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6.
사진책시렁 144
《Black Genesis : African Roots》
Jurgen Vollmer 사진
John Devere 글
St Martins Pr
1980.
모든 글과 그림과 빛꽃은 ‘누’가 담거나 나누거나 펴려고 하느냐에 따라서 ‘감’이 다릅니다. ‘보러(취재)’ 가서 담는 글·그림·빛꽃은 ‘구경’이라는 울타리를 못 넘기 일쑤입니다. ‘삶(일상·생활)’으로 누리는 하루를 스스로 담을 적에는 ‘살림’이라는 길을 바라보면서 ‘사랑’으로 그려내는 발걸음으로 잇게 마련입니다. 섣불리 붓부터 쥐지 말라는 뜻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글부터 담으려 하지 말고, 그림이나 빛꽃부터 옮기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먼저 만나고, 사귀면서 맞아들인 다음에 글·그림·빛꽃으로 나타내려고 해야, 조금쯤 ‘맛보기’처럼 녹아들어서 속빛을 살짝 볼 수 있습니다. 《Black Genesis : African Roots》를 읽으면서 “누구 눈”인지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아프리카에서 나고자란 사람이 아프리카에서 익힌 눈길로 아프리카롤 담아내려고 한다면, 이 꾸러미에 나오는 모습을 굳이 안 찍었으리라 봅니다. ‘사회·역사·문화’라는 이름을 섣불리 앞세우려 하기에 그만 틀에 박힌 그림만 흘러요. 오늘날로 치자면 “아파트를 처음 본 사람이 아파트를 찍듯”이 아프리카 이웃을 찍으려 했달까요? 속으로 깊고 넓게 다가서면서 스미기 어렵거나 못 하겠다면, 붓도 찰칵이도 안 쥐어야 맞습니다.
- A Voyage from Juffure, the Gambia, Through Mandingo Country to the Slave Port of Dakar, Senegal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