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대안 代案/對案


 대안을 내놓다 → 버금을 내놓다

 대안을 제시하다 → 새롭게 내보이다

 현실적인 대안을 찾다 → 할 만한 새길을 찾다

 다른 대안이 없으니 → 다른길이 없으니

 대안을 마련하다 → 다음을 마련하다

 대안을 세우다 → 모레를 세우다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 너머가 떠오르지 않는다


  ‘대안(代案)’은 “어떤 안(案)을 대신하는 안”이라 하고, ‘대안(對案)’은 “어떤 일에 대처할 방안”이라고 합니다. ‘대신(代身)하다’는 “어떤 대상의 자리나 구실을 바꾸어서 새로 맡다”를 가리키고, ‘대처(對處)하다’는 “어떤 정세나 사건에 대하여 알맞은 조치를 취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여러모로 살피면, ‘다른길·다르다·다른꽃’이나 ‘다음길·버금길·새길·둘쨋길’이나 ‘새·새롭다·새롬빛·새곳’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너머·너머꽃·너머길·너머빛·너머누리·너머나라’나 ‘다음·다음꽃·이다음·두걸음·버금·버금가다’로 고쳐쓰고, ‘둘째·둘째가다·둘째치다·둘쨋꽃·둘쨋빛’이나 ‘가다·키·키잡이’로 고쳐써요. ‘길·길눈·길꽃·물꼬·물길·수·수고’나 ‘바·밧줄·새줄’이나 ‘생각·생각씨·생각씨앗’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살림길·살림소리·삶길·삶꽃·삶소리’나 ‘새바람·새물결·새너울·새별·새꽃·새날’로 고쳐쓰고, ‘하루·모레’나 ‘안간힘·애쓰다·힘쓰다’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그러한 인식 위에서 정책기조와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대안세력으로

→ 그렇게 느끼면서 바탕길과 새빛을 얘기하면서 믿음직한 새너울로

→ 그처럼 생각하며 살림길과 새길을 밝히면서 믿을 수 있는 새물결로

《희망의 근거》(김근태, 당대, 1995) 178쪽


이제 우리가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새길을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너머를 찾아야 합니다

→ 이제 우리가 다음을 찾아야 합니다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스테파니 케이브/차혜경·유정미 옮김, 바람, 2005) 9쪽


따라서 저층 단독주택의 대안을 논쟁에서 배제시킨다

→ 따라서 낮은 낱집은 아예 새길에서 뺀다

→ 따라서 낮은 홑채는 둘쨋길에 안 넣는다

《아파트 공화국》(발레리 줄레조/길혜연 옮김, 후마니타스, 2007) 178쪽


대안을 만들었기에 대안이 생겨난 것이다

→ 다음길을 냈기에 다음길이 생긴다

→ 새길을 열기에 새길이 생긴다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226쪽


대안학교는 말 그대로 ‘대안적인’ 교육을 실천하는 배움터

→ 다른배움은 말 그대로 ‘다르게’ 펴는 배움터

→ 새배움터는 말 그대로 ‘새로’ 일구는 배움터

→ 다른길은 말 그대로 ‘다르게’ 나누는 배움터

→ 새길은 말 그대로 ‘새’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윤성근, 이매진, 2009) 78쪽


소비를 포기하고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그만 사서 쓰고 새길을 찾아야 한다

→ 쓰고 버리기를 멈추고 삶꽃을 찾아야 한다

《소박한 미래》(변현단, 들녘, 2011) 195쪽


다른 대안은 정말 없는 걸까

→ 다른 수는 참말 없을까

→ 다른길은 참말 없을까

《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원마루 옮김, 포이에마, 2014) 19쪽


우리 현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 우리 오늘을 파헤치고 새빛을 찾는

→ 우리 삶을 살피고 너머를 찾는

《민중언론학의 논리》(손석춘, 철수와영희, 2015) 323쪽


다른 대안도 없다

→ 다른길도 없다

→ 이다음도 없다

→ 키잡이도 없다

《나무 수업》(페터 볼레벤/장혜경 옮김, 이마, 2016) 227쪽


대부분 다른 대안을 고려해 볼 수 있고

→ 으레 키잡이를 생각해 볼 수 있고

→ 거의 다른길을 헤아려 볼 수 있고

→ 흔히 버금길을 짚어 볼 수 있고

《별의 계승자》(제임스 P.호건/이동진 옮김, 아작, 2016) 127쪽


별다른 대안이 없었다

→ 길눈이 없다

→ 이다음이 없다

→ 손쓸 길이 없다

→ 둘쨋길이 없다

《기지 국가》(데이비드 바인/유강은 옮김, 갈마바람, 2017) 109쪽


학교폭력에 대한 대안을 찾는 간담회 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 배움막짓을 풀 새길을 찾는 이야기 자리에서 있던 일이다

《체벌 거부 선언》(아수나로 엮음, 교육공동체벗, 2019) 177쪽


번아웃 상태에서 책방을 연다는 게 완벽한 대안처럼 느껴졌다고도 고백하면서

→ 주저앉았는데 책집을 열면 아주 멋지겠다고 느꼈다고도 털어놓으면서

→ 녹초가 된 채 책집을 열면 더없이 좋겠다고 느꼈다고도 밝히면서

《어느 날 갑자기, 책방을》(김성은, 책과이음, 2020) 196쪽


차제에 대안을 위한 공론장이 열리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합니다

→ 곧 새길을 찾는 열린터를 마련하기를 바랍니다

→ 머잖아 새길을 찾는 마당을 열기를 꿈꿉니다

→ 슬슬 새롭게 살피는 판을 열면 좋겠습니다

《제줏말 작은사전》(김학준, 제라헌, 2021)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