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 (사진책도서관 2015.4.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함께살기》 12호를 석 통 보낸다. 이제 모두 부친다. 지난 11호는 석 통이 돌아왔다. 세 분이 살림집을 옮기셨을까. 살림집을 옮길 적에는 이래저래 바쁘기 마련이니 집을 옮긴다는 말을 미처 못 하기 마련이리라.


  인천에서 처음 도서관을 열던 무렵 찍은 사진 가운데 한 장을 새롭게 돌아본다. 인천 골목 사진을 추려야 해서 살피다가 ‘골목 사진 꾸러미’에서 ‘도서관 사진’이 나온다. 아련하구나 하고 생각하면서 바라본다. 이제 옛자리에는 도서관 간판이 모두 사라지고 없는데, 햇볕가리개는 그대로 있어서, 큰아이가 이곳에서 태어나 무럭무럭 자란 발자국은 아직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내디딜 발자국을 헤아리면서, 그동안 걸어온 발자국을 되새긴다. 씩씩하게 걸어왔으니, 씩씩하게 걸어갈 길이 넓게 펼쳐진다.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제자리에 꽂기 (사진책도서관 2015.3.2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나들이를 마친 뒤, 자전거 마실을 가려는데, 두 아이 모두 ‘본 책’을 책상에 올려놓은 채 나가려 한다. 두 아이를 불러서 ‘본 책은 제자리에’ 놓자고 이야기한다. 큰아이는 큰아이대로 책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작은아이는 작은아이대로 커다란 그림책을 한꺼번에 들고서 제자리에 갖다 놓으려 한다. 너한테는 그 그림책이 가볍지 않을 텐데 하나씩 들고 가서 꽂아야 하지 않을까? 작은아이는 씩씩하게 두 권을 가슴에 안는다. 자동차를 좋아하는 작은아이가 늘 들여다보는 리처드 스캐리 님 그림책을 바닥에 안 떨어뜨리고 잘 들고 가서는 하나씩 잘 꽂는다. 스스로 아끼는 책이라면 스스로 잘 건사한다. 그런데 두 권만 꽂고 두 권은 안 꽂네. 잊었나? 남은 두 권은 내가 제자리에 꽂는다.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함께살기 12호 (사진책도서관 2015.3.2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사진책도서관 이야기책 ‘함께살기’ 12호를 찍었다. 지난 토요일에 택배로 집에 닿았고, 월요일부터 조금씩 부친다. 날마다 조금씩 봉투에 주소와 이름을 적은 뒤, 아이들을 이끌고 면소재지 우체국으로 자전거를 타고 나들이를 간다. 우체국 나들이는 자전거 나들이요, 이야기책을 띄우는 나들이가 되면서, 봄나들이도 된다.


  봉투에 주소와 이름을 적으면, 큰아이는 뭔가 옆에서 거들고 싶어서 이것저것 묻는다. 그래서 봉투에 이야기책 넣는 일을 맡기고, 테이프로 뒤쪽을 붙인 뒤 손톱으로 누르는 일을 맡긴다. 짐을 꾸려 우체국으로 가려는데, 큰아이가 마룻바닥에 봉투를 죽 늘어놓는다. 하나씩 깔면서 숫자를 센다. 네 나름대로 숫자놀이를 하는구나. 언제나 재미나게 놀고, 늘 신나게 뛸 수 있는 마음으로 지내면 아름답다. ‘함께살기’ 12호는 《어린이문학 생각》이다. 어린이문학을 읽으면서 삶과 넋과 말을 함께 읽도록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빈다. 어린이문학을 읽으면서 사진과 책과 도서관도 함께 읽도록 길동무가 된다면 기쁘겠다.


  사진책도서관에는 사진책뿐 아니라 온갖 책이 있다. 왜 온갖 책이 있는가 하면, 온갖 책을 두루 읽으면서 사진을 깊이 읽을 수 있기 때문이요, 사진책을 읽으면서 온갖 삶을 두루 헤아릴 수 있기 때문이다.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돌이가 되는 길 (사진책도서관 2015.3.2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큰아이에 이어 작은아이도 책아이가 될까. 아버지가 앞으로도 책을 붙잡으면서 산다면 책돌이가 되리라. 아버지가 앞으로 책만 붙잡지 않고 다른 것을 헤아린다면, 작은아이도 다른 것을 함께 헤아리면서 새로운 길로 나설 수 있으리라.


  도서관 둘레에 나뒹구는 나무 옆을 콩콩콩 달린다. 쑥이 무럭무럭 돋는다. 도서관 둘레 쑥은 곧 뜯어서 먹을 만큼 자라리라. 나무와 함께 딸기넝쿨도 모조리 파헤쳐졌으나, 군데군데 새 넝쿨이 돋는다. 풀줄기는 더없이 씩씩하다. 아이들도 이 풀줄기처럼 씩씩하다. 해마다 찾아오는 봄을 맞이해서 이 땅에는 새롭게 싹이 트고, 새롭게 트는 싹은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다.


  사람은 책을 읽어야 하는가? 아무렴, 읽어야 한다. 그러면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삶을 아로새긴 책을 읽어야 한다. 종이에 아로새긴 책이 아니라, 우리 가슴에 사랑으로 아로새긴 책을 읽어야 한다. 풀 한 포기를 아끼고, 나무 한 그루를 사랑하며, 흙 한 줌을 돌볼 줄 아는 삶책을 읽어야 한다.


  풀을 함부로 뜯는 사람한테는 사랑이 없다. 나무를 함부로 베어 넘기는 사람한테는 꿈이 없다. 흙을 함부로 짓밟는 사람한테는 삶이 없다. 나는 이 고흥 시골자락에서 다섯 해째 도서관을 꾸리면서 바로 이 세 가지를 또렷하게 느끼고 배운다. 풀과 나무와 흙을 배우려 하지 않고서는 책을 알 수 없고, 풀과 나무와 흙을 정갈히 건사하려 하지 않고서는 사람 되는 길을 걸을 수 없다. 풀과 나무와 흙을 제대로 바라보아서 알려고 하지 않고서는 어른이나 어버이가 될 수 없다. 작은아이가 앞으로 책돌이가 된다면, 바로 이러한 삶책을 읽을 줄 아는 씩씩한 아이로 태어난다는 뜻이다.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라도닷컴> 2015년 3월호에 실은 도서관일기입니다.

..

시골도서관 풀내음
― 여덟 살 어린이 배움터


  우리 집 두 아이한테 시골집은 보금자리이면서 배움터입니다. 여기에 우리 도서관은 책터 구실을 합니다. 두 어버이가 이룬 시골집과 도서관은 아이들한테 보금자리와 배움터와 책터와 놀이터 몫을 톡톡히 합니다. 왜냐하면, 나와 곁님은 우리 네 식구가 아름답게 숲집을 가꾸어 푸른 바람을 마시려 하기 때문입니다.

  둘레에서는 여덟 살 큰아이를 보면서 ‘이제 학교에 가겠네’ 하고 말합니다. 면소재지 초등학교에 넣지 않고 집에서 함께 배우며 가르친다고 얘기하면, ‘그래도 의무교육 아니냐’ 하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것’이 따로 있다고 하십니다. 이러한 말이 틀리지는 않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틀리지는 않을 뿐, 아름답거나 사랑스럽지는 않습니다. 오늘날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것’은 거의 모두 시험공부이고 대학입시이니까요.

  시골에 있는 학교는 아이들을 모두 도시로 보내요. 도시에 있는 대학교나 공장이나 회사에 넣으려고 하는 시골학교입니다. 시골에 그대로 뿌리를 내려서 흙을 짓거나 삶을 가꾸도록 북돋우려는 시골학교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도시에 있는 대학교에 붙으면 마을마다 걸개천을 큼지막하게 붙입니다. 자랑할 만할 테니까요. 7급 공무원이 되어도 마을에 걸개천이 커다랗게 붙습니다. 박사나 석사 학위를 땄어도 읍내에까지 걸개천이 크게 붙어요. 이와 달리, 시골에서 시골지기가 되는 아이가 있다든지, 바닷가에서 고기잡이가 되는 아이가 있으면, 둘레 어른은 이 아이한테 내내 손가락질을 합니다. ‘뭐 할 것이 없어서 시골에 남느냐’ 하고 다그쳐요.

  아이는 도시로 나가서 대학생이 될 수 있고, 도시에서 돈 잘 버는 일자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는 시골에 뿌리를 내리면서 숲집을 가꾸는 푸른 넋이 될 수 있습니다. 어느 길을 가든 아이가 스스로 씩씩하고 즐겁게 걸어갈 수 있으면 됩니다. 나는 곁님과 함께 우리 아이들한테 이러한 길을 밝히려고 시골에서 도서관을 지키면서 책과 삶을 짓습니다.

  《은여우》(학산문화사 펴냄)라는 만화책을 아이와 함께 읽습니다. 새로 나오거나 예전에 나온 만화책은 무척 많지만, 막상 아이와 함께 읽을 만한 만화책을 찾자면 쉽지 않습니다. 사회와 정치에서 어두운 구석을 보여주려 한다면서 전쟁과 폭력과 살곶이를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드러내는 만화책이 있고, ‘학교와 학원을 다니는 겪는’ 이야기만 되풀이하는 만화책이 있으며, ‘가시내는 이쁘장하게 꾸미고 사내는 주먹힘을 뽐내는’ 얼거리에 그치는 만화책이 있습니다. 삶을 사랑하면서 아름다운 숨결로 나아가려는 이야기를 그리는 만화책은 생각보다 퍽 드뭅니다. 따지고 보면, 동화책이나 소설책이나 시집에서도 ‘삶을 사랑하고 아름다운 숨결을 노래하려는 이야기’는 꽤 드물지 싶어요.

  만화책 《은여우》 넷째 권을 보면, ‘일본 신사에서 태어난 가시내’가 ‘집안일 잇기’를 꿈꾸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만화책에 나오는 아이는 “여자라서 처음에는 남편에게 신사를 맡기고, 저는 무녀를 하려고 했는데, 그것보다는 제 스스로 신직이 되어 신사를 잇고 싶어요(4권 138쪽).” 하고 말합니다. 한국 사회로 친다면 ‘사내한테만 물려주는 집안일’을 ‘사내 아닌 가시내’인 아이가 씩씩하게 물려받아서 새롭게 가꾸려 한다는 꿈입니다.

  올해로 여덟 살이 된 큰아이는 이제 시골버스(군내버스)를 탈 적에 따로 찻삯을 냅니다. 읍내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으레 ‘어린이 버스표’를 두 장 끊습니다. 여덟 살 큰아이가 스스로 ‘신호 동백 어린이’라 말하도록 이릅니다. 큰아이는 처음에는 몹시 쑥스러워 했지만, 이제는 다부진 목소리로 말합니다. 한 번 하고 두 번 하고 세 번 하면 차츰 익숙할 테지요. 어엿하게 제자리를 찾고 바라보면서 생각할 테지요.

  시골버스를 타고 읍내로 마실을 갔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는 으레 두 아이가 까무룩 곯아떨어집니다. 작은아이는 아버지한테 기댔다가 어느새 누나한테 기댑니다. 큰아이는 창가에 기댔다가 어느새 서로 기댑니다. 두 아이는 서로 아끼고 보살피는 손길을 천천히 온몸으로 느껴서 배웁니다. 우리 마을 어귀에 닿아 버스에서 내릴 즈음 큰아이는 살그마니 눈을 뜨고 혼자서 내립니다. 작은아이는 아버지 어깨에 안겨 잡니다. 큰아이는 가볍거나 작은 짐이라면 하나 거들겠다고 가져갑니다. 대문을 열어 주겠다면서 앞질러 걷습니다.

  한겨울에도 물총놀이를 하겠다면서 마당에 놓은 고무그릇에 물을 받아 달라고 조릅니다. 날씨가 폭하고 볕이 좋은 날이면 물을 받아 주고, 두 아이는 손이 빨갛게 얼어도 신나게 물놀이를 누립니다. 곧 이 겨울이 저물고 새로운 봄이 찾아오면 손이 덜 얼면서 신나게 물놀이를 하겠지요. 새봄이 무르익고 온 들과 숲에 푸른 물이 들면, 빨래터에서 함께 빨래를 하면서 놀 테고, 골짜기로 자전거를 몰아 골짝물에서 헤엄치며 놀 테지요.

  여덟 살 어린이 배움터를 ‘학교’라고 하는 아주 조그마한 곳에 가둘 마음이 없습니다. 학교는 아이가 삶을 배우는 너른 터전 가운데 아주 작은 곳 가운데 하나라고 느낍니다. 예부터 보금자리가 맨 먼저 배움터이고, 마을이 이 다음 배움터이며, 들과 숲과 바다와 시내와 골짜기가 그 다음 배움터입니다. 보금자리와 마을과 숲을 배움터 자리에서 치우고 오직 학교 한 곳만 배움터 자리에 둔다면, 아이들은 무엇을 보거나 배울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더라도 집에서 사랑과 살림을 늘 지켜보면서 배울 수 있기를 바라요. 아이들이 학교를 오가더라도 마을에서 놀고 숲바람과 바닷내음을 마실 수 있기를 바라요. 온누리 모든 아이가 손수 나무 한 그루 심을 땅을 누리면서 삶내음을 맡는 삶꽃을 피울 수 있기를 바라요. 올봄에 아이들과 심을 씨앗과 나무를 가만히 생각합니다. 4348.2.13.쇠.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5-03-18 0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5-03-18 06:12   좋아요 1 | URL
`심심하다`도 우리가 누릴 삶 가운데 하나라고 느껴요.
학교라는 곳에서 아이들은 너무 빡빡하게 돌아가는 바람에
아이 스스로 `내 삶`과 `내 넋`을 차분히 돌아볼 겨를이 없어요.

너무 바쁜 오늘날 아이들은
스스로 놀거리와 배울거리를
찾지 못하는데,
`심심함`을 모두 빼앗아 버린 탓이 아닌가 싶기도 해요..

민들레처럼 2015-03-18 1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심해야 생각하고 돌아보죠. 맞아요. 아이들이 너무 바쁘죠. 저도 심심해야 나를 돌아볼 수 있었지요. 그동안 너무 바쁘고 정신없이 산 듯 싶어요. 아이들과 만날때도 욕심을 조금 내려놓아야겠어요. ^^

숲노래 2015-03-18 11:40   좋아요 1 | URL
어느 모로 보면, 학교에서는 수업 50분에 쉬는 시간도 30~50분쯤은 주어야 할 텐데, 날마다 50분 공부에 10분 쉬기, 이렇게 돌아가니 아이들로서는 숨을 돌릴 겨를이 없구나 싶어요. 이렇게 되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사라질 테고요 ...

민들레처럼 2015-03-18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요즘 중간놀이 시간으로 쉬는 시간을 묶어 30~40분씩 주기도 해요. 스스로 생각하는 힘 기르기~정말 중요해요. 집에서부터 그런 힘을 키워야하는데 말이죠.

숲노래 2015-03-18 19:49   좋아요 1 | URL
그런 것도 있군요.
중간놀이.. 그런데 검색을 해 보니
중간놀이라고 하면서 체조를 시키는 학교도 있나 보네요.
`놀이` 시간이면 그야말로 아이들 마음대로
놀도록 해야 할 텐데요.

그래도, 그런 겨를을 마련했다니
우리 학교도 조금은 나아진 셈인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