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30. 밤 같은 새벽


  밤 한 시에 일어난다. 글일을 추스르고 씻고 물 한 모금 머금고서 짐을 꾸린다. 하루글을 쓴다. 어제도 그제도 일찍 잠드느라 하루글을 이틀 밀렸다. 이제 등짐을 메는 새벽 여섯 시. 큰아이가 일어나서 배웅을 한다. 우리 보금숲에서는 아직 밝은 별을 본다. 겨울 앞둔 들은 조용하다. 낮에는 조롱이도 날고 매도 운다. 기러기에 오리가 작게 무리지어 하늘을 가르기도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파란별은 들숲바다가 가장 넓고 깊다. 제아무리 서울이 커 보여도 시골 작은숲보다 한참  작다.

  새벽에 흰불을 번뜩이며 마구 달리는 쇳덩이가 제법 있다. 이들은 눈에 암것도 안 뵐 수 있다. 눈에 뭐가 뵌다면 진작에 들길이며 골목길을 거닐며 밤과 낮과 새벽과 아침을 온몸으로 누리고 웃으리라. 웃을 줄 모르니 자꾸 밖으로 나가고 손전화에 고개를 박는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책을 안 읽어도 멀거니 하늘과 구름을 보았는데 어느새 다들 하늘빛을 잊다가 잃는다.

   빛은 누구나 속으로 품는다. 볕은 누구나 가슴에서 피어난다. 사랑은 누구나 스스로 심는 생각에서 비롯하여 샘물로 퍼진다. 별을 헤아릴  줄 모르면서 꿈씨를 그리지 않고, 해를 마주하지 않으면서 시름시름 앓는다. 나무는 어떻게 그리 넉넉히 살며 푸르겠는가. 풀은 어떻게 해마다 새로 돋으며 반짝반짝 춤추겠는가. 맨몸으로 해를 먹고 비를 마시고 이슬로 씻고 별하고 노래하기에 노상 튼튼하고 곱다.

  밤 같은 새벽은 지나갔다. 이제 아침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체부 아저씨와 비밀 편지 미래그림책 19
자넷 앨버그 그림, 앨런 앨버그 글, 김상욱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30.

그림책시렁 1041


《우체부 아저씨와 비밀 편지》

 앨런 앨버그 글

 자넷 앨버그 그림

 김상욱 옮김

 미래아이

 2003.5.31.



  요즈음은 종이를 안 써도 된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까지 ‘누리책(디지털 교과서)’을 들이려고 하는 나라입니다. 목돈을 쏟아붓는 길인데, 막상 ‘배움책’에 무엇을 담아야 아이어른이 함께 즐겁게 알차게 배우고 가르칠 만한지는 그닥 안 살피는 듯합니다. 어린이나 푸름이가 굳이 손으로 종이에 스스로 글씨를 새기도록 이끄는 뜻을 잊는 셈입니다. 아무래도 이 아이들이 앞으로 어른으로 클 적에 ‘손수짓기’를 몰라도 된다고 내모는 얼개예요. 스스로 삶을 짓기보다는, 나라가 시키는 대로 따르는 쳇바퀴로 삼으려는 뜻이라고 느낍니다. 《우체부 아저씨와 비밀 편지》는 1986년에 나온 그림책입니다. 한글판은 2003년에 나왔는데 이무렵만 해도 손전화가 꽤 퍼졌습니다. 이제는 꽤 어릴 즈음부터 붓이 아닌 손전화를 눌러대고 들여다보는 아이가 수두룩합니다. 글씨쓰기나 글쓰기는 대단하지 않습니다만, 마음을 기울여서 스스로 펴고 쓰는 동안 마음을 가꾸면서 스스로 빛나게 마련입니다. 아무리 맛나더라도 사다먹는 밥으로는 우리 몸을 못 살려요. 손수 심고 돌보고 가꾸고 거두어서 차리고 갈무리하는 밥살림일 적에 저마다 튼튼히 북돋웁니다. 손수 품고 나누기에 “우리 이야기”가 늘 새롭습니다.


#JanetAhlberg #AllanAhlberg (1986)

#TheJollyPostman #orOtherPeoplesLetters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이 똥꼬에게 - 2008년 제14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비룡소 창작그림책 33
박경효 글 그림 / 비룡소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30.

그림책시렁 1506


《입이 똥꼬에게》

 박경효

 비룡소

 2008.5.29.



  우리 몸은 안 싸웁니다. 우리 몸은 다 다른 곳이 저마다 새롭게 어울립니다. 여러 손가락이며 발가락도 늘 어울립니다. 왼눈하고 오른눈도 어울리고, 왼귀랑 오른귀도 어울려요. 머리도 머리카락도 어울리고, 배꼽도 똥꼬도 어울립니다. 옆구리랑 배랑 종아리도 어울리지요. 허벅지와 뒷꿈치와 어깨도 어울려요. 목이며 가슴이며 등도 어울려요. 어느 하루라도 안 어울리는 몸이라면, 우리는 그만 곧바로 죽습니다. 우리가 숨을 누리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읽고 쓰고 다루고 짓고 빚고 걷고 서고 눕고 자는 모든 길이란, 한결같이 즐거이 어울린다는 뜻입니다. 《입이 똥꼬에게》는 얼핏 우리 몸이 저마다 제몫을 한다는 줄거리를 짠 듯싶습니다만, 처음부터 끝까지 ‘쌈박질’입니다. 설마 우리 몸이 저마다 ‘자랑질’을 할까요? 이 그림책은 마치 ‘싸우는 바보스런 나라’를 몸에 빗댄 듯싶은데, 아이들한테 몸을 들려주거나 보여주거나 알려주기에 너무 안 어울립니다. “늘 어울리며 빛나는 우리 몸”인데 “늘 툭탁거리고 자랑하고 따돌리는 바보짓”으로 줄거리를 짜도 될까요? 마지막에 이르러 자랑질을 멈춘다는 듯 그리지만, 마무리조차도 ‘어쩔 길 없이 봐준다’는 결입니다. 쌈질을 대놓고 드러내는 붓질로 너무 재미만 붙드는군요.


ㅅㄴㄹ


《입이 똥꼬에게》(박경효, 비룡소, 2008)


일 년에 한 번 있는 우리 몸의 생일날

→ 한 해에 하루 우리 몸이 태어난 날

5쪽


음식을 뒤섞으며 맛을 느끼게 해 주지

→ 밥을 뒤섞으며 맛을 느끼지

6쪽


우리 몸에 맑고 신선한 공기를 불어넣는 숨쉬기를 해

→ 우리 몸에 바람을 맑게 불어넣어

→ 우리 몸에 바람이 맑게 스미라고 숨쉬기를 해

7쪽


넌 정말 나의 둘도 없는 친구야

→ 넌 참 둘도 없는 동무야

8쪽


여러 가지 색깔들도 구별할 줄 알아

→ 여러 가지 빛깔도 볼 줄 알아

→ 여러 가지 빛깔도 가릴 줄 알아

9쪽


아마 코부터 다치게 될 거야

→ 아마 코부터 다쳐

11쪽


정말 기분 나쁜 소리군. 저 소린 대체 누가 내는 거야

→ 참 듣기 나쁜 소리군. 저 소린 누가 내나

→ 참 고약한 소리군. 저 소린 누가 내지

15쪽


똥꼬가 더러운 똥을 싸는 중이야

→ 똥꼬가 똥을 눠

15쪽


입은 기분이 좋아 다른 친구들에게 인사하기 시작했지요

→ 입은 즐거워서 다른 동무를 불러요

2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1.15.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이야기》

 정주진 글, 철수와영희, 2024.8.30.



구름이 짙게 깔린 하루. 풀벌레가 모두 떠났을까 했더니, 저녁에 풀개구리가 굵게 울고, 풀벌레 여럿이 가늘게 노래한다. 아직 찬겨울이 아니기에 더 버티는 듯하다. 요 며칠 사이에 ‘과정’이라는 한자말 세 가지를 놓고서 뜻과 결을 갈라서 새삼스레 손질했다. ‘화해(和解)·온화(溫和)·조화(調和)’에 깃드는 한자 ‘화(和)’가 어떤 결인지 큰아이한테 들려준다. 구름이 보름달을 가리지만 밤마을이 훤하다.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이야기》를 읽었다. ‘평화통일’ 같은 이름은 훌륭하다만, 이제 아이들한테는 새말을 여미어서 들려줄 노릇이라고 본다. ‘평화’하고 ‘통일’이라는 한자말을 굳이 쓰면서 뜻을 풀이하지 말자. 처음부터 ‘손잡기’하고 ‘어깨동무’라는 우리말로 이 삶이 무엇인지 이야기하자, 이제는 ‘어울리다’하고 ‘아우르다’라는 우리말로 이 살림이 어떠한지 속삭이자. 오늘부터 ‘나란히’하고 ‘고루·두루’라는 우리말로 생각씨앗을 심자. 미워하거나 싫어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면서 자꾸 “쟤는 저렇게 하니 밉고 싫어” 같은 줄거리를 짠다면 아무래도 평화도 통일도 아니라고 느낀다. 누가 싸울거리(전쟁무기)를 만들어서 돈을 버는지 낱낱이 짚자. 싸움 아닌 사랑이 무엇인지 밝히면 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1.14.


《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글/임미경 옮김, 밝은세상, 2017.12.15.



나래터를 들르고, 저잣마실을 한다. 새벽부터 신나게 일하고 보니 15시 무렵에 이르자 몹시 졸립다. 길에서 책을 읽기는 하지만 글을 쓰지는 못 한다. 다리를 쉴 곳을 찾아서 앉는다. 시골버스에서도 눈을 가만히 감는다. 집으로 돌아와서도 발을 씻고서 자리에 눕는다. 《세 갈래 길》을 한창 읽다가 쉰다. 누구나 다 다르게 태어나서 저마다 다르게 살아간다. 우리 길은 두셋도 너덧도 대여섯도 다른 길이요, 온 갈래나 즈믄 갈래처럼 숱하게 뻗는다. 모를 적에는 모르기에 알아가고, 알 적에는 알기에 새롭게 알려고 한다. 그런데 “모르거나 아는 나”를 고스란히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적에는, 모를 적에도 조금 안 뒤에도 새로 배우지 못 한다고 느낀다. 꼭 어느 길을 골라야 하지는 않는다. 어느 곳에서든 스스로 일어서면서 하루를 가꾸기에 아름답다. 어느 때이든 스스로 일어나면서 오늘을 일구기에 빛난다. 배우려고 가는 길이다. 틀림없이 어느 길을 가되, 하나도 안 배우면서(받아들이면서) 목소리만 앞세울 적에는 그만 안 아름답고 안 빛난다. 안 배우기에 캄캄하다. 배우기에 밝다. 목청만 높이기에 안 아름답다. 살림을 지으면서 이야기를 펴기에 아름답다. 꽃길(행복·소확행)인지 아닌지 따지지 말자. 그저 살림길을 지으면 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