’을 똑바로 풀이해 놓고, ‘계절 : → 철’로 다루어야 올바르지요. 2016.10.12.물.ㅅㄴㄹ



계절마다 제철 음식을 궁리해서 만들었던 것이다

→ 철마다 그때에 알맞은 밥을 살펴서 지었다

→ 철마다 그때그때 알맞은 밥을 살펴서 지었다

→ 제철 밥을 그때그때 생각해서 지었다

《사노 요코/이지수 옮김-사는 게 뭐라고》(마음산책,2015) 5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