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1.17.
숨은책 779
《혈(血)의 루(淚)》
이인직 글
서림문화사
1981.10.30.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93년 무렵 ‘이광수·최남선 친일’을 찔끔 배웠습니다. 배움틀(교육과정)로는 일본바라기(친일)를 딱히 따지거나 나무라지 않고, 둘을 뺀 다른 일본바라기가 누구요 무슨 짓을 했는지 아예 알 길이 없었습니다. 그무렵 짤막하게 “이인직 《혈의 누》는 신소설의 효시”라고만 가르치더군요. 막상 《혈의 누》는 어떤 글이요 줄거리인지 찾아보거나 읽을 길이 없고, 길잡이는 챙겨 주지 않았습니다. 헌책집에서 《혈(血)의 루(淚)》를 보는데 겉그림이 예스럽구나 싶어 집어들었습니다. 1906년에 썼다는 글을 읽으며 지난날 우리말씨를 엿봅니다. ‘여성’보다는 ‘계집’이란 말이 흔하고 ‘어기뚱·더적더적·아드득·모랑모랑·모짝’이나 ‘샐녘·피비·뱃나들이·발씨·드난·뒤웅박·숫접다·냅뜨다·돌쳐서다·떼거리·물속길’처럼 살려쓴 말씨가 눈에 띕니다. 그런데 이인직 이분은 1904년 러일전쟁 무렵 일본 육군성에서 통역으로 일했고, 이완용 심부름꾼으로 1910년 한일합방을 이끌었다지요. 1915년에 일본 우두머리를 기리는 글을 바치기도 하다가 1916년에 죽습니다. 한겨레 마음에 피눈물이 맺도록 나부대고서 썩 오래 살지도 못 했어요. 그래, ‘피눈물’이지요. ‘혈의 누·혈의 루’도 아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