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재료 材料


 음식 재료 → 밥감 / 밥거리

 건축 재료 → 짓는감 / 지을거리

 재료가 부족하여 → 밑감이 모자라 / 밑천이 적어

 관찰의 재료로 삼았다 → 볼거리로 삼다

 대하소설의 집필을 위한 재료 수집에 착수했다 → 가람글을 쓸 밑감을 모은다

 그 실험을 하려면 많은 재료가 필요하다 → 이렇게 하려면 여러 가지가 든다

 수필의 재료는 → 삶글감은 / 살림글거리는


  ‘재료(材料)’는 “1. 물건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감 2. 어떤 일을 하기 위한 거리 3. [경제] 증권 거래에서 주식의 시세를 움직이는 요인”을 가리킨다지요. ‘감·거리’나 ‘밑감·밑천·밑거름’으로 손봅니다. ‘바탕·살림’이나 ‘살리다·이루다’로 손보아도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재료(齋料)’를 “재(齋)를 올리는 데 들어가는 비용”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최근에는 초콜릿에 색다른 재료를 첨가제로 쓰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 요새는 달콤이에 남다르게 더하기 일쑤이다

→ 요즘은 달달이에 새맛을 보태곤 한다

《카카오》(안드레아 더리·토마스 쉬퍼/조규희 옮김, 자연과생태, 2014) 42쪽


오직 맥주 본연의 재료만을 가지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여

→ 오직 맥주 하나만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살펴서

→ 맥주를 빚는 보리하고 물만 끊임없이 헤아리고 파고들어

《언니는 맥주를 마신다》(윤동교, 레드우드, 2016) 112쪽


각종 노천온천에 그 지역의 신선한 재료로 만든 맛있는 요리가 나오고

→ 온갖 한뎃포근샘에 그 고장 싱싱한 살림으로 지은 맛밥이 나오고

→ 여러 한뎃더운샘에 그 마을 싱싱한 살림으로 지은 맛밥이 나오고

《경계의 린네 23》(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 98쪽


집 주변에서 재배한 소중한 재료지요

→ 집 둘레에서 키운 고마운 밑감이죠

→ 집 곁에서 돌본 알뜰운 밑천이죠

《득도 아빠》(사와에 펌프/고현진 옮김, 애니북스, 2018) 89쪽


이 재료로는 어떤 빵을 만들면 좋을까

→ 이 밥감으로 어떤 빵을 하면 좋을까

→ 이 밑감으로 어떤 빵을 구우면 좋을까

《달을 보며 빵을 굽다》(쓰카모토 쿠미/서현주 옮김, 더숲, 2019) 10쪽


이 모두가 탄탄하고 만족스러운 장편의 재료인데

→ 이 모두가 긴글을 탄탄하고 즐겁게 살리는데

→ 이 모두가 긴글을 탄탄하고 넉넉히 이루는데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읽을 겁니다》(어슐러 K.르 귄/이수현 옮김, 황금가지, 2021) 403쪽


음식과 요리를 잘하여 재료와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 밥을 잘하여 밥감과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 밥을 잘 지어 밑감과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전통 채식 밥상》(서유구/정정기 옮김, 샨티, 2021) 10쪽


쑥은 떡의 재료가 될 뿐 아니라 만능 약초로 여겨질 정도로 약효가 다양해서

→ 쑥은 떡감이 될 뿐 아니라 온살림풀로 여길 만큼 훌륭해서

→ 쑥은 떡으로 쓸 뿐 아니라 온풀로 여길 만큼 알뜰해서

《전략가 잡초》(이나가키 히데히로/김소영 옮김, 더숲, 2021) 21쪽


모형비행기 재료를 구입하기 위함이라고 했습니다

→ 놀이날개를 사려 한다고 했습니다

《아이에게 배우는 아빠》(이재철, 홍성사, 2021) 92쪽


미리 준비해 둔 재료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만들었다

→ 미리 챙긴 꾸러미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했다

→ 미리 챙긴 살림을 꺼내 떡볶이를 뚝딱 차렸다

《손가락만 까딱하면》(황미숙, 고래책빵, 2021) 49쪽


다양한 재료를 물고 둥지 안으로 들어간다

→ 여러 가지를 물고 둥지로 들어간다

《도시 오목눈이 성장기》(오영조, 자연과생태, 2023) 32쪽


육해공의 재료를 다 굽고 나면 불을 땐다. 불멍 시간이다

→ 물뭍하늘감을 다 굽고 나면 불을 땐다. 불멍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시골》(박정미, 스토리닷, 2023)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함정수사



 함정수사에 협력하기로 했다 → 숨어찾기를 돕기로 했다

 함정수사로 적발되었다 → 몰래눈에 걸렸다 / 덫놓기에 잡혔다


함정수사(陷穽搜査) : [법률] 통상적인 수사 방법으로는 범인을 체포하기 어려운 범죄를 수사할 경우에, 수사 기관이나 그 하수인이 신분을 속이고 범죄를 유도한 후에 그 실행을 기다려 범인을 체포하는 수사 방법. 마약 단속법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다



  몰래 지켜보거나 숨어서 찾을 때가 있습니다. 덫을 놓고서 걸리기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를 ‘덫놓기’나 ‘몰래보기·몰래찾기·몰래눈’이나 ‘숨어보기·숨어찾기·숨은눈’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ㅅㄴㄹ



물론 함정수사지

→ 그래 덫놓기지

→ 그럼 몰래보기지

→ 뭐 숨어보기지

《조폭 선생님 2》(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 1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가락만 까딱하면 책 먹는 고래 24
황미숙 지음, 김지영 그림 / 고래책빵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5.10.

다듬읽기 213


《손가락만 까딱하면》

 황미숙 글

 김지영 그림

 고래책빵

 2021.8.25.



  《손가락만 까딱하면》(황미숙, 고래책빵, 2021)은 부산 한켠에서 살아가며 만나고 부대낀 하루를 어린이한테 들려주는 얼거리입니다. 복닥이거나 붐비더라도 마음을 기울이고 눈여겨볼 수 있다면 서로 아낄 수 있습니다. 한갓지거나 조용하더라도 마음을 안 기울이거나 안 쳐다본다면 서로 등을 돌립니다. 모든 곳에는 다 다르게 이야기가 흐르니, 이 다른 이야기를 알아보면서 품고 녹이면 될 테지요. 다만, 착해야 하거나 고와야 하는 틀을 따로 세우기보다는, 어른으로서 어른스러운 눈빛과 숨결이 무엇인지를 밝히면 됩니다. 큰고장 한복판이어도 해바람비가 드리우고 퍼질 적에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어요. 먼발치 숲이 아닌, 보금자리에서 돌아보면서 가꿀 수 있는 풀씨를 글자락에 담아낼 때라야 비로소 ‘어린글’이라고 느낍니다. 그리고 어린이 곁에서는 더 부드럽고 더 쉽게, 무엇보다도 우리말답게 글결을 가다듬기를 바라요.


ㅅㄴㄹ


산책하다가 종종 네 잎 클로버를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기도 해

→ 마실하다가 가끔 네잎토끼풀을 보며 기뻐해

→ 거닐다가 이따금 네잎토끼풀을 보며 기뻐

4쪽


산동네에 살아

→ 멧마을에 살아

→ 달마을에 살아

4쪽


산중턱을 가로지르는 산복도로 위에 터를 잡은 마을이야

→ 멧턱을 가로지르는 고갯마루에 터를 잡은 마을이야

4쪽


네 잎 클로버 하나 넣어서 답장할게

→ 네잎토끼풀 하나 넣어서 맞글할게

5쪽


거북이를 두고 온 것입니다

→ 거북이를 두고 왔습니다

10쪽


먼저 군부대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 먼저 싸움터를 떠납니다

11쪽


건빵 봉지 안에 무언가가 꼼지락거렸습니다

→ 마른빵 자루에서 무엇이 꼼지락거립니다

17쪽


저녁 준비를 했어요

→ 저녁을 차려요

20쪽


내년에도 나 데리고 올 거지?

→ 이듬해도 나 데리고 오지?

→ 다음해도 나 데려오지?

41쪽


지방종이에 불을 붙였어

→ 글종이에 불을 붙였어

→ 비나리글에 불을 붙였어

41쪽


미리 준비해 둔 재료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만들었다

→ 미리 챙긴 꾸러미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했다

→ 미리 챙긴 살림을 꺼내 떡볶이를 뚝딱 차렸다

49쪽


네∼ 별이 다섯 개입니다

→ 네! 별 다섯입니다

→ 네! 별이 다섯

→ 네! 다섯별

50쪽


같은 종이가 여기저기 붙어있는 걸 보며 웃었다

→ 같은 종이가 여기저기 붙어서 보며 웃었다

51쪽


이사하는 날은 기어이 오고야 말았지

→ 떠나는 날은 끝내 오고야 말았지

→ 가는 날은 마침내 오고야 말았지

60쪽


인사성이 밝구나

→ 몸새가 밝구나

→ 결이 밝구나

→ 절빛이 밝구나

62쪽


해가 저물어 골목이 어두워지자 내 마음도 어두워지는 것 같았어

→ 해가 저물어 골목이 어둡자 내 마음도 어두워

63쪽


골목 입구에 서 있는 가로등이 불을 밝혀도

→ 골목 어귀에 선 거리불이 밝아도

→ 골목 앞에 있는 길불빛이 밝아도

6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폭 선생님 5
코쥬코 모리모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10.

만화책시렁 648


《조폭 선생님 5》

 모리모토 코즈에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9.15.



  싸움꾼은 싸울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습니다. 노래꾼은 노래할 뿐입니다. 나쁘거나 좋지 않습니다. 잠보는 즐겁게 잘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아요. 느림보는 느리게 할 뿐입니다. 나쁠 일도 좋을 일도 없습니다. 키가 크거나 작든 모두 어버이입니다. 얼굴이 어떤 모습이건 모두 아이입니다. 목소리도 매무새도 다 다른 사람이요, 풀꽃에 나무에 짐승에 바람입니다. 《조폭 선생님》은 길잡이나 어른이나 아이 누구라도 그저 다 다르게 태어나서 살아가고 자라면서 만나고 헤어진다는 줄거리를 다룹니다. 싸움무리(조직폭력배)를 이룬 집안에서 나고자란 아가씨가 어릴 적부터 스스로 주먹힘을 갈고닦았더라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나아가는 길일 뿐입니다. 차츰 이리저리 밀려나면서 사랑받지 못 했다고 느끼는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싸움질을 일삼지만,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직 철이 안 든 아이들을 다독이고 달랠 노릇입니다. 철이 없으면 어른 아닌 철바보입니다. 철바보 아닌 ‘철보’로 서서 ‘철지기’로 피어나기에 ‘어른’입니다.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면서 스스로 사랑씨앗을 품을 적에 아름다울는지 찾아나서기에 ‘길잡이’예요.


ㅅㄴㄹ


“네가 무슨 진짜 권투선수냐? 상대에 맞춰서 권투 같은 걸 하게.” “뭐? 뭔 소리야?” “우린 여기 스포츠를 하러 온 게 아니야. 살아남기 위해서 이기러 온 거라구.” (80쪽)


“어쨌든 좀 당황스럽군요. 난 지금까지 여자를 때린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 “걱정 마시죠. 얻어맞을 생각은 없으니까요.” (94, 95쪽)


“잘 봐! 저건 살인자의 눈이라구!” “그런 이유로 무조건 몰아붙이는 건 말이 안 되잖아.” (123쪽)


“진정들 해. 경찰 나리들께 작은 빚을 만들어 준 것도, 그리 나쁘진 않으니까.” (128쪽)


#森本梢子 #ごくせん


《조폭 선생님 2》(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


자기 배에 품은 부동명왕 말이야

→ 우리 배에 품은 가운임금 말이야

→ 배에 품은 가운님 말이야

→ 배에 품은 굳은님 말이야

1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02 : 완벽 소설에의 편지에의 가지고 있다


나는 완벽한 소설에의 꿈보다 완벽한 편지에의 꿈을 가지고 있다

→ 나는 글꽃을 잘 쓰기보다 글월을 잘 쓰고 싶다

→ 나는 이야기보다 글월을 잘 쓰고 싶다

《발바닥 내 발바닥》(김곰치, 녹색평론사, 2005) 262쪽


글꽃을 잘 써도 되지만, 굳이 잘 써야 하지 않습니다. 글월을 훌륭히 써도 되나, 애써 훌륭히 쓸 일은 없습니다. 마음을 담기에 나눌 만한 글입니다. 이야기를 얹어서 사랑을 속삭이고 살림길을 밝히니 넉넉히 누리는 글입니다. ‘잘’에 얽매이기에 빈틈을 안 보이려 하는데, 빈틈없이 쓴대서 잘 쓴 글도 훌륭히 여민 글도 아니에요. 사랑은 잘잘못을 가리지 않거든요. 살림은 잘잘못으로 가르지 않습니다. 잘잘못은 오로지 솜씨나 재주로 기울면서 속빛하고 등집니다. ㅅㄴㄹ


완벽(完璧) : 1.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2. 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 완벽귀조

소설(小說) : 1. [문학] 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 일정한 구조 속에서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 사상, 심리 따위를 통하여 인간의 모습이나 사회상을 드러낸다. 분량에 따라 장편·중편·단편으로, 내용에 따라 과학 소설·역사 소설·추리 소설 따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옛날의 설화나 서사시 따위의 전통을 이어받아 근대에 와서 발달한 문학 양식이다 ≒ 이야기 2. 소설이 실린 책 = 소설책

편지(便紙/片紙) :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 간독·간찰·서간·서독·서소·서신·서장·서찰·서척·서한·서함·성문·신·신서·이소·찰한·척한·편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