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숲노래 숨은책 2023.4.3.

헌책읽기 9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1998년 무렵, 둘레에서 신영복 님 책을 읽으라고 하기에 문득 집었다가 놀랐습니다. ‘한자말’ 아닌 ‘한문’이 그득하더군요. 《엽서》(너른마당, 1993)도 《감옥으로부터의 사색》(햇빛출판사, 1988)도 영 손이 안 갔습니다. 이분 책을 찾아 주기를 바란 이웃이 많아 커다란 《엽서》이든 처음 나온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든 헌책집에서 찾아 주기는 하되 여러모로 껄끄러웠습니다. 책을 찾아서 건네며 늘 여쭈었어요. “이분 글이 뭐가 좋나요?” “응? 글이 안 좋아?” “이분 글을 누가 읽을 수 있나요?” “왜? 글이 어려워?” “잘 보셔요. 아무리 뜻이 좋다고 해도 먹물붙이가 아니면 읽을 수 없는 이런 글을 어떻게 좋다고 여길 수 있을까요? 아무리 줄거리가 좋다고 한들 이런 낡은 한문결을 그대로 종이에 찍어도 되나요?” “그건 좀 그러네. 그 대목은 생각해 보지 못 했네.” 얼추 스무 해 만에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다시 펼치지만, ‘천수고 불감불국(天雖高 不敢不局)’이라느니 ‘막견어은 막현어미(莫見於隱 莫顯於微)’라느니 ‘일우(一隅)’나 ‘필신기독(必愼其獨)’이나 ‘모필 서간문(毛筆書簡文)’이라느니, 누가 읽으라고 쓴 글인지 모르겠습니다. 중국스럽고 일본스러운 낡은 말씨를 안 버린다면, 이 나라 이 땅 이 터 이 마을을 새롭게 가꾸면서 어린이한테 물려주는 길을 어질거나 슬기롭거나 참하거나 아름답게 일구지 못 하겠다고 느낍니다. 더구나 ‘구정·설’이란 낱말을 나란히 쓰면서 ‘민속의 날’이란 이름을 나무라는 대목은 좀 어이없습니다.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을 내세우던 노태우만 겨레얼이 빠진 짓일까요? ‘신정·구정’이라는 뜬금없는 한자말이야말로 겨레얼이 빠진 먹물잔치 아닐까요? 책이름에 깃든 ‘-으로부터의 + 사색’은 그냥 일본말입니다. 우리말이 아닙니다. 우리말 ‘생각’을 쓸 생각이나 엄두나 마음이나 빛이나 넋이나 얼을 틔우지 않는다면, 아무리 뜻만 좋은 글을 쓰더라도 스스로 굴레(감옥)에 갇히고 이웃도 가두는 셈입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신영복, 햇빛출판사, 1988.9.1.첫/1993.6.1.중판1쇄)



천수고 불감불국(天雖高 不敢不局), 하늘이 비록 높아도 머리룰 숙이지 않을 수 없으며, 막견어은 막현어미(莫見於隱 莫顯於微), 아무리 육중한 벽으로 위요(圍繞)된 자리라 하더라도 더 높은 시점에 오르고 더 긴 세월이 흐르면 그도 일식(日食)처럼 만인이 보고 있는 자리인 것을…… 저에게 주어진 이 작은 일우(一隅)가 비록 사면이 벽에 의하여 밀폐됨으로써 얻어진 공간이지만, 저는 부단한 성찰과 자기부정(自己否定)의 노력으로 이 닫힌 공간을 무한히 열리는 공간으로 만들어 감으로써 벽을 침묵의 교사로 삼으려 합니다. 필신기독(必愼其獨), 혼자일수록 더 어려운 생각이 듭니다. (227쪽/1977.10.15.)


그뿐만 아니라 어머님께서 전에 써보내 주시던 모필 서간문(毛筆書簡文)의 서체는 지금도 제가 쓰고 있는 한글 서체의 모법(母法)이 되어, 궁체(宮體)와는 사뭇 다른 서민들의 훈훈한 체취를 더해 주고 있읍니다. 어머님은 붓글씨에 있어서도 저의 스승인 셈입니다. (280쪽/1983.9.21.)


오늘은 구정입니다. 달력은 29일 밑에다 ‘민속의 날’이라 적어 놓아서 설이란 이름에 담기어 오던 민중적 정서와 얼이 빠져버리고 어딘가 박제(剝製)가 된 듯 메마른 느낌을 금치 못하게 합니다. (296쪽/1987.1.2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674


《公害의 政治經濟學》

 都留重人 글

 이필렬·조홍섭 옮김

 풀빛

 1983.8.20.



  2005년 11월 19일, 헌책집지기님은 “젊은 사람들은 세로쓰기를 잘 안 봐. 가로쓰기만 보지. 그런데 최 선생은 젊은 사람 같지 않아. 세로쓰기도 한자 책도 잘 사서 읽으시네.” “읽을 책을 읽을 뿐인걸요.” “그래, 읽을 책을 읽어야지. 그런데 읽을 책이 뭘까? 요새 책이 하도 안 나가서 걱정이네. 아무리 좋은 책이라 해도 겉에 한자가 적힌 책은 건드리지를 않아.” “속에는 한자를 한 마디도 안 쓰더라도 굳이 책이름에 한자를 적는 분이 많아요. 안타까운 노릇이지만, 물갈이를 하는 셈이지 싶어요. 책은 아까워도 이제는 이렇게 한자로 글자랑을 하는 먹물은 사라져야지요. 한자를 안 쓰더라도 부러 어렵게 쓰는 사람이 아직 많은데, 그런 글도 사라져야겠고요.” “그렇지. 책은 누구나 읽을 수 있어야지. 그런데 좋은 책을 알아보는 눈이 너무 사라져서 장사가 안 되니 힘드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머물다가 버려진 《公害의 政治經濟學》을 헌책으로 찾아서 읽었습니다. 몸글에는 한글로 ‘공해’나 ‘정치경제’로 적는데, 책이름은 굳이 ‘公害·政治經濟學’처럼 한자로 밝혔습니다. 누구나 읽을 글이려면 적어도 한글일 노릇이요, 무늬만 한글이지 않도록 가다듬을 일입니다. 껍데기도 마음도 글도 푸르게 삶으로 거듭나야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685


《우리 학교 도서관》

 김경일 글

 김태우 그림

 동구문화사

 1969.5.25.



  배움책숲(학교도서관)이 없는 어린날을 보냈습니다만, 배움책숲이 없어서 서운하거나 섭섭하지 않았습니다.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인천에서 다니던 1982∼87년뿐 아니라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1988∼93년에도 ‘도서관 = 입시공부방’일 뿐 ‘책을 읽고 나누고 누리는 숲’이지 않았습니다. ‘도서관’ 아닌 ‘도서실’이란 이름인 칸조차 없던 초·중·고등학교를 보냈는데, 고을책숲(시립도서관)이 엉터리인 줄 알았기에 언제나 책집에 가서 책을 읽었어요. 1969년에 나온 《우리 학교 도서관》을 순천에 있는 헌책집에서 보고는 놀랐어요. 이 책은 줄거리도 그림도 일본책을 훔쳤습니다만, 배움책숲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줄 뿐 아니라, 전남 ‘광양서국민학교’에 깃들던 책이고, 제법 빌려읽힌 자국이 남습니다. “책숲을 말하는 책”은 ‘책이란 무엇인가’부터 ‘책이라는 종이꾸러미를 만지거나 다루는 길’에 ‘책을 가려내는 눈길’하고 ‘책을 읽고서 어떻게 삶을 가꾸는가’ 하는 얼거리를 짚을 수 있어야겠지요. 배움책숲이 없더라도 책빛을 들려주고 책넋을 알리고 책밭을 가꾸는 손길을 이야기할 수 있다면, 저마다 스스로 삶빛·삶넋·삶밭을 일구는 어진 매무새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숲에서 온 책이듯, 숲을 배우고 짓는 삶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675


《대한민국 KOREA》

 OEC 편집부 엮음

 United Nations Command Office of the Economic Coordinator for Korea

 1959.5.



 ‘유엔 한국경제조정관실(OEC)’은 잿더미로 무너진 이 나라를 되살리도록 이바지하려고 ‘그들(OEC)’ 일터를 서울에 두고, 혼자 이 나라에 올 수 없으니 한집안이 지낼 살림집을 ‘서울 이태원’에 두었으며, 그들이 누릴 터전도 나란히 놓았습니다. 《대한민국 KOREA》는 1959년 봄에 엮어서 내놓는데, 이 나라가 낯설 사람들한테 이 나라를 알려주려고 엮는 꾸러미에 붙인 땅그림을 보면 ‘Sea of Japan’입니다. 묶음표에 ‘Eastern Sea’라 넣기는 하되, 둘레에서는 으레 ‘일본해’라 했구나 싶어요. 이 꾸러미는 ‘부릉이’를 어떻게 사고 값이 얼마인지 알려주기도 합니다. 옷을 사는 곳이나 놀이터도 알려주는데, ‘그들’이 놀 골프터도 따로 닦은 듯하군요. 골프터 둘레 멧골이 휑합니다. 이즈음 서울 한복판을 보면 남대문도 종로도 부릉이가 거의 없이 사람들이 마음껏 걸어다닙니다. 부릉부릉 넘쳐야 잘산다고 잘못 여기지만, 누구나 호젓하고 넉넉히 걸어다니는 길이야말로 참살림이라고 느껴요. 나라(정부)에서 여민 꾸러미라면 1959년까지 얼마나 발돋움했는지 자랑하려는 모습으로 채웠을 테지만, ‘일하러 온 이웃사람(외국사람)’으로서는 속낯을 들여다보고 살림살이를 건사할 길을 살피고, 집과 마을과 작은가게가 대수롭습니다.


ㅅㄴㄹ


#한국재건 #OEC #경제조정관실 #OfficeofEconomicCoordinator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357


《共生의 社會》

 이봔 일리히 글

 안응렬 옮김

 분도출판사

 1978.8.10.



  자전거를 타지 않는 사람은 자전거길을 어떻게 내야 하는가를 모르거나 생각조차 못합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지 않는 사람은 아이가 즐겁게 꿈꾸면서 아름다이 자라는 길을 모르거나 생각조차 못합니다. 맑은 물하고 바람으로 아픈 몸을 달래면서 튼튼하고 싱그러이 돌보는 길을 걸은 적 없는 사람은 숲을 어디에 왜 어떻게 품고 돌보면서 아낄 적에 넉넉한 살림이 되는가를 모르거나 생각조차 못해요. 배움수렁(입시지옥)이 삶·넋·마을을 어떻게 망가뜨리는가를 모른다면, 배움수렁을 걷어치우는 길로 나라살림을 가꾸지 않겠지요. 《공생의 사회》는 진작에 나왔으나 널리 읽히지는 않았습니다. 이반 일리치 님이 쓴 책이 꽤 읽히기는 했어도 막상 자전거를 타거나 병원을 끊거나 화학약품을 멀리하거나 서울을 떠나거나 졸업장학교를 그만두거나 전문가 노릇을 끝내거나 마을숲을 사랑하거나 아이랑 신나게 노는 어른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반 일리히 님은 ‘글을 어렵게 안 썼’을 테지만, 이녁 글을 한글로 옮길 적마다 어렵고 딱딱하면서 삶내음이 안 흐르는 말씨에 일본 한자말투성이예요. 우리는 두레살림·함께살기·어깨동무를 언제쯤 배우면서 펼 마음을 일으킬까요. 고루 나누기에 곱고, 두루 돌보기에 동무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