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6.

사진책시렁 144


《Black Genesis : African Roots》

 Jurgen Vollmer 사진

 John Devere 글

 St Martins Pr

 1980.



  모든 글과 그림과 빛꽃은 ‘누’가 담거나 나누거나 펴려고 하느냐에 따라서 ‘감’이 다릅니다. ‘보러(취재)’ 가서 담는 글·그림·빛꽃은 ‘구경’이라는 울타리를 못 넘기 일쑤입니다. ‘삶(일상·생활)’으로 누리는 하루를 스스로 담을 적에는 ‘살림’이라는 길을 바라보면서 ‘사랑’으로 그려내는 발걸음으로 잇게 마련입니다. 섣불리 붓부터 쥐지 말라는 뜻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글부터 담으려 하지 말고, 그림이나 빛꽃부터 옮기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먼저 만나고, 사귀면서 맞아들인 다음에 글·그림·빛꽃으로 나타내려고 해야, 조금쯤 ‘맛보기’처럼 녹아들어서 속빛을 살짝 볼 수 있습니다. 《Black Genesis : African Roots》를 읽으면서 “누구 눈”인지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아프리카에서 나고자란 사람이 아프리카에서 익힌 눈길로 아프리카롤 담아내려고 한다면, 이 꾸러미에 나오는 모습을 굳이 안 찍었으리라 봅니다. ‘사회·역사·문화’라는 이름을 섣불리 앞세우려 하기에 그만 틀에 박힌 그림만 흘러요. 오늘날로 치자면 “아파트를 처음 본 사람이 아파트를 찍듯”이 아프리카 이웃을 찍으려 했달까요? 속으로 깊고 넓게 다가서면서 스미기 어렵거나 못 하겠다면, 붓도 찰칵이도 안 쥐어야 맞습니다.


- A Voyage from Juffure, the Gambia, Through Mandingo Country to the Slave Port of Dakar, Senegal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나라의 앨리스를 만나다 집요한 과학씨, 웅진 사이언스빅 7
이자와 고타로.최원석 지음, 조영경 옮김, 하야카와 시즈노.김진화 그림, 가와시마 도시오. / 웅진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6.

사진책시렁 147


《사진 나라의 앨리스를 만나다》

 이자와 고타로·최원석 글

 하야카와 시즈노·김진화 그림

 조영경 옮김

 웅진주니어

 2007.9.10.



  길잡이책이 있어야 배울 수 있지 않습니다. 길잡이가 없으면 스스로 이슬받이처럼 나서면 됩니다. 누가 짚어 주기에 배우지 않습니다. 아무도 안 알려준다지만, 손수 해보고 부딪히고 살아가는 동안 온몸으로 맞아들입니다. 모르는 분이 많은데, 두바퀴(자전거)를 새것으로 장만하면 길잡이책(설명서)이 딸립니다. 다만 두바퀴를 장만할 적에 딸리는 길잡이책을 찬찬히 읽고서 매무새를 다스리거나 두바퀴를 손질하는 사람을 아직 거의 못 봤습니다. 찰칵이를 새것으로 장만할 적에도 길잡이책이 딸려요. 그리고 이 길잡이책을 꼼꼼히 읽으면서 찰칵이를 다루는 사람도 뜻밖에 매우 적더군요. 《사진 나라의 앨리스를 만나다》는 꽤 잘 나왔구나 싶으나, 어린이한테 퍽 어렵습니다. 빛꽃누리가 어떻게 놀랍거나 재미있나 하는 대목을 여러모로 짚습니다만, 먼저 “빛이란 무엇인가?”랑 “빛을 담는 삶이란 무엇인가?”랑 “빛으로 나누는 이야기와 내 마음은 어떻게 맞닿는가?” 같은 줄거리가 옅습니다. 무엇을 어떤 눈길과 몸짓으로 담을 적에 “찍는 이와 찍히는 이가 서로 아름답게 만나는가” 같은 줄거리도 좀 옅어요. 책 한 자락이 모두 알려줄 수는 없습니다만, 길잡이로 삼을 책을 엮을 적에는 ‘마음결·손길·눈길·매무새’를 다스리는 얼거리부터 들려줄 노릇이어야 어울린다고 봅니다.


ㅅㄴㄹ


주위를 두리번두리번 둘러보았습니다

→ 둘레를 보았습니다

→ 두리번두리번합니다

→ 둘러보았습니다

《사진 나라의 앨리스를 만나다》(이자와 고타로·최원석/조영경 옮김, 웅진주니어, 2007) 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농부의


 농부의 꿈이 창대하다 → 흙지기 꿈이 크다

 농부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국가는 → 여름지기가 대수로운 줄 모르는 나라는

 자연 속의 농부의 생활은 → 숲에서 논밭님 하루는


  ‘농부(農夫)’는 “농사짓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경부·농부한·농사아비·전농·전부·전자”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농부 + -의’ 얼거리라면, ‘-의’는 털어내면서 ‘논밭지기·논밭꾼’이나 ‘밭지기·밭사람·밭일꾼·밭꾼’으로 손볼 만합니다. ‘여름지기·여름꾼·여름일꾼’으로 손보아도 되고, ‘열매지기·열매꾼·열매일꾼·열매님’이나 ‘흙일꾼·흙꾼·흙님·흙장이·흙지기’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농부들의 판매권을 박탈하고 종자부터 생산 전 과정을 간섭함으로써 농부를 기업의 하청 노동자로 만들거나 

→ 흙지기가 팔 틈을 빼앗고 씨앗부터 거두는 모든 흐름에 끼어들어 흙지기를 밑일꾼으로 다루거나

→ 여름지기가 팔 몫을 빼앗고 씨앗부터 흙을 짓는 모든 곳에 끼어들어 여름지기를 밑바닥 일꾼으로 삼거나

《소박한 미래》(변현단, 들녘, 2011) 26쪽


농부의 딴딴한 장딴지에서 나오는 거야

→ 흙지기 딴딴한 장딴지에서 나와

→ 장딴지가 딴딴한 흙님이 지어

《나는 농부란다》(이윤엽, 사계절, 2012) 27쪽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 흙지기 아들로 태어났다

→ 시골집 아들로 태어났다

《울고 들어온 너에게》(김용택, 창비, 2016)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명천지



 대명천지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 한낮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이 대명천지에 하늘이 안 무서우냐 → 이렇게 환한데 하늘이 안 무서우냐

 대명천지로 나온 것만큼이나 → 낮에 나온 만큼이나


대명천지(大明天地) : 아주 환하게 밝은 세상



  환하거나 밝은 곳이라면 ‘낮·낮나절·낮결·낮길’로 나타낼 만합니다. ‘대낮·한낮’이라 하면 되고, ‘밝다·벌겋다’나 ‘환하다·훤하다’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대명천지에 똥차는 와서 진정 참다운 일 가르쳐 주고 간다

→ 똥수레는 대낮에 와서 참다운 일 가르쳐 주고 간다

→ 똥수레는 낮에 와서 참일 가르쳐 주고 간다

《모닥불》(안도현, 창작과비평사, 1989) 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대안 代案/對案


 대안을 내놓다 → 버금을 내놓다

 대안을 제시하다 → 새롭게 내보이다

 현실적인 대안을 찾다 → 할 만한 새길을 찾다

 다른 대안이 없으니 → 다른길이 없으니

 대안을 마련하다 → 다음을 마련하다

 대안을 세우다 → 모레를 세우다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 너머가 떠오르지 않는다


  ‘대안(代案)’은 “어떤 안(案)을 대신하는 안”이라 하고, ‘대안(對案)’은 “어떤 일에 대처할 방안”이라고 합니다. ‘대신(代身)하다’는 “어떤 대상의 자리나 구실을 바꾸어서 새로 맡다”를 가리키고, ‘대처(對處)하다’는 “어떤 정세나 사건에 대하여 알맞은 조치를 취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여러모로 살피면, ‘다른길·다르다·다른꽃’이나 ‘다음길·버금길·새길·둘쨋길’이나 ‘새·새롭다·새롬빛·새곳’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너머·너머꽃·너머길·너머빛·너머누리·너머나라’나 ‘다음·다음꽃·이다음·두걸음·버금·버금가다’로 고쳐쓰고, ‘둘째·둘째가다·둘째치다·둘쨋꽃·둘쨋빛’이나 ‘가다·키·키잡이’로 고쳐써요. ‘길·길눈·길꽃·물꼬·물길·수·수고’나 ‘바·밧줄·새줄’이나 ‘생각·생각씨·생각씨앗’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살림길·살림소리·삶길·삶꽃·삶소리’나 ‘새바람·새물결·새너울·새별·새꽃·새날’로 고쳐쓰고, ‘하루·모레’나 ‘안간힘·애쓰다·힘쓰다’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그러한 인식 위에서 정책기조와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대안세력으로

→ 그렇게 느끼면서 바탕길과 새빛을 얘기하면서 믿음직한 새너울로

→ 그처럼 생각하며 살림길과 새길을 밝히면서 믿을 수 있는 새물결로

《희망의 근거》(김근태, 당대, 1995) 178쪽


이제 우리가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새길을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너머를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다음을 찾아야 합니다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스테파니 케이브/차혜경·유정미 옮김, 바람, 2005) 9쪽


따라서 저층 단독주택의 대안을 논쟁에서 배제시킨다

→ 따라서 낮은 낱집은 아예 새길에서 뺀다

→ 따라서 낮은 홑채는 둘쨋길에 안 넣는다

《아파트 공화국》(발레리 줄레조/길혜연 옮김, 후마니타스, 2007) 178쪽


대안을 만들었기에 대안이 생겨난 것이다

→ 다음길을 냈기에 다음길이 생긴다

→ 새길을 열기에 새길이 생긴다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226쪽


대안학교는 말 그대로 ‘대안적인’ 교육을 실천하는 배움터

→ 다른배움은 말 그대로 ‘다르게’ 펴는 배움터

→ 새배움터는 말 그대로 ‘새로’ 일구는 배움터

→ 다른길은 말 그대로 ‘다르게’ 나누는 배움터

→ 새길은 말 그대로 ‘새’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윤성근, 이매진, 2009) 78쪽


소비를 포기하고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그만 사서 쓰고 새길을 찾아야 한다

→ 쓰고 버리기를 멈추고 삶꽃을 찾아야 한다

《소박한 미래》(변현단, 들녘, 2011) 195쪽


다른 대안은 정말 없는 걸까

→ 다른 수는 참말 없을까

→ 다른길은 참말 없을까

《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원마루 옮김, 포이에마, 2014) 19쪽


우리 현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 우리 오늘을 파헤치고 새빛을 찾는

→ 우리 삶을 살피고 너머를 찾는

《민중언론학의 논리》(손석춘, 철수와영희, 2015) 323쪽


다른 대안도 없다

→ 다른길도 없다

→ 이다음도 없다

→ 키잡이도 없다

《나무 수업》(페터 볼레벤/장혜경 옮김, 이마, 2016) 227쪽


대부분 다른 대안을 고려해 볼 수 있고

→ 으레 키잡이를 생각해 볼 수 있고

→ 거의 다른길을 헤아려 볼 수 있고

→ 흔히 버금길을 짚어 볼 수 있고

《별의 계승자》(제임스 P.호건/이동진 옮김, 아작, 2016) 127쪽


별다른 대안이 없었다

→ 길눈이 없다

→ 이다음이 없다

→ 손쓸 길이 없다

→ 둘쨋길이 없다

《기지 국가》(데이비드 바인/유강은 옮김, 갈마바람, 2017) 109쪽


학교폭력에 대한 대안을 찾는 간담회 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 배움막짓을 풀 새길을 찾는 이야기 자리에서 있던 일이다

《체벌 거부 선언》(아수나로 엮음, 교육공동체벗, 2019) 177쪽


번아웃 상태에서 책방을 연다는 게 완벽한 대안처럼 느껴졌다고도 고백하면서

→ 주저앉았는데 책집을 열면 아주 멋지겠다고 느꼈다고도 털어놓으면서

→ 녹초가 된 채 책집을 열면 더없이 좋겠다고 느꼈다고도 밝히면서

《어느 날 갑자기, 책방을》(김성은, 책과이음, 2020) 196쪽


차제에 대안을 위한 공론장이 열리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합니다

→ 곧 새길을 찾는 열린터를 마련하기를 바랍니다

→ 머잖아 새길을 찾는 마당을 열기를 꿈꿉니다

→ 슬슬 새롭게 살피는 판을 열면 좋겠습니다

《제줏말 작은사전》(김학준, 제라헌, 2021)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