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770


《實錄 眞相은 이렇다, 惡名높은 金正一의 正體》

 김현수·오기완·이항구 글

 한국교양문화원

 1978.6.23.



  우리는 ‘우리말·우리나라’처럼 ‘우리’라는 낱말을 두루 씁니다. “우리 엄마”나 “우리 마을”처럼 쓰고, “우리 이야기”라 합니다. ‘나의(나 + 의)’는 일본말 ‘私の’에서 따왔는데, 일본은 영어 ‘my’를 ‘私の’로 옮겼고, 우리는 영어 낱말책을 일본사람이 엮은 대로 받아들인 터라, 이 부스러기가 오늘까지 퍼져 사그라들지 않습니다. ‘우리’를 줄여 ‘울’이고 ‘하늘(한울)’을 가리키는 바탕이며 ‘아우르다·어울리다·울타리’에 이 ‘울(우리)’이 깃들어요. 그렇지만 이런 우리말을 배움터에서 안 가르칠 뿐더러, 스스로 돌아보지 못 해요. 이처럼 우리 스스로 우리 삶을 살피지 않거나 못 하는 버릇은 《實錄 眞相은 이렇다, 惡名높은 金正一의 正體》 같은 책으로 쉽게 엿볼 만합니다. 북녘은 남녘을 헐뜯고, 남녘은 북녘을 깎아내리는 짓을 1948년 즈음부터 끝없이 해댔습니다. ‘한울타리’인 줄 잊기에 사납게 노려보며 할퀴고 쳐들어갑니다. ‘하늘빛(한울빛)’을 잃기에 손가락질에 삿대질이에요. 나라에서는 어깨동무 아닌 깎음질을 하는 책을 자꾸 찍었고 반공웅변·반공독후감을 시켰어요. 이 책에는 “발송 no.400-139 공음국민학교 78.10.13.” 같은 글씨가 찍혀요. 고창 시골배움터로도 뻗은 슬픈 자국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