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에서 사진노래' 부르는 이야기를 쓰면서 조각조각 나온 사진말을 옮겨 적는다.


..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신나게 놀이하듯이 살면서 ‘사진을 찍는 이야기’를 풀어내어 봅니다. 이론이나 실기라는 테두리가 아니라, 스스로 즐겁게 찍을 적에 그야말로 즐겁게 나누는 사진이 된다고 하는 이야기를 시골노래와 같은 사진노래로 찬찬히 적어서 보여주고자 합니다.



시골버스에서 바닥에 앉아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마음속에 이야기가 남습니다. 그리고 사진 한 장 슬쩍 찍어도 오래도록 이야기가 흐릅니다.



마을 이웃집 할매가 큰파를 다듬는 모습을 가만히 지켜봅니다. 오래도록 흙을 만진 주름진 손으로 큰파를 정갈하게 다듬은 뒤, 다듬고 남은 풀줄기나 비늘껍질은 흙한테 돌려주지요.



즐겁게 노는 아이하고 즐겁게 하루를 누리기에, 내가 찍는 사진은 나 스스로 즐겁네 하는 소리가 나옵니다. 다른 사람은 아무것이 아니라고 보더라도, 아이하고 내가 오늘 하루 어떤 삶을 누렸는가 하는 대목을 길어올릴 수 있으면 ‘즐거운 사진’이 됩니다.



알면 아는 만큼 볼 수 있을 테지만, 몰라도 스스럼없이 보면서 누릴 수 있습니다. 하나씩 새롭게 알고, 하나씩 새롭게 바라보며, 하나씩 새롭게 사진으로도 옮깁니다.



도시에서는 모시풀 한 포기를 보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웬만한 시골에서는 아주 흔하게 봅니다. 시골에서 모시밥 지어 먹는 사람이 드뭅니다. 도시에서도 흔하지는 않겠지요. 그러나 모시풀을 썰어서 넣는 밥맛을 한 번 본 뒤에는, 시골집 둘레에서 신나게 모시풀을 뜯어서 ‘흔한 모시밥’을 먹습니다.



혼자 두 아이를 이끌고 나들이를 다니자면 숨돌릴 겨를이 없다고 할 만하지만, 바로 이렇게 숨돌릴 겨를이 없는 삶이 새로운 이야기로 거듭나기도 합니다.



발에 꿰면 고무신, 작대기에 꽂으면 놀잇감. 시골순이는 언제나 스스로 놀이를 새롭게 지으면서 놀고, 시골 아버지는 아이들하고 함께 놀고 어울리면서 새로운 사진을 얻습니다.



그저 달리기만 해도 재미나다는 아이들을 따라서 달리다가, 이렇게 달리는 놀이를 가만히 바라보다가 찍어도 스스로 재미난 사진이 되겠네 하고 느낍니다. ‘모델’더러 이렇게 움직이거나 저렇게 몸짓을 하라고 할 까닭이 없습니다. 그저 기쁘게 바라보며 함께 사는 이웃으로서 사진 한 장 나누면 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행복하자 2015-08-09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갈길을 몰라 갈팡질팡하고 있을때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습니다.

숲노래 2015-08-09 15:47   좋아요 0 | URL
우리는 서로 아름답게 어깨동무하는 이웃으로
이 지구별에서 산다고 느껴요~
 

마음으로 만나는 사이가 되기에 서로 사진을 찍고, 먼저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이야기와 사랑이기에 사진을 찍는다.


사진기를 목걸이처럼 걸고 다닐 수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나 홀가분하면서 재미있게 사진놀이를 누립니다.


사진은 언제 어디에서나 찍을 수 있습니다? 왜 그러할까요? 마음으로 와닿는 기쁘거나 즐거운 이야기와 삶이 있다면, 참말 누구나 스스럼없이 실컷 찍을 수 있습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조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민식 사진상'이 2015년에 두 번째 수상자를 내놓았다.

그런데 1회 때에도 논란이 많았고

2회 때에는 논란이 훨씬 크다.


사진잡지 <포토닷> 2015년 7월호에 이 문제가 처음으로 나왔고,

2015년 동강사진축제에서 이 문제로 뜨겁게 논쟁이 불거졌다.


며칠 앞서 '최민식 님 둘째 아들'이 신문사 한 곳에

이녁 뜻을 보냈다.


최민식 님 둘째 아들이 올린 글에 '사진상 심사위원'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잘 드러난다.


http://photovil.hani.co.kr/4448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오마이뉴스에 사진이야기를 올리면서 몇 마디 적바림한 사진말 조각 ..



모든 몸짓은 놀이가 되고, 모든 놀이는 어느새 사진이 됩니다.



우리 집 서재이자 도서관은 언제나 책터이면서 놀이터가 됩니다.



삶을 노래할 적에 사진을 노래할 수 있고, 하루를 이루는 모든 살림을 아낄 적에 사진을 즐겁게 찍으면서 누릴 수 있구나 하고 배웁니다.



마당에서 모시풀을 뜯어서 멸치볶음을 하는 밥살림도 얼마든지 사진이 됩니다.



한여름에 땀을 뻘뻘 흘리며 노는 아이들을 바라보는 눈길도 어느새 사진이 됩니다.



우리는 어떤 곳에서 살아갈까요? 아름다운 곳이 있어야 그곳으로 가서 살 수도 있고, 오늘 우리가 사는 곳을 아름답게 가꿀 수도 있습니다.



심부름을 하고 싶은 큰아이한테 칼을 맡기고 파를 끊도록 시킵니다. 곁에서 큰아이 손놀림을 물끄러미 지켜보니, 이 눈길도 고스란히 사진이 됩니다. 



빨래를 해서 마당에 널며 비로소 기지개를 켭니다. 하늘도 볕도 바람도 좋아서 빨래가 잘 마르겠네 하고 생각하다가 마당에 드러누워서 하늘바라기 사진을 한 장 찍으며 놉니다.



다섯 살 작은아이는 '집'을 그렸다고 합니다. 어떤 집일까요? 아이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이야기가 깃든 그림을 오래도록 쳐다보다가 방 한쪽에 붙입니다. 사진은 사진기에 앞서 마음으로 먼저 찍습니다.



할머니가 아이한테 씨앗을 건네는 손길이 애틋해서 마음으로 이 모습을 담다가, 마음으로만 담을 수 없구나 싶어서 얼른 사진기를 들어서 한 장 남깁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조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마이뉴스>에 사진 이야기를 기사로 쓰다가, 몇 가지 '사진말 조각'이 나왔다. 그냥 흘려보내려 하다가, 이 조각 하나를 살뜰히 안고 싶어서 '사진말 조각'이라는 말마디를 가만히 읊어 본다. 조각 조각 조각...


..


언제나 신나게 앞질러 달리는 아이들을 사진으로 담으려면, 아이들보다 더 빨리 앞장서서 달려야 합니다.


훨훨 나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나도 훨훨 날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이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하면서 ‘사진이란 삶을 노래하는 이야기’라고 느껴서, ‘사진노래’ 이야기를 씁니다. 시골에서 네 식구가 올망졸망 어우러지는 삶을 사진으로 노래하는 이야기를 풀어놓아 봅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진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