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5.


《삶과 사랑에 빠진 아이처럼》

 디르크 그로서 글/추미란 옮김, 샨티, 2023.5.2.



쉬는 하루이다. 볕바라기를 한다. 바깥마루에 드러눕다가, 씻고서 다시 드러눕다가, 밥을 짓고 집안일을 한다. 기지개를 켠 뒤에 두 아이랑 〈책숲 1005〉를 글월자루에 담는다. 두바퀴를 달려 면소재지 나래터(우체국)를 다녀온다. 얼음을 사서 세 사람한테 건네고서 새삼스레 드러눕는다. 누워서 풀노래를 누린다. 사그락사그락 들리는 풀노래에, 쩌렁쩌렁 퍼지는 풀노래에, 사이사이 섞이는 새노래가 짙푸르다. 《삶과 사랑에 빠진 아이처럼》을 읽었다. “Lass es gut sein”을 우리말로 어떻게 옮길 적에 어울릴까? 참말로 옮긴이한테 묻고 싶다. 책이름을 뜬금없이 붙이려 하지 말고, 이웃말을 우리말로 어질고 참하게 옮기는 길을 헤아리기를 바란다. 아이는 “삶과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 아이는 그저 ‘오늘’을 사랑한다. 아이한테는 ‘삶’이 아닌 ‘오늘’이다. 천천히 자라서 어른이 되면 이때에 비로소 ‘오늘’하고 ‘하루’가 언제나 ‘삶’인 줄 알아보면서 ‘사랑’을 숲빛으로 품고 풀어서 나누는 줄 깨달을 수 있다. 어른이란, 나이 먹은 꼰대가 아닌, 철들어 어질고 슬기로운 이웃이자 동무이다. 책이름을 멋스럽게 붙이면 오히려 줄거리가 엇나간다. 그저 바람을 지켜보고, 이 하루를 가만히 놓아 주면, 바람빛이 온몸에 스며든다.


#Lassesgutsein #DirkGrosse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4.


《지구촌 환경재난》

 박석순 글, 따님, 1994.1.1.



아침 일찍 ‘차상위계층 주택급여’로 집손질을 한다는 분이 왔는데 ‘시골에 맞’거나 ‘볕에 삭지 않을 좋은’ 것(자재)을 안 쓴다고 대놓고 밝힌다. 나라돈을 이렇게 엉터리로 다루면서 마치 ‘가난집을 좋게 고쳐 준다’고 티만 내는구나. 이리하여 올해까지 거의 열 해쯤 우리 집은 ‘집손질’을 안 받는다. 집임자가 스스로 고치도록 하면 되고, ‘줄잡은 돈’에서 깎으면 되는데, 이렇게 하는 일이 없이 으레 집장사꾼이 빼돌리는 길만 수두룩하다. 시골버스를 타고 포두중학교로 간다. 배움터를 코앞에 두고 함박비가 쏟아진다. 길가에 서서 10분쯤 고스란히 맞는다. 오늘은 ‘사이’인 2학년 푸른씨하고 노래꽃수다(시창작교실)를 편다. 고흥에서 만난 푸름이는 스스로 저희 이야기를 안 쓰거나 못 쓴다. 《지구촌 환경재난》을 되읽는다. 어떻게 이아치는지(환경재난)를 갈무리한 우리나라 첫 책일 텐데, 글쓴이는 나중에 풀꽃두레(환경단체)하고 등돌린다. 풀꽃두레가 셈(통계·자료)을 자꾸 속이기 때문이었다지. 나라가 잘못한 짓은 나라를 나무랄 일이다. 그러나 꽤 오래도록 우리나라 풀꽃두레는 들숲바다를 망가뜨리는 햇볕판(태양광)을 ‘친환경’인 듯 밀어댔다. 어떻게 빠른길(고속도로) 지붕이 아닌 ‘파란바다(해상 국립공원)’에다가 햇볕판과 바람개비(풍력발전)를 때려박고서, 시골부터 큰고장까지 또 전깃줄을 마구 박아서 잇는 짓을, 다른 곳도 아닌 풀꽃두레가 손뼉쳐 줄 수 있는가? 딱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핵발전소만 멈춘대서 환경운동이지 않다.

국립공원에다가 태양광과 풍력을 때려박는 짓을

어떻게 환경단체가 오나오냐 하고 넘어가는가?

국립공원에는 케이블카만 막으면 되는가?

아니잖은가?

밀양송전탑만 고압송전탑이 아니다.

전남 경남 시골과 들숲바다에 때려박은 태양광과 풍력을

도시로 잇는 송전탑은 특특고압송전탑이다.

그런데 박석순 씨도 목소리가 외곬로 엇나가서

다 똑같아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6.


《아이들의 풀잎노래》

 양정자 글, 창작과비평사, 1993.6.15.



새벽에 하루를 열고서 부산마실을 한다. 길에서 기다리며, 버스나루에서 기다리며, 시외버스를 타며, 마지막으로 부산에서 시내버스로 갈아타며, 곰곰이 하늘을 보고 마을을 보다가 붓을 쥐고서 노래를 쓴다. 보수동 〈보수서점〉에 먼저 들른다. 먼길을 나서면 얼추 열 시간 즈음 입을 다문다. 길에서 이웃이나 동무를 만나지는 않으니, 첫 말소리를 틀 때까지는 조용히 지낸다. 오늘은 느긋이 책마실을 하고서 ‘곳간’에서 앞으로 펴낼 책을 놓고서 한참 이야기를 한다. 누리글이나 목소리로 생각을 나눌 수도 있되, 얼굴을 보며 느긋이 생각을 나누면, 혼자 헤아릴 적에는 놓친 대목을 알아차리거나 느끼기도 한다. 《아이들의 풀잎노래》를 오랜만에 되읽다가, 1993년만 해도 한창 매질을 하던 때이기는 했으나, 아이들을 때리는 이야기도 버젓이 노래(시)로 흘러서 놀랐다. 쓸쓸하다. 1993년에는 이런 글도 ‘문학’으로 쳤을 테지만, 아이들 뺨을 갈기는 손을 그리는 마음이란, 얼마나 안쓰러운가. 스스로 밝히니 대단하다고 할 수도 있으나, 뺨때리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글로 적으면서 부끄럽지 않았을까? 오늘날 숱한 ‘시인’은 멀쩡한 글을 쓴 적이 없을까? 사람들이 흔히 잊는데, 우리는 2002년에 접어든 무렵에도 ‘주먹나라(폭력세계)’였다.


비록 매 맞고 매 때리는 사이지만

그애 뺨과 내 손의 살이 맞닿는 순간

남모를 애틋한 느낌이 잠깐 오간다

내가 잠깐 복잡한 심정으로 망설이는 사이

눈치 빠른 놈들이 여기저기서 소리친다

“선생님, 제발 살살 때려줘요

성호 여드름 터져요.” (여드름/86∼87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5.


《선생님, 유해 물질이 뭐예요?》

 김신범·배성호 글, 홍윤표 그림, 철수와영희, 2022.7.1.



큰아이랑 노래꽃수다(시창작교실)를 함께한다. 오늘은 고흥 도화면에서 ‘귀제비집’을 돌아보고서 천등산 숲길을 걷기로 한다. 새바라기를 좀 해본 분도 ‘제비집’하고 ‘귀제비집’이 다른 줄 모른다. 여느 제비집만 아는 분은 ‘귀제비집’을 못 알아볼 뿐 아니라 “저게 뭐지?” 하고 쳐다본다. 나만 빼고 다른 분은 모두 쇳덩이(자동차)를 몬다. 잘 걷지 않던 분들이 한여름에 뙤약볕을 즐기면서 멧길을 걸었다. 이러다가 나무그늘로 깃들면 얼마나 시원한가를 다들 새삼스레 느끼신다. 《선생님, 유해 물질이 뭐예요?》를 읽으며 여러모로 아쉬웠다. 첫째, 미리맞기(백신)가 얼마나 끔찍한지를 안 다뤘다. 둘째, 형광등과 엘이디(LED)가 우리 눈을 어떻게 갉는지 안 다뤘다. 셋재, 잿더미(시멘트)하고 석면을 안 다뤘다. 석면은 ‘슬레트’란 이름으로 새마을바람으로 온나라에 마구 밀어댄 쓰레기이다. 오늘날 모든 배움터는 돌흙나무(천연재료)가 아닌 잿더미(시멘트)로 짓는데, 바로 이런 집부터 사납것(유해물질)이게 마련이다. 하나부터 열까지 사납것에다가, 한낮에도 미닫이를 꽁꽁 닫고서 바람이(에어컨)를 틀고 불을 켜는데, 이런 엉터리부터, 아주 작아 보이지만, 늘 우리 둘레를 휘감은 굴레부터 짚고서 고칠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4.


《사랑해 친구야》

 존 그래험 글·토미 드 파올라 그림/고수미 옮김, 미세기, 2009.1.15.



읍내로 저잣마실을 한다. 곳곳에서 새끼 제비를 본다. 늦둥이 제비이다. 처음 고흥에 깃들 무렵 보던 제비에 대면 확 줄었지만, 고흥은 아직 제비가 꽤 찾아오는 고을이다. 제비가 얼마나 사랑스러운가를 느낄 때라야 시골이 살고, 시골이 살 적에 서울(도시)도 산다. 오늘도 별밤이다. 이 별빛에 밤하늘을 누리는 이웃은 어디에 얼마나 있을까. 틀림없이 있을 테지. 불꽃놀이가 아닌 별잔치를 맞이하는 마음은 꼭 있으리라. 맨눈으로 별잔치를 누릴 수 있는 줄 알지 않는다면, 이 삶터에서 무엇을 보거나 느낄까. 《사랑해 친구야》는 “I Love You Mouse”를 옮겼다. 영어 그대로 “쥐야, 사랑해”로 옮기면 더없이 나았으리라. 겉모습이 아닌 마음빛을 읽으려는 어린이 손길하고 숨결을 따사롭게 담은 그림책이다. 허울이 아닌 사랑꽃을 피우고 싶은 어린이 꿈하고 하루를 포근하게 풀어낸 그림책이다. 목소리를 안 높이면서도 이처럼 아름답게 글이며 그림을 여밀 수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를 보면 이쪽도 저쪽도 목소리만 높다. 서로 소리치면서 삿대질에 싸움판이다. 부디 어린이 곁에서 함께 쥐를 동무하면서 도란도란 어우러지는 보금자리를 짓기를 빈다. 잿더미(시멘트)가 아닌, 풀과 흙과 돌과 나무를 품는 둥지를 틀자.


#JohnGraham #TomieDePaola #ILoveYouMous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