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허기 虛飢


 허기가 지다 → 배가 고프다 / 배가 허전하다

 허기를 느끼다 → 배고픔을 느끼다

 허기를 채우다 → 빈속을 채우다 / 고픈 배를 채우다

 주먹밥으로 허기를 때우다 → 주먹밥으로 빈석을 때우다

 죽 한 사발로 허기를 달래던 시절 → 죽 한 사발로 배고픔을 달래던 때


  ‘허기(虛飢)’는 “몹시 굶어서 배고픈 느낌”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런 모습을 가리키는 한국말로 ‘굶주리다’하고 ‘배곯다’가 있어요. “허기를 느끼다”는 “배고픔을 느끼다”로 손볼 만한데, “배곯이를 느끼다”처럼 ‘배곯이’라는 낱말을 새롭게 써 볼 수 있습니다. 또는 ‘빈속’이라는 낱말이 있어요. ‘빈속’만으로는 느낌이 옅다 싶으면 ‘텅빈속’처럼 꾸밈말을 붙이는 새 낱말을 지을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는 ‘허기(虛氣)’라는 한자말을 “1. 기운을 가라앉힘 2. 속이 비어 허전한 기운”을 가리킨다면서 싣고, ‘허기(虛器)’라는 한자말을 “1. 쓸모없는 기구 2. 유명무실한 것 3.실권이 없는 벼슬자리”를 가리킨다면서 싣지만, 이러한 한자말은 쓰임새가 없지 싶습니다. 2016.10.11.불.ㅅㄴㄹ



거리에서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5원의 동전을 받기 위해

→ 거리에서 빈 배를 움켜쥐고 5원 동전을 받으려고

→ 거리에서 고픈 배를 움켜쥐고 5원짜리 동전을 받으려고

《최호철-태일이 2》(돌베개,2007) 33쪽


빵 몇 개로는 허기가 나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 빵 몇 조각으로는 배고파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 빵 몇 조각으로는 빈속을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이오덕-종달새 우는 아침》(굴렁쇠,2007) 152쪽


갑자기 허기가 밀려왔다

→ 갑자기 배고픔이 밀려왔다

→ 갑자기 뱃속이 허전했다

《박채란-까매서 안 더워?》(파란자전거,2007) 47쪽


허기진 배를 채우려 먹이통 구석구석을 핥지만

→ 고픈 배를 채우려 먹이통 구석구석을 핥지만

→ 빈 배를 채우려 먹이통 구석구석을 핥지만

→ 꼬르륵거리는 배를 채우려 먹이통 구석구석을 핥지만

《박찬원-꿀젖잠》(고려원북스,2016) 77쪽


떡장수로부터 이삼십 원어치의 떡을 사서 점심으로 허기를 달랜다

→ 떡장수한테서 이삼십 원어치 떡을 사서 점심으로 배고픔을 달랜다

→ 떡장수한테서 이삼십 원어치 떡을 사서 낮밥으로 빈속을 달랜다

《민종덕-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돌베개,2016) 18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별의별


 별의별 고생을 다 하다 → 온갖 고생을 다 하다

 별의별 생각이 다 들어 → 온갖 생각이 다 들어

 별의별 이야기 → 온갖 이야기 / 갖가지 이야기

 별의별 사람 → 온갖 사람 / 갖가지 사람

 별의별 일 → 온갖 일 / 갖은 일 / 이런 일 저런 일

 별의별 물건 → 온갖 물건 / 갖은 물건


  ‘별의별(別-別)’은 “보통과 다른 갖가지의. ≒ 별별”을 뜻한다고 합니다. ‘별별(別別)’은 “= 별의별”이라고 해요. 이 같은 한자말을 굳이 쓸 수도 있을 터이나 한국말에 ‘갖가지’나 ‘온갖’이나 ‘갖은’이 있습니다. 쉽고 부드러이 쓸 수 있는 한국말을 알맞게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6.10.11.불.ㅅㄴㄹ



별의별 곤충이 다 있네

→ 온갖 곤충이 다 있네

→ 갖가지 벌레가 다 있네

《황경택-꼬마 애벌레 말캉이 2》(소나무,2010) 32쪽


뉴턴은 빛을 가지고 별의별 실험을 다 했다

→ 뉴턴은 빛으로 온갖 실험을 다 했다

→ 뉴턴은 빛으로 갖은 실험을 다 했다

《정인경-과학을 읽다》(여문책,2016) 187쪽


관짝같이 좁은 방 안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보니 별의별 생각이 다 났다

→ 관짝같이 좁은 방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보니 온갖 생각이 다 났다

→ 관짝같이 좁은 방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보니 이 생각 저 생각이 다 났다

→ 관짝같이 좁은 방에 누워서 천장을 바라보니 수많은 생각이 다 났다

《민종덕-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돌베개,2016) 35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국가적


 국가적 문제 → 나라 문제

 자국의 국가적인 이익을 위하여 →  제 나라한테 도움이 되도록

 국가적 사업 → 나라일(나랏일)

 국가적 행사 → 나라 행사

 국가적 차원 → 나라 테두리


  ‘국가적(國家的)’은 “1. 국가에 관련되거나 속하는 2. 국가 전체의 규모나 범위에서 하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국가(國家)’는 바로 ‘나라’를 가리키고요. ‘국가’라는 한자말을 꼭 쓰고 싶다면 “국가 기념일”처럼 써 볼 수 있을 텐데, 또 “국가적 문제”는 “국가 문제”로 손질할 수 있을 텐데, “나라 기념일”이나 “나라에서 기리는 날(나라기림날)”이나 “나라 문제”로도 손볼 수 있습니다. 2016.10.11.불.ㅅㄴㄹ



이건 국가적으로 매우 긴박한 상황이네

→ 이건 나라에 매우 진땀나는 상황이네

→ 이 나라로 보아 매우 아찔한 노릇이네

→ 이 나라에 매우 바쁜 일이네

《로알드 달/지혜연 옮김-찰리와 거대한 유리 엘리베이터》(시공주니어,2000) 15쪽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의 공습이 시작되었을 때 국가적으로 ‘반전’운동을 하지 않는가

→ 유고슬라비아에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이 공습을 했을때 나라 안팎으로 ‘반전’ 운동을 하지 않는가

→ 유고슬라비아에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이 공습을 했을때 온나라가 ‘반전’ 운동을 하지 않는가

《오다 마코토/양현혜·이규태 옮김-전쟁인가 평화인가》(녹색평론사,2004) 97쪽


국가적 기념일을 제외하고

→ 국가 기념일을 빼고

→ 나라에서 기리는 날을 빼고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여성농업인의 삶과 전통문화》(심미안,2005) 13쪽


국가적으로 독이 되는

→ 나라에 도움이 안 되는

→ 나라에 나쁜

→ 한 나라에 좋지 않은

《이희진-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소나무,2008) 32쪽


국가적으로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했다

→ 나라에서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했다

→ 나라가 제대로 아껴 주지 못했다

《정경조·정수현-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삼인,2016) 1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물색 物色


 좋은 지점을 물색하며 → 좋은 자리를 찾으며 / 좋은 곳을 고르며

 다른 상인을 물색해서 → 다른 장사꾼을 찾아서 / 다른 장사꾼을 살펴서

 좋은 집을 물색중이다 → 좋은 집을 찾는다 / 좋은 집을 고른다

 여러 방법을 물색하고 있다 → 여러 방법을 찾아본다 / 여러 길을 살핀다


  ‘물색(物色)하다’는 “어떤 기준으로 거기에 알맞은 사람이나 물건, 장소를 고르다. ‘찾아내다’로 순화”를 가리킨다고 해요. 한국말사전 뜻풀이에 나오듯이 ‘찾아내다’로 손볼 수 있고, ‘고르다’나 ‘찾다’나 ‘찾아보다’나 ‘살피다’로 손볼 만합니다. 2016.10.10.달.ㅅㄴㄹ



집안 좋은 배우자감을 물색하기 위해

→ 집안 좋은 배우자감을 찾아내려고

→ 집안 좋은 배우자감을 찾으려고

→ 집안 좋은 배우자감을 살펴보려고

《김선주-한국 교회의 일곱 가지 죄악》(삼인,2009) 138쪽


구입하거나 임대하고자 하든 간에 건물을 물색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 사든 빌리든 건물을 알아보는 가장 나은 길

→ 사든 빌리든 건물을 찾아보는 가장 나은 길

→ 사든 빌리든 건물을 살피는 가장 나은 길

《트래피즈 컬렉티브/황성원 옮김-혁명을 표절하라》(이후,2009) 355쪽


짝짓기가 끝나면 여왕벌은 동면 장소를 물색한다

→ 짝짓기가 끝나면 여왕벌은 겨울잠 자리를 살핀다

→ 짝짓기가 끝나면 여왕벌은 겨울잠 자리를 찾는다

《데이브 굴슨/이준균 옮김-사라진 뒤영벌을 찾아서》(자연과생태,2016) 6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645 : 좋고 긍정적



좋은 거로 생각했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의미라고

→ 좋은 거로 생각했다. 좋고 희망이 담긴 뜻이라고

→ 좋은 거로 생각했다. 좋고 밝은 뜻이라고

→ 좋은 거로 생각했다. 참말로 좋고 밝은 뜻이라고

→ 좋고 밝은 뜻이라고 생각했다


긍정적(肯定的) : 1. 그러하거나 옳다고 인정하는 2. 바람직한

바람직하다 : 바랄 만한 가치가 있다



  ‘긍정적’하고 ‘부정적’은 나란히 쓰이곤 합니다. ‘긍정적 = 좋은’으로 으레 쓰고, ‘부정적 = 나쁜’으로 흔히 써요. 한국말사전을 보면 ‘긍정적 = 좋은’ 같은 말풀이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느낌으로 ‘긍정적 = 좋은’으로 쓰는 셈이지 싶습니다. 보기글처럼 “좋은 거로 생각했다. 긍정적이고”처럼 겹말 얼거리로 쓰기도 해요. 그러나 좋으면 ‘좋은’이라 하면 되고, 나쁘면 ‘나쁜’이라 하면 돼요. 힘주어 말하고 싶다면, “좋은 거로 생각했다. 참말로 좋은”처럼 ‘참말로’ 같은 꾸밈말을 넣어 줍니다. 2016.10.10.달.ㅅㄴㄹ



개발과 발전은 좋은 거로 생각했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의미라고 생각했다

→ 개발과 발전은 좋은 거로 생각했다. 참말로 좋고 밝은 뜻이라고 생각했다

→ 개발과 발전은 좋고 밝은 뜻이라고 생각했다

《이은영-미래로 가는 희망 버스, 행복한 재개발》(분홍고래,2015) 9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