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1.17.

숨은책 779


《혈(血)의 루(淚)》

 이인직 글

 서림문화사

 1981.10.30.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93년 무렵 ‘이광수·최남선 친일’을 찔끔 배웠습니다. 배움틀(교육과정)로는 일본바라기(친일)를 딱히 따지거나 나무라지 않고, 둘을 뺀 다른 일본바라기가 누구요 무슨 짓을 했는지 아예 알 길이 없었습니다. 그무렵 짤막하게 “이인직 《혈의 누》는 신소설의 효시”라고만 가르치더군요. 막상 《혈의 누》는 어떤 글이요 줄거리인지 찾아보거나 읽을 길이 없고, 길잡이는 챙겨 주지 않았습니다. 헌책집에서 《혈(血)의 루(淚)》를 보는데 겉그림이 예스럽구나 싶어 집어들었습니다. 1906년에 썼다는 글을 읽으며 지난날 우리말씨를 엿봅니다. ‘여성’보다는 ‘계집’이란 말이 흔하고 ‘어기뚱·더적더적·아드득·모랑모랑·모짝’이나 ‘샐녘·피비·뱃나들이·발씨·드난·뒤웅박·숫접다·냅뜨다·돌쳐서다·떼거리·물속길’처럼 살려쓴 말씨가 눈에 띕니다. 그런데 이인직 이분은 1904년 러일전쟁 무렵 일본 육군성에서 통역으로 일했고, 이완용 심부름꾼으로 1910년 한일합방을 이끌었다지요. 1915년에 일본 우두머리를 기리는 글을 바치기도 하다가 1916년에 죽습니다. 한겨레 마음에 피눈물이 맺도록 나부대고서 썩 오래 살지도 못 했어요. 그래, ‘피눈물’이지요. ‘혈의 누·혈의 루’도 아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770


《實錄 眞相은 이렇다, 惡名높은 金正一의 正體》

 김현수·오기완·이항구 글

 한국교양문화원

 1978.6.23.



  우리는 ‘우리말·우리나라’처럼 ‘우리’라는 낱말을 두루 씁니다. “우리 엄마”나 “우리 마을”처럼 쓰고, “우리 이야기”라 합니다. ‘나의(나 + 의)’는 일본말 ‘私の’에서 따왔는데, 일본은 영어 ‘my’를 ‘私の’로 옮겼고, 우리는 영어 낱말책을 일본사람이 엮은 대로 받아들인 터라, 이 부스러기가 오늘까지 퍼져 사그라들지 않습니다. ‘우리’를 줄여 ‘울’이고 ‘하늘(한울)’을 가리키는 바탕이며 ‘아우르다·어울리다·울타리’에 이 ‘울(우리)’이 깃들어요. 그렇지만 이런 우리말을 배움터에서 안 가르칠 뿐더러, 스스로 돌아보지 못 해요. 이처럼 우리 스스로 우리 삶을 살피지 않거나 못 하는 버릇은 《實錄 眞相은 이렇다, 惡名높은 金正一의 正體》 같은 책으로 쉽게 엿볼 만합니다. 북녘은 남녘을 헐뜯고, 남녘은 북녘을 깎아내리는 짓을 1948년 즈음부터 끝없이 해댔습니다. ‘한울타리’인 줄 잊기에 사납게 노려보며 할퀴고 쳐들어갑니다. ‘하늘빛(한울빛)’을 잃기에 손가락질에 삿대질이에요. 나라에서는 어깨동무 아닌 깎음질을 하는 책을 자꾸 찍었고 반공웅변·반공독후감을 시켰어요. 이 책에는 “발송 no.400-139 공음국민학교 78.10.13.” 같은 글씨가 찍혀요. 고창 시골배움터로도 뻗은 슬픈 자국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615


《살길 찾은 동촌마을》

 소진탁 글

 안신영 엮음

 대한기독교계명협회

 1956.7.25.첫/1958.6.10.두벌



  지난날 나리(양반) 가운데 아주 드물게 호미·낫·쟁기를 쥔 사람이 있습니다만, 거의 모두는 임금바라기를 하며 먹물꾼에 머물렀어요. 임금이나 벼슬아치는 호미·낫·쟁기를 모릅니다. 쥔 적이 없고 볼 일마저 없어요. 오늘날 나라지기(대통령)를 비롯해 벼슬꾼(정치인·공무원)에 글꾼도 호미·낫·쟁기를 안 쥐고 모릅니다. 꽃그릇(화분)하고 땅은 달라요. 꽃그릇을 건사하더라도 해바람비를 맞이하는 땅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꽤 오래도록 ‘어리석은 시골을 일깨우’려는 글바치는 ‘글도 책도 모르는 시골사람’을 내려다보듯 나무라고 이끌려 했어요. 그런데 예부터 흙지기는 밥옷집을 손수 건사했고, 말조차 손수 지은 사투리를 썼어요. 이와 달리 임금·벼슬꾼·글바치는 중국·일본을 섬기며 한문·한자말을 외웠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조금 똑똑하다는 이들은 서울바라기를 하면서 시골을 떠났고, 시골사람을 바보로 여기면서 새마을바람 따위를 일으켜 비닐에 풀죽임물(농약)을 옴팡 쓰도록 내몰았어요. ‘덧벌레(기생충)’를 다스리는 줄거리인 《살길 찾은 동촌마을》은 시골사람이 배고프다며 아무것이나 주워먹는다고 탓합니다. 흙이나 샘물이나 풀꽃나무가 나쁠 수 있을까요? 나쁘다면 숲을 망가뜨린 서울일 텐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766


《즐거운 농촌살림》

 고경숙 글

 국련군사령부 주한경제조정관실·기술협조부 지역사회개발국·백조사

 1958.3.



  지난날에는 서울조차 임금집(궁궐)을 빼면 모두 시골입니다. 오늘날에는 시골조차 읍내는 서울을 닮고 면소재지마저 잿빛집(아파트)이 들어섭니다. 지난날에는 나라님이라 해도 시골살림을 북돋우는 길을 살펴야 했다면, 오늘날에는 나라님도 벼슬아치도 글바치도 시골살림하고는 등집니다. 날마다 숱한 책이 쏟아지지만 이 가운데 시골사람이 시골빛을 가꾸는 어진 이야기를 들려주는 꾸러미는 아예 없다고 할 만합니다. 숲책(생태환경책)조차 서울사람이 서울(도시)에서 푸른길을 잊지 않도록 다잡는 데에서 그쳐요. 《즐거운 농촌살림》은 ‘국련군사령부’에서 펴낸 책이기에 수수께끼입니다. ‘국련군사령부(1951.2.15.∼1951.5.10.)’는 한겨레가 둘로 갈려 피비린내가 나도록 싸우던 무렵, 북녘에 들어선 ‘유엔(UN)’ 벼슬터입니다. 고작 석 달 동안 북녘에 있던 벼슬터에서 낸 책이라면 1951년판이어야 할 텐데 1958년 3월에 찍었다고 적혀요. 그러나 1951년에 처음 나온 판을 그 뒤에도 꾸준히 새로 찍었을 수 있습니다. 우리 살림돈으로는 이만 한 책을 엮어나 내기 벅찼어도 유엔에서 이바지했으면 넉넉히 낼 만했을 테고, 퍽 오래도록 시골살림에 이바지할 수 있겠지요. 즐겁기에 살림이고, 사랑으로 가꾸며 푸른 시골살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1.5.

숨은책 762


《벼룩의 간》

 위기철 글

 이희재 그림

 세계

 1989.4.25.



  불수레(지옥철)가 괴로워 1995년 4월 5일부터 제금을 났습니다. 인천하고 서울을 오가는 칙폭이(전철)는 한 칸에 1000이 넘는 손님을 태우고, 주안나루부터 미는놈(푸쉬맨)까지 있습니다. 제금나는 살림돈은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벌고, 싸움터(군대)를 다녀오면 열린배움터(대학교)를 그만둘 생각이라 틈새일(알바)을 바지런히 했습니다. 한국외대 배움책숲(구내서점)에서도 일했는데, 책집일꾼으로서 책을 사면 책집지기님은 ‘책집에 들어온 값(도매값)’으로 팔아 주었습니다. “여태 일한 사람 가운데 교재 아닌 책을 산 사람은 자네가 처음이야.” 하더군요. ‘마침종이(대학졸업장) 없는 앞날’을 그리자니 5원부터 아낄 노릇입니다. 으레 굶고 책값하고 종이값(1인 소식지 복사하는 값)을 빼고는 아예 안 씁니다. 떨어진 붓(연필·볼펜)을 줍고, 길에 나둥구는 쪽종이(광고지)도 주워 뒤쪽에다가 글을 썼어요. 《벼룩의 간》을 장만해서 읽고는, 싸움터에 끌려가기 앞서 뒷내기(후배)한테 빌려주었더니 글월을 곁들여 돌려주더군요. 삶이란, 일이란, 오늘이란 무엇일까요. 벼룩간을 빼먹는 나라에서 푸른꿈으로 어깨동무할 길은 어떻게 찾을까요. 스물여섯 달 동안 ‘사람을 바보로 밟는 곳’에서 마음을 참하게 건사하자고 다독였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1995년 그때에는 뒷종이(이면지)로 삼으려고

길에서 주워 건사하던 쪽종이(광고지)인데

이제 와 돌아보니

재미난(?) 뒷자취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