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615


《살길 찾은 동촌마을》

 소진탁 글

 안신영 엮음

 대한기독교계명협회

 1956.7.25.첫/1958.6.10.두벌



  지난날 나리(양반) 가운데 아주 드물게 호미·낫·쟁기를 쥔 사람이 있습니다만, 거의 모두는 임금바라기를 하며 먹물꾼에 머물렀어요. 임금이나 벼슬아치는 호미·낫·쟁기를 모릅니다. 쥔 적이 없고 볼 일마저 없어요. 오늘날 나라지기(대통령)를 비롯해 벼슬꾼(정치인·공무원)에 글꾼도 호미·낫·쟁기를 안 쥐고 모릅니다. 꽃그릇(화분)하고 땅은 달라요. 꽃그릇을 건사하더라도 해바람비를 맞이하는 땅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꽤 오래도록 ‘어리석은 시골을 일깨우’려는 글바치는 ‘글도 책도 모르는 시골사람’을 내려다보듯 나무라고 이끌려 했어요. 그런데 예부터 흙지기는 밥옷집을 손수 건사했고, 말조차 손수 지은 사투리를 썼어요. 이와 달리 임금·벼슬꾼·글바치는 중국·일본을 섬기며 한문·한자말을 외웠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조금 똑똑하다는 이들은 서울바라기를 하면서 시골을 떠났고, 시골사람을 바보로 여기면서 새마을바람 따위를 일으켜 비닐에 풀죽임물(농약)을 옴팡 쓰도록 내몰았어요. ‘덧벌레(기생충)’를 다스리는 줄거리인 《살길 찾은 동촌마을》은 시골사람이 배고프다며 아무것이나 주워먹는다고 탓합니다. 흙이나 샘물이나 풀꽃나무가 나쁠 수 있을까요? 나쁘다면 숲을 망가뜨린 서울일 텐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