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자리 바꾸기 (도서관일기 2012.5.8.)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이름을 새로 적기로 한다. 이제까지 ‘사진책 도서관’이라 했으나, 이제부터 ‘서재도서관’이라 적으려 한다. 이름을 새로 적더라도 사진책을 알뜰살뜰 건사하는 도서관 모습은 그대로라 할 수 있다. 다만, 한국이라는 나라는 ‘그림책 도서관’이든 ‘만화책 도서관’이든 없기 때문에, 이런저런 도서관을 나라나 지자체에서 세우지 않고, 개인이 혼자 읽던 책으로 꾸리는 일을 생각해 주지 못한다. 나는 내 책으로 내 서재이자 도서관을 꾸리는 일을 하는데, 내 둘레 사람들은 자꾸 내가 ‘헌책방 장사’를 하는 줄 잘못 말하고 잘못 생각한다. 더는 두고볼 수 없다고 느껴, 도서관 이름을 새로 적어 보기로 한다.


  하루에 한 시간이라도 책을 갈무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더니, 참말 하루에 한 시간이라도 책을 갈무리하는 날이라면 더없이 고마운 노릇이지만, 이 틀에서 못 벗어나는구나 싶다. 그래서 내 생각도 바꾸기로 한다. 날마다 두어 시간 즐겁게 마실을 하며 책을 갈무리하고, 식구들과 서재도서관 둘레 들길을 거닐거나 멧길을 오르내리자 생각하기로 한다. 아침에는 식구들 빨래를 하고, 낮이 되기 앞서 식구들 밥을 차려서 먹은 다음, 천천히 짐을 꾸려 서재도서관으로 나와 책을 조금 갈무리하고서, 슬슬 들길을 걷는다. 들길을 걷다가 멧길로 바뀔 수 있고, 다시 천천히 집으로 돌아올 수 있다. 들길을 거닐며 들풀을 뜯어먹을 수 있다. 아이들과 노래부르며 노닐 수 있다.


  책꽂이 자리 바꾸기를 한다. 이제 꼴이 제법 나며, 어느 만큼 치웠구나 싶다. 자질구레한 짐은 한쪽으로 몰아놓자. 여름에는 책손을 부르자. 좋은 책을 만나러 좋은 시골로 나들이하면서 좋은 삶을 누리자는 이야기를 나누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섯 시 책읽기

 


  다섯 시가 되면 우리 집 처마에서 함께 살아가는 제비들이 재재배배 노래를 한다. 제비들 노래소리를 들으면서 새날이 밝았다고 깨닫는다. 그러나, 제비들 노래를 들으며 아침에 일어나지는 않는다. 나는 언제나 새벽 두어 시면 아이들을 살며시 토닥이고는 조용히 일어나니까. 새벽 다섯 시에 제비들 노래소리를 들으며 이제 좀 자리에 다시 드러누워 아침까지 쉬자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일고여덟 시 사이에 일어날 테니, 이때에 홀가분하며 기쁘게 다시 일어나도록 몸을 누여야지. (4345.5.9.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외버스 텔레비전 책읽기

 


  시외버스에 붙은 텔레비전에 역사연속극이 나온다. 역사연속극은 어느 해 어느 역사를 보여주는지 알 길이 없다. 다만, 칼과 창과 활을 갖춘 사내들이 서로 죽이고 죽는 모습이 끝없이 이어진다. 곰곰이 생각한다. 역사연속극이나 역사영화라 이름을 붙이며 보여주는 모습이란 으레 ‘싸움’이고 ‘죽임’이며 ‘칼부림’이다. 지난날 사람들은 늘 싸우고 언제나 죽이며 노상 칼부림을 했다는 소리인가 궁금한데, 연속극이나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든 연속극이나 영화를 보는 사람이든 이 굴레에서 헤어나지 않는다. 돌이켜보면, 초·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역사란 그저 땅빼앗기 역사이다. 어느 해 어느 임금이 나라땅을 어느 만큼 넓혔고, 어느 해 어느 임금이 나라땅을 어느 만큼 잃었는가 하는 이야기를 아이들이 달달 외워 시험문제 잘 맞추도록 이끈다. 가르치는 사람도 배우는 사람도 궁금해 하지 않는다. 땅빼앗기가 역사가 될 만한가 아닌가를 깨달으려 하지 않는다.


  얼마나 많은 내 할머니 할아버지가 임금님들 쓸데없는 싸움짓에 휘둘리며 피를 흘려야 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얼마나 많은 내 할머니 할아버지가 임금님들 궁궐을 짓고 성곽을 쌓느라 집과 고향 잃은 채 서울 언저리에서 눈물을 흘려야 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임금님 수라상은 역사일까. 임금님 으리으리한 옷은 문화일까. 임금님을 둘러싼 신하들과 심부름꾼들은 사회일까.


  아이들과 함께 탄 시외버스 텔레비전에서 흐르는 역사연속극은 온통 죽이고 죽는 외침과 목소리뿐이다. 아이들이 이런 연속극이나 영화를 볼 때에 역사를 생각할 수 있을까. 역사라 할 때에는 이렇게 죽이고 죽여야 역사가 된다고 생각해야 옳을까.


  학자들은 임금님 밥상이나 옷차림이나 살림살이를 옛 신하들이 남긴 책을 살피고 유물과 유적을 캐내어 되살린다고 한다. 그런데, 학자들 가운데 이 나라 98%를 넘게 차지하던 여느 흙일꾼 밥상이나 옷차림이나 살림살이를 적바림하거나 되살리거나 알아보려 하는 몸짓을 보여주는 이는 없다. 옛날뿐 아니라 오늘날 여느 흙일꾼 밥상이나 옷차림이나 살림살이를 오늘날 학자들은 얼마나 잘 읽거나 헤아리거나 살필까.


  아이랑 쌀보리 놀이를 한다. 내가 아이랑 하는 쌀보리 놀이는 언제 누구부터 했는지 알 길이 없다. 아이하고 가위바위보를 한다. 내가 아이랑 하는 가위바위보는 언제 누구부터 했는지 알 노릇이 없다. 왜냐하면, 역사책이나 문화책이나 사회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하나도 안 적히니까. 다만, 곰곰이 생각을 기울인다. 내 어버이를 생각하고 내 어버이를 낳은 어버이를 생각한다. 하나하나 되짚으며 먼먼 옛날 한아비 삶과 놀이를 생각한다. 생각을 좇고 생각을 밝히다 보면, 뿌리를 알고 줄기를 알며 잎사귀와 꽃봉우리를 알 수 있겠지. (4345.5.7.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해인

 

 

  작은 시집 《작은 기쁨》(열림원,2008)을 읽는데, “시는 / 내 마음을 조금 더 / 착하게 해 주었다” 하는 노래 한 마디에 오래도록 눈길이 멎는다. 내가 글을 왜 쓰는가 하고 생각해 보니, 나 또한 내 마음을 내 손으로 착하게 다스리고 싶기 때문이로구나 하고 깨닫는다. 내 삶을 내 생각으로 예쁘게 일구고 싶기에 글을 쓰고, 내 꿈을 내 사랑으로 보듬고 싶기에 사진기를 쥐는구나 하고 느낀다.


  이해인 님은 수녀원에서 마흔 해를 넘게 살았다 하는데, 수녀원이란 어떤 곳일까. 수녀원에서 올리는 비손은 누구를 아끼거나 사랑하는 춤이나 노래일까. 수녀원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를 품으며 어깨동무할까.


  참말, 착하게 살아가고 싶어 수녀원이라는 길을 걸어가며 싯말 몇 가닥 갈무리한 이해인 님이라 할 테지. 문학이나 예술이나 어떤 이름이 붙기 앞서, 스스로 착한 삶을 좋아하며 빙긋 지은 웃음 한 자락이 싯말 하나로 태어났겠지. 이해인 님과 이웃한 사람들이 저마다 착하게 살아가고 싶은 꿈과 예쁘게 사랑하고 싶은 이야기를 조곤조곤 나누면서 하루하루 고맙게 맞이하며 누릴 수 있기를 빈다. (4345.5.6.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2-05-06 11:50   좋아요 0 | URL
제 사무실 책꽂이에 놓여 있는 이해인 수녀님 시집은 마음이 어수선할때, 누군가를 미워하는 마음이 생길때 읽으면 도움이 됩니다. 정갈하게 해주지요.

숲노래 2012-05-07 06:05   좋아요 0 | URL
마음속으로 바라는 대로 좋은 이야기를 찾으시리라 생각해요
 


 나무 책읽기

 


  시골에서 열 해쯤 살아야 시골사람이 된다고들 말합니다. 사진을 한다 할 때에 열 해쯤 해야 비로소 눈이 트인다고들 말합니다. 인천에서 살 적에 인천물을 열 해쯤 먹어야 바야흐로 인천사람이라 할 만하다고들 말합니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 스스로 열 해가 지난 누군가를 바라보며 당신 시골사람이요, 당신 사진하는 사람이요, 당신 인천사람이요, 하고 받아들이는 듯하지는 않습니다. 울타리 하나를 세워 사람들을 몰아세우고, 이 울타리를 넘으면 다른 울타리를 세워 다시 몰아붙이며, 이 울타리를 또 넘으면 새삼스러운 울타리를 거듭 마련해 자꾸 닦달합니다.


  나는 내 나름대로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하루를 살아도 시골사람입니다. 사진기를 갓 장만했어도 사진으로 바라보는 눈을 새로 틉니다. 인천에서 한나절을 보냈어도 인천사람이라 할 만합니다.


  스무 해를 살아야 시골사람이 되지 않습니다. 마흔 해를 뿌리내려야 토박이가 되지 않습니다. 예순 해 한길을 걸어야 사진빛을 뽐내지 않습니다. 시골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은 하루를 살아도 시골을 아끼고 사랑합니다. 사진을 좋아하거나 사랑할 사람은 꼭 한 번 사진기를 손에 쥐어도 좋은 빛과 사랑스러운 그림을 빚습니다. 스스로 가장 즐겁게 누릴 삶을 헤아린다면, 어디이든 이녁한테 고향이 되고 보금자리가 됩니다.


  시골집에서 지내며 늘 나무를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온통 나무입니다. 도시로 마실을 나오며 나무만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높고낮은 건물과 아스팔트와 자동차로 득시글거린다 하지만, 내 눈에는 나무만 한껏 들어옵니다. 나무가 숨쉬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노래하거나 우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부르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웃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잠을 자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꿈을 꾸는 소리를 듣습니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나무는 참으로 가녀립니다. 늘 아프고 늘 콜록거립니다. 도시에서 뿌리내린 나무는 참으로 앙상합니다. 잎이 시들시들하고 힘알이가 없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모두 나무입니다. 모두들 봄맞이 푸른 잎사귀 달려고 힘쓰는 나무입니다.


  도시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자라야 하는 나무처럼 힘알이가 없으며, 갖은 때와 먼지를 잔뜩 머금었다고 느낍니다. 도시에서 스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뿌리내려야 하는 나무처럼 가냘프고 아프며 힘들구나 싶습니다.


  모두들 사랑스레 살아갈 수 있기를 빕니다. 저마다 아름다이 뿌리내리며 어깨동무하기를 바랍니다. 서로서로 예쁘게 어깨동무하면서 고운 나날을 빛내는 꿈을 꿉니다. 내 시골집 나무를 그립니다. 내가 나들이를 온 도시에서 가만가만 바라보는 나무를 떠올립니다. 이 나무들과 함께 내가 살아가고, 내 목숨과 함께 나무들이 숨을 쉽니다. (4345.5.5.흙.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2-05-05 10:05   좋아요 0 | URL
어릴때부터 보아온 커다란 나무 혹은 추억이 깃든 나무는 나이가 들어서도 마음에 안식이 될 것같아요. 존재감만으로도 힘이되는 게 나무네요. 전 딱이 생각나는게 없지만 집에 있었던 작은 포도나무 하나가 생각나네요

숲노래 2012-05-05 11:28   좋아요 0 | URL
좋은 나무 한 그루가
오래오래 내 마음속에서
사랑스러운 이야기를
이어가리라 믿어요~

순오기 2012-05-05 12:37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들러 주욱 훑어봤습니다~~~~ 요즘 서재 마실도 못했거든요.
네식구가 파주로 마실 하셨네요~~ ^^

숲노래 2012-05-06 07:41   좋아요 0 | URL
네, 처가 식구 있는 일산 거쳐
오늘 시골집 고흥으로 돌아간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