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9.

오늘말. 맴돌꽃


나라를 잃은 탓에 떠돌기도 하지만, 처음부터 이 별에는 나라가 따로 없습니다. 나그네새는 금을 긋지 않고서 홀가분합니다. 사람도 토끼도 오소리도 옹기종기 삶터를 누렸습니다. 지렁이나 나무도 저마다 터전을 가꾸었습니다. 작은 집으로 마을을 이룰 적에는 사근사근 어울려요. 곧잘 마실을 다니면서 이웃하고 어울릴 뿐, 떠볼뱅이처럼 흐르지는 않습니다. 이러다가 몇몇 우두머리가 나타나더니, 살림짓기하고 등진 채 땅을 넓혀서 힘으로 거느리고 짓밟는 무리가 불거지고는, 하나둘 집을 잃습니다. 우두머리는 호미나 낫을 안 쥐더군요. 이들은 칼이나 총을 쥐면서 목숨을 갉아요. 구름처럼 몰려다니는 싸울아비는 사랑과 살림을 스스로 저버린 안쓰럽고 딱한 뜨내기입니다. 곁님을 사랑하고 아이를 품을 줄 모르기에 주먹을 휘두르면서 다른 사람들을 괴롭히는 떨꺼둥이입니다. 씨앗은 바람을 타고서 멀리 날아갑니다. 아지랑이는 구름이 되어 어디로든 나아가서 비를 뿌립니다. 해는 뜨고 지면서 온누리를 보듬습니다. 맴돌이별이나 맴돌꽃은 제자리를 잊으면서 어깨동무도 잊습니다. 새터를 짓는 손길을 그립니다. 조용히 옮기는 풀씨를 생각합니다.


ㅅㄴㄹ


구르다·구름·구름같다·구름처럼·굴러다니다·굴러먹다·맴돌다·흐르다·흘러가다·맴돌이·맴돌별·맴돌이별·맴돌꽃·맴돌빛·길살림이·나그네·나그네새·나그네별·나그네꽃·나라를 잃다·떠난이·없다·집없다·집을 잃다·떠돌다·떠돌별·떠돌이별·떠돌새·떠돌이새·떠돌님·떠돌빛·떠돌꽃·떠돌아다니다·떠돌이·떠돌뱅이·떠돌깨비·떠돌꾸러기·떨꺼둥이·한뎃잠이·뜨내기·옮긴이·옮김꽃·새터님·새터벗·사람들·이웃 ← 유민(流民), 디아스포라(Diaspora)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9.

오늘말. 피다


아침에 일어나도 손을 씻고, 저녁에 잠자리에 들어도 손을 씻습니다. 언제나 걸어가는 살림이고, 뚜벅뚜벅 한 발짝씩 나아갑니다. 더 좋게 하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날마다 다시 태어나는 마음일 뿐이고, 늘 거듭나면서 새롭게 눈뜨려고 합니다. 살림살이를 늘리기보다는 손수 새로짓기로 차곡차곡 여미려고 합니다. 익숙하게 잘하는 일을 할 수 있지만, 수수하게 짓는 살림길을 새록새록 익히자고 생각합니다. 확 달라질 수 있고, 하나씩 바꿀 수 있는데, 가만히 물결이 치듯 이 발걸음으로 꾸준히 내닫으려고 합니다. 어디에서나 피는 꽃입니다. 들에서도 숲에서도 마당에서도 피어납니다. 섬에서도 뭍에서도 마을에서도 누구나 살림꽃을 피웁니다. 하루를 살아내기에 하루만큼 살림빛이 자라요. 오늘을 갈무리하면서 오늘 나름대로 북돋아서 차분히 이루는 빛살입니다. 높게 일어나거나 크게 너울거려야 하지 않아요. 알을 깨고 나오는 새끼 새처럼 천천히 기지개를 켭니다. 때로는 달리고 때로는 쉬면서, 서로 어깨동무로 내다보는 이 길을 갑니다. 봄도 여름도 꽃철입니다. 가을도 겨울도 열매철입니다. 마음을 열고 꿈을 펼치면서 온누리가 환합니다.


ㅅㄴㄹ


나아가다·나아지다·낫다·뻗다·좋아지다·가다·굴러가다·걸어가다·뚜벅이·흐르다·달리다·내달리다·내닫다·내딛다·치닫다·발걸음·걸음·앞걸음·움직이다·한걸음 나아가다·거듭나다·다시 태어나다·살리다·새로 태어나다·기지개·날개돋이·껍질벗다·눈뜨다·알깨기·늘다·늘어나다·붙다·불다·불거지다·너울·물결·높다·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일으키다·달라지다·바꾸다·무르익다·배우다·익히다·꽃철·곱다·봄·봄날·봄철·아름답다·빛·빛나다·빛접다·환하다·훤하다·새롭다·새뜸·해돋이·해뜸·새로가다·새로걷다·새로서다·새로짓다·새로찾다·새로하다·생기다·생겨나다·서다·쓸만하다·퍼뜨리다·퍼지다·펼치다·피다·피우다·피어나다·살림꽃·살림멋·살림빛·삶빛·열다·트다·이루다·이룩하다·이르다·되다·잘되다·잘하다·자라다·자라나다·커지다·크다·키우다·북돋우다·손씻기·잘못씻기·착한길 가다·착해지다·허물씻이 ← 발전(發展)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8.

오늘말. 밀어내다


사랑은 어느 누구도 밀어내지 않습니다. 사랑이 아니니 몰아내려고 합니다. 사랑이 없기에 끌어내리려 합니다. 사랑하고 등지기에 따돌리고, 사랑을 잊기에 돌릴 뿐 아니라 깎아내립니다. 사랑이 흐르는 자리에는 싸움이 없습니다. 싸우지 않기에 사랑이지 않아요. 싸움질을 녹여서 어깨동무로 풀고 잇기에 사랑입니다. 그러니, 사랑자리에는 이기는 이도 지는 이도 비기는 이도 없습니다. 사랑자리에는 ‘사랑이·사랑님·사랑꽃’이 있습니다. 사랑에는 첫째나 둘째가 없지만, 사랑이 아닌 곳에는 둘째에 셋째에 꼴찌를 가르고, 으뜸하고 버금을 나눠요. 사랑으로 살림을 한다면 앞쪽이나 뒤쪽을 두지 않아요. 사랑하고 너무 먼 탓에 아랫사람을 부리고 윗사람이라며 거들먹거립니다. 어떻게 아랫놈이 있겠습니까. 어떻게 윗분을 모셔야겠습니까. 우리는 늘 이다음을 바라볼 노릇입니다. 다음꽃 노릇을 할 아이를 헤아릴 일입니다. 삶자리 밑바닥을 든든히 이루는 수수한 이웃을 생각할 하루입니다. 길미에 따라 남을 깎는 짓을 멈춰야지요. 남한테 허물을 씌우는 재갈질을 끝내야지요. 스스로 마음자리에 사랑씨앗을 심고서, 스스로 살아숨쉬는 넋으로 깨어나야지요.


ㅅㄴㄹ


다음·다음꽃·다음길·두걸음·둘째·둘째가다·둘째치다·버금·버금가다·버금이·버금별·버금빛·버금자리·버금님·뒤쪽·뒤켠·뒷자락·뒷물·뒷자리·뒷칸·밑사람·밑바닥사람·밑자리·밑쪽·아래·아래대·아래쪽·아랫길·아랫물·아랫자리·아랫칸·아랫켠·아랫사람·아랫내기·아랫님·아랫분·아랫놈 ← 이등시민

산묻이·막묻이·마구묻이·파묻다·집어넣다·덮어씌우다·들씌우다·씌우다·묻히다·몰아내다·밀어내다·끌어내리다·따돌리다·돌리다·깎아내리다·깎다 ← 생매장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천의 


 천의 매력을 발산한다 → 갖가지로 사로잡는다 / 즈믄빛으로 홀린다

 천의 색깔인 양 → 끝없는 빛깔인 듯 / 온갖 빛깔인 듯


  ‘천(千)’은 “백의 열 배가 되는 수 ≒ 일천”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천 + -의’ 얼거리라면, 먼저 ‘즈믄’이나 ‘즈믄길·즈믄꽃·즈믄빛’으로 손보면서 ‘-의’를 털 만한데, ‘가지가지·갖가지·갖은’이나 ‘갖은길·갖은빛·갖은빛깔’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온갖·숱하다’나 ‘가없다·그지없다·끝없다’로 손보아도 돼요. ㅅㄴㄹ



플라톤의 ‘이데아’라는 이 괴물은 천의 얼굴을 지닌 데다가

→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라는 녀석은 갖은 얼굴인데다가

→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라는 놈은 온갖 얼굴인데다가

→ 플라톤 ‘이데아’는 숱한 얼굴을 하는데다가

《윤구병의 존재론 강의, 있음과 없음》(윤구병, 보리, 2003) 44쪽


천 명의 아이가 쓴 천 편의 시는 천의 얼굴처럼 다 다를 것이 당연하다

→ 즈믄 아이가 쓴 노래 즈믄 자락은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 즈믄 아이가 쓴 즈믄 가지 노래는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아동시론》(이오덕, 굴렁쇠, 2006) 27쪽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천의 매력을 가진 도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어요

→ 아주 오래된 고장으로, 즈믄빛이 흐른다고도 여겨요

→ 아주 오래된 고을로, 즈믄 가지로 아름답다고 여겨요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김미조, 철수와영희, 2024) 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취미


 엄마의 취미라면 자전거이다 → 엄마는 두바퀴를 좋아한다

 오빠의 취미로 뜨개질이 있다 → 오빠는 뜨개질을 즐긴다


  ‘취미(趣味)’는 “1. 전문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즐기기 위하여 하는 일 2. 아름다운 대상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힘 3. 감흥을 느끼어 마음이 당기는 멋”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취미’ 얼개라면 ‘-의’부터털고서, ‘좋다·좋아하다’나 ‘즐기다·즐길거리’로 손보면 되고, ‘놀다·놀잇감·놀잇거리·놀거리’나 “마음에 들다·마음에 차다·마음이 가다”로 손보아도 됩니다. ‘재미·재미있다’나 ‘멋·맛’이나 ‘기쁘다·반기다’나 ‘가까이하다·곁에 두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할머니의 어릴 적 취미는 하늘과 태양과 구름을 관찰하는 일이었지요

→ 할머니는 어릴 적에 하늘과 해를 구름을 즐겨보았지요

→ 할머니는 어릴 적에 하늘과 해를 구름을 늘 보았지요

《파란 막대 파란 상자》(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이지원 옮김, 사계절, 2004) 18쪽


배두나의 취미는 베이킹과 꽃꽂이다

→ 배두나는 빵굽기와 꽃꽂이를 즐긴다

《두나's 도쿄놀이》(배두나, 테이스트팩토리, 2007) 21쪽


나의 취미생활을 아는 사람들은

→ 내가 즐기는 줄 아는 사람들은

→ 내 놀이를 아는 사람들은

《제주어 마음사전》(현택훈 글·박들 그림, 걷는사람, 2019) 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