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3.


《기계라도 따뜻하게》

 표성배 글, 문학의전당, 2013.5.6.



1999년 8월에 ㅂ출판사에 들어가서 일했다. 2000년 6월에 그만두기까지 책을 참 신나게 팔았다. 길장사(가판)로 하루에 1000자락 넘는 책을 팔기도 했고, 하루에 책을 판 돈이 1000만 원을 넘은 날이 이틀 있었다. 영업부에서 일했기에 으레 헛간과 길바닥이 일터였다. 펴냄터 막내였기에, 편집부에서 ‘작가 선생님 접대’를 한다면서 술자리를 열면, 3차부터는 막내가 ‘작가 선생님’을 부축해서 슬그릇을 비웠고, 택시를 함께 타고서 집까지 모셨다. 이다음에는 밤이나 새벽에 갈 데가 없어서, ‘작가 선생님 집’부터 ‘서울 서교동 펴냄터’까지 걸어가서, 일터에서 쪽잠으로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2025년 펴냄터는 2000년하고 다르리라 본다. 아니, 달라야 한다. 그나저나 ‘새벽일(새벽배송)’을 놓고서 ‘새벽일을 해본 적 없어 보이는 분’들이 말이 참 많다. 시골 할매할배는 으레 03시부터 밭일을 하는데, 흙지기(농사꾼)는 일꾼(노동자)이 아닌가? 《기계라도 따뜻하게》는 매우 잘 나온 땀글(노동문학)이라고 본다. 요새는 땀글을 보기 어렵다. 땀내음을 글로 담는 사람은 가뭇없이 사라졌다. 우리는 ‘노벨문학상’이나 이런저런 글보람(문학상)은 있되, 막상 땀냄새가 사라진 글이 넘친다. 땀흘려야 아이를 돌보고 사랑하는데, 땀내어야 이 삶을 돌아보고 사랑할 텐데.


ㅍㄹㄴ


‘불쌍하다고 금지하지 말라’… 새벽 배송은 내 ‘선택의 노동’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8446?sid=110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들숨날숨 나누기 2025.10.22.물.



사람인 네가 숨을 내쉬기에, 풀씨랑 나무씨가 네 곁으로 다가와서 풀숲과 나무숲을 이루려고 한단다. 풀과 나무는 ‘사람숨(사람 날숨)’을 받아들이고 싶어하거든. 풀과 나무에 깃드는 벌레와 나비와 개구리와 뱀과 새와 짐승도 한마음이야. 다들 사람이 “들숨날숨으로 짓는 사랑이라는 빛씨”를 느끼고 누리고 싶은 마음이지. 그래서 다들 사람 곁으로 다가와서 노래를 베풀어. 기뻐서 노래하고, 반갑게 노래하지. 다 다른 숨붙이는 다 다른 숨결과 숨소리로 노래한단다. 잘 부르거나 못 부르는 노래는 없어. 온누리 온노래는 온사랑을 그리는 온마음을 담아서, 온빛을 그리는 온가락이란다. 사람이 왜 이 별에서 삶을 짓는지 알겠니? 사람이 삶을 짓는 길에 뭇숨결이 왜 함께 어울리며 푸르게 빛나는지 알겠니? 사람 곁으로 왜 숱한 숨붙이가 찾아와서 노래하고 푸르게 일렁이는지 알겠니? 서로 들숨날숨을 편단다. 들숨을 베풀고 날숨을 받아. 들숨을 받고 날숨을 베풀어. 주고받는 동안 한빛을 이뤄. 오가는 사이에 한바람을 일으켜. 다가가고 다가오는 마음이 만나면 아침이 깨어나고 낮이 환하고 저녁이 그윽하고 밤이 밝고 새벽이 새롭단다. 나란히 다가서기에 드나드는 길을 눈빛으로 먼저 내고서, 손빛으로 같이 내고, 다리빛으로 같이 내지. 드나드는 숨빛으로 이 별에서 모두 한몸인 줄 알기에, 함부로 굴 까닭부터 없어. 내 몸짓은 모두 씨를 뿌리는 길이고, 네 몸짓도 언제나 씨를 심는 길이야. 서로서로 받아들여서 바꾸어 가니까, 어떻게 들이쉬고서 내쉴는지 낱낱이 짚고 보아야 해.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안 보는데 2025.10.23.나무.



날아가는 잠자리와 나비를 안 보는데, 잠자리와 나비가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알 턱이 없고, 알려고도 안 하면서, 잠자리 삶터와 나비 살림터를 다 망가뜨려.톡톡 뛰고 가볍게 기는 풀벌레를 안 보는데, 풀벌레가 깃드는 풀숲을 알 일이 없고, 알려고도 안 하면서, 풀숲을 죄 밟아서 죽이지. 안 보는데 느낄 수 없잖아. 안 보니까 못 느끼고 못 배우면서 스스로 갉고 말아. 그런데 “두 눈이 멀쩡하다”는 이들이야말로 안 보거나 못 보는구나. “두 눈으로 본다”는 빛을 잊으면서 길을 잃는 굴레살이라고 여길 만해. 왜 안 보거나 못 보는지 아니? 좋아하거나 좋은 대로 다가가기에 정작 ‘좋아하고 좋은 것’부터 제대로 못 보기 일쑤야. 무엇이든 ‘볼’ 적에는 네 머리가 아닌 눈을 쓸 일인데, 머리를 쓰면서 달아오르면 ‘불타’올라서 눈앞을 가린단다. 이른바 젊음(열정·정열)은 눈앞을 가리는 불이야. 불은 얼핏 빠르게 번지는 듯해도 빠르게 태울 뿐이라서, ‘불눈’으로는 다 태워서 재가 되느라, 못 돌아보고 못 새긴단다. 싫어하고 꺼리는 대로 등지기에 ‘참·거짓’을 못 보고 못 가리는데, 어느 쪽을 등질 적에는 “등지지 않는 다른 쪽”을 “불타오르듯 좋아하고 따르는 몸”이란다. 좋은것도 나쁜것도 아닌, “삶을 걸어오며 스스로 이룬 몸”인 줄 알아차려야 할 노릇이야. 다 다른 모든 삶을 보려고 하기에, 다 다르게 일어나서 이웃으로 선단다. 다 다른 줄 등지면서 안 보니까 서로 담을 쌓고서 한쪽으로만 높여. 자, 헤아려 보렴. 두 다리 가운데 한쪽만 높이고 한쪽을 깎으면 어찌 되니? 왼손·오른손을 나란히 안 쓰면서 한쪽만 쓰면 어찌 될까? 두 눈, 두 다리, 두 손, 두 귀를 안 보고 안 듣고 안 살피니, 바로 기우뚱 무너져서 죽어.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파트값 2025.10.24.쇠.



네가 ‘집’에서 살아가면 ‘집값’을 따지거나 들여다볼 일이 없어. ‘집’이라면, “나중에 옮기려고 한동안 머무는 곳”이 아니야 ‘집’은, “두고두고 뿌리를 내리면서 살림을 지으려고 오래오래 지내는 곳”이란다. 앞으로 100해이든 200해이든 즐겁게 살아갈 집인데, 집값이 내리건 오르건 안 대수롭지. 삶이 안 즐거울 뿐 아니라, 머잖아·곧·이윽고 옮길 데라면 ‘집’이 아니야. 그래서 자꾸 ‘집값’이라는, 알고 보면 ‘아파트값’이라는 ‘겉돈’을 쳐다본단다. 네가 겉얼굴로 사귀고 겉몸으로 어울리고 겉말·겉글로 꾸미고 겉차림으로 눈가림을 한다면 으레 겉돈을 따지겠지. 네가 스스로 하루를 그리고 짓고 나누고 펴는 오늘이라면 ‘살림돈’을 헤아리면서 집을 가꾼단다. 이것저것 세간을 들여놓기에 ‘집가꿈’이라 하지 않아. 네 손길이 하나하나 닿아서 부드럽게 빛나는 일이라서 “집을 가꾼다”고 해. 새로 들이는 세간이 없어도 돼. 조촐하고 조그마한 터를 얻어서 지내도 돼. 아파트값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데에 눈이 사로잡히느라 삶을 잊고 살림을 잃고 사랑을 모른단다. 삶·살림·사랑이 안 자란다면, ‘무늬사람’이로구나. 살갗과 생김새로만 사람이라면 탈(인형)이겠네. 탈놀이마냥 돈장난을 하는 하루에 무엇이 있을까? 살림돈이 아닌 겉돈을 노리는 굴레라면, 10억이건 100억이건 1000억이건 겉돈을 그러모아도 배고프게 마련이야. 쭉정이로 지은 밥을 먹으면 배부를 수 없거든. 겉돈 1000억은 살림돈 1000원하고 댈 수조차 없이 헛바람이란다. 허깨비로 손에 쥔 셈값은 늘 허튼속을 키워. 넌 사람이지 않아? 넌 허깨비이니? 네 집은 어디이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가난한 책읽기

새벽일·새벽배송 (신문배달부도 노동자냐?)



  벌써 스물다섯 해가 흐른 지난일인데 ‘새벽일(새벽배송)’과 얽힌 이야기를 들으면 떠오르는 한마디가 있다. ‘ㄱ노동자문학회’라는 자리에서 ‘ㅂ시인’이 나한테 뱉은 “뭐? 신문배달부도 노동자냐?”라는 한마디인데, ‘노동문학 = 공장문학’이라고만 여기는 마음에서 가볍게 터져나온 말이다. ㅂ시인이 그러더라. 신문배달부도 우유배달부도 가정주부도 ‘구멍가게 할매할배’도 노동자가 아니라고.


  요사이는 달라졌다고 할 테지만, ‘새벽일’을 하는 신문배달부나 우유배달부나 청소부를 ‘일꾼(노동자)’으로 안 치던 땀글(노동문학)이다. 나는 이 한마디를 듣고서 땀글에 등돌리지는 않았으나, 그 뒤로 만난 땀글꾼(노동문학가)은 하나같이 ‘공장노동자’였을 뿐, 온나라 작은일꾼은 없다시피 했다. 또한 ‘살림꾼(가사노동자·가정주부)’도 일꾼(노동자)으로 치지 않던 그들 목소리에 진저리가 나기도 했다. 다만, 요사이는 집안일도 ‘일(노동)’로 여기는 듯하지만, 정작 집안일을 하는 숱한 살림꾼한테 밑일삯(기본소득)을 베풀자고 외치는 목소리는 아직 들은 바 없다.


  시골에는 새벽길(새벽배송)이 없다. 시골은 낮이고 아침이고 저녁이고 길이 훤하다. 읍내라면 아침저녁으로 ‘큰고장에서 시골로 오가는 쇳덩이(출퇴근 자가용)’가 살짝 붐빌 때가 있지만, 이즈음에 나름이(택배노동)로 뛰는 분은 드물다. 시골에서는 아침저녁 1시간만 비끼면 하루 내내 모든 길이 느긋하다.


  시골에는 새뜸(신문)을 새벽이 아닌 낮나절에 받게 마련이다. 서울과 큰고장은 새뜸을 이른새벽에 받는다. 일찍부터 신문배달부와 우유배달부는 ‘새벽일꾼’이다. 이른바 ‘농수산물 경매시장’이 열리기 앞서부터 새벽을 열면서 땀흘린 사람이 신문배달부와 우유배달부와 청소부이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나로서는 ‘새벽길(새벽배송)’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데, 곰곰이 보면, 서울과 큰고장에서는 낮길(낮배송)보다 새벽길이 낫다고 느낀다. 서울과 큰고장은 낮에 얼마나 막히는가? 게다가 낮에는 웬만하면 바깥일을 하느라 집을 비우지 않는가? 서울과 큰고장은 새벽길을 바탕으로 낮에도 따로 하면 될 노릇이라고 본다.


  나라에서 ‘새벽길 안 됨(새벽배송 금지)’이라고 못박는다면, 이미 01∼06시에 땀흘리는 신문배달부와 우유배달부는 어찌해야 할까? 설마 나름이(택배기사)만 새벽에 땀흘린다고 여기지는 않겠지? 어쩌면 아직도 민주노총 사람들 눈에는 오래도록 새벽일을 해온 숱한 사람이 아예 안 보일 수 있고, 새벽일을 하는 숱한 사람은 일꾼(노동자)이 아니라고 볼는지 모른다. (모르는 분이 많아서 덧붙이자면, ‘신문값’에는 ‘배달비’가 미리 붙는다)


  우리 몸은 02∼04시 사이에 가장 맑고 빛난다. 01시나 05시에도 맑고 빛난다. 다만 저녁 20∼21시에 일찍 자고서 01∼03시에 하루를 열어야 몸과 마음이 나란히 빛난다. 모든 불을 다 끄고서 저녁과 한밤(00시)을 지내며 새벽에 하루를 여는 사람은 스스로 튼튼하다. 이미 시골에서 논밭지기는 다들 03시면 하루를 연다. 시골에서 논밭일을 하면서 04시에 일어나면 게으르거나 철없다고 여긴다. 바지런한 시골 논밭지기는 02시부터 하루를 연다. 나는 글쓰는 사람이되, 어릴적부터 신문배달부로 일한 버릇이 들어서, 푸름이 무렵에는 04시 즈음에 일어났고, 스무 살 무렵부터는 02시에 하루를 열며 서른 해 넘게 지낸다. 아이를 둘 낳아서 돌보는 동안에도 언제나 아이랑 저녁에 일찍 눕고서 이른새벽에 일어나서 집안일을 했다.


  새벽에 일어나서 일하기에 몸이 망가질 까닭이 없다. 쉼날을 제대로 안 두고서 돌리니까 몸이 망가진다. 새벽일을 하는 사람한테 저녁일까지 시키니 몸이 망가진다. 새벽일을 하는 사람이 아침과 낮과 저녁에는 포근히 쉴 뿐 아니라, 쉼날을 제대로 세우는 틀을 짜야 ‘길(법·노동자보호법)’이다. 또한 ‘새벽길 안 됨’이라고 못박는다면, 시골 논밭에서 이미 02∼03시부터 논일과 밭일을 하는 일꾼은 어쩌려는 셈인가? ‘농사꾼’은 ‘노동자’가 아니니 안 쳐다봐도 되는가?


  나는 5월 1일을 ‘노동절’로 이름을 바꾸는 일도 못마땅하다. ‘노동자’라는 이름에는 ‘농사꾼’은 아예 안 들어가거든. 그렇다면 ‘농사절’이 있는가? 없다. 집살림을 맡는 살림꾼을 기리는 ‘가사절’이 있는가? 없다. 5월 1일을 제대로 기리려면 ‘노동’이 아니라 ‘일’이라는 우리말을 쓸 노릇이다. ‘일꽃날’이나 ‘일빛날’처럼 담아내면서 어린이와 푸름이 곁으로 다가서려는 마음을 틔워야 한다. 일을 하자. 일 좀 제대로 하자. 2025.11.2.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