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068) 땡땡이 2 (땡땡이를 치다, 농땡이를 부리다)


[한국말사전]

1. 흔들면 땡땡하는 소리가 나게 만든 아이들의 장난감

2. ‘종(鐘)’을 속되게 이르는 말

3. ‘전차(電車)’를 속되게 이르는 말


[일본말사전]

1. (장난감) でんでん太鼓たいこ.

2.  [속어] (종) 鐘かね.



  ‘물방울’ 무늬를 ‘땡땡이(てんてん-)’라 말하는 일은 올바르지 않다는 이야기가 제법 퍼졌습니다. 다만, 제법 퍼졌어도 제대로 고쳐쓰거나 바로잡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그런데, ‘땡땡이’라는 말은 무늬를 가리키는 자리에만 쓰지 않습니다. 다른 자리가 하나 더 있습니다.


  두 가지 사전을 찾아보면, 한국말사전에 나온 ‘땡땡이’는 일본말사전에 나온 ‘땡땡이’와 똑같은 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말사전에 실린 ‘땡땡이’는 한국말이 아닌 일본말입니다.


[한국말사전]

땡땡이치다(속되게) : 꾀를 부려서 일이나 공부 따위를 열심히 하지 않다

   - 수업을 땡땡이치다

땡땡이 :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눈을 피하여 게으름을 피우는 짓

   - 학교에 가지 않고 땡땡이를 부리다


[일본말사전]

サボタ-ジュ : 사보타주, 태업, 게으름 피움

サボる : [속어] 사보타주하다, 게으름 피우다

   - 授業をサボるのはよくないよ 수업 땡땡이치는 건 안 좋아


  ‘땡땡이치다’라는 말을 한국사람도 널리 씁니다. 한국말사전에 올림말로 나옵니다. 그러면 ‘땡땡이치다’에서 ‘땡땡이’는 무엇을 가리킬까요? 바로 ‘쇠북’인 ‘종’을 가리킵니다. 일본에서는 쇠북을 치는 소리를 ‘땡땡’으로 적습니다. 이러면서 ‘쇠북’을 가리키는 낱말이 ‘땡땡이’인 셈이고, 이러한 말밑을 바탕으로 “꾀를 부려서 일이나 공부를 안 하는 모습”을 가리키는 자리에까지 썼어요.


  한편, 일본에서는 ‘게으름 피우다’를 ‘사보타주’라는 외국말을 빌어서 ‘사보루(サボる)’ 꼴로 씁니다. 그런데 이 말투를 한국말로 옮기거나 일본말을 배우는 분들이 ‘땡땡이치다’로 잘못 쓰거나 옮기기 일쑤입니다. 일본말을 다른 일본말로 옮기는 셈이라고 할까요.


 油を賣る(あぶらをうる)


  ‘땡땡이’와 비슷하게 쓰는 낱말로 ‘농땡이’가 있습니다. ‘농땡이’도 일본말입니다. 그러나 이 낱말도 한국말사전에 버젓이 올랐으며, 말밑이 무엇인지 제대로 밝히지 못합니다. 일본에서 “기름을 붓는 일을 하다가 노닥거리기만 한다”는 뜻에서 비롯한 낱말인 ‘농땡이’입니다. 그리고, ‘농땡이’나 ‘땡땡이’는 모두 막일판(공사판)에서 널리 썼다고 합니다. 막일판을 일본말로 ‘노가다(土方どかた)판’이라 합니다.


  이제 간추려 보자면, 일제강점기부터 ‘노가다’가 한국에 들어오면서 ‘노가다’에서 쓰던 일본말 ‘땡땡이를 치다’와 ‘농땡이를 부리다’가 마치 한국말이라도 되는듯이 스며들어서 퍼진 셈입니다. ‘노가다’는 ‘막일’로 바로잡아서 쓴다고 하는데, 아직 ‘땡땡이’와 ‘농땡이’는 한국말로 바로잡지 못하는 셈입니다.


 빼먹기 ← 땡땡이

 빼먹다 ← 땡땡이를 치다

 노닥거림 ← 농땡이

 노닥거리다 ← 농땡이를 부리다


  이제라도 한국말을 바르게 살펴서 옳게 쓸 수 있기를 빕니다. 굳이 일본말을 빌어서 ‘빼먹기’와 ‘노닥거림’을 나타내야 하지 않습니다. 4348.3.18.물.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1067) 땡땡이


외톨이 양말 중 하나는 보라색 물방울 무늬가 있어 ‘땡땡이’라고 불렀습니다. 땡땡이의 짝꿍은 어느 날 세탁기를 향해 날아가다가 세탁기 뒤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임정진-나보다 작은 형》(푸른숲,2001) 75쪽


 물방울 무늬가 있어 ‘땡땡이’라고

→ 물방울 무늬가 있어 ‘방울이’라고

→ 물방을 무늬가 있어 ‘동글이’라고

→ 물방을 무늬가 있어 ‘점박이’라고

→ 물방을 무늬가 있어 ‘점둥이’라고

 …



  ‘てんてん’이라는 일본말이 있습니다. 일본사람은 ‘点点(點點)’이라는 한자를 ‘땡땡’으로 읽는다고 합니다. 이 일본말은 ‘점과 점’을 가리키는데, 동글동글한 무늬가 있는 모습을 나타낼 적에 흔히 씁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물방울’이라고 나타냅니다. 일본사람은 “땡땡이 스커트”라 말하고, 한국사람은 “물방울 치마”라 말합니다.


  그런데, ‘빵꾸’나 ‘만땅’이라는 일본말처럼 ‘땡땡이’라는 일본말은 한국 사회에 널리 퍼졌습니다. 이런 일본말을 아무렇지 않게 아무 곳에나 쓰고 맙니다. 이 보기글에서 보듯이, 어린이책에도 ‘물방울’이 아닌 ‘땡땡이’라는 낱말이 버젓이 튀어나옵니다.


  물방울은 동그랗습니다. 그래서 ‘방울이’나 ‘동글이’ 같은 이름을 새롭게 쓸 수 있습니다. ‘방울방울’이나 ‘동글동글’이라고 해도 잘 어울립니다. 옷에 넣은 무늬라면 “물방울 무늬”나 “방울 무늬”나 “동글 무늬”나 “동그라미 무늬”라 할 만합니다. 4348.3.18.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외톨이 양말 가운데 하나는 보라빛 물방울 무늬가 있어 ‘방울이’라고 했습니다. 방울이 짝꿍은 어느 날 세탁기로 날아가다가 세탁기 뒤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중(中)’은 ‘가운데’로 다듬고, ‘보라색(-色)’은 ‘보라빛(보랏빛)’으로 다듬습니다. “-라고 불렀습니다”는 “-라고 합니다”나 “-라는 이름이 있습니다”로 손질하고, “땡땡이의 짝꿍”은 “방울이 짝꿍”으로 손질하며, “-를 향(向)해”는 “-로”로 손질합니다.



땡땡이(일본말 tenten點點-) : → 물방울무늬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옹글게 쓰는 우리 말

 (1593) 온별누리·해누리·별누리·온누리


  나는 어릴 적부터 ‘태양계(太陽系)’와 ‘은하계(銀河系)’라는 말을 들엇습니다. 학교에서 이렇게 가르치고, 어른들도 이 같은 말을 썼습니다. 책이나 신문이나 방송에도 모두 이렇게 나와요. 그런데, ‘태양계’는 ‘해’가 한복판에 있습니다. ‘은하계’에는 별이 가득 있습니다.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여러 별이 해를 둘러싸고 도는 곳이라면 왜 ‘해’라는 낱말을 안 쓰고 ‘태양’이라는 한자말을 써야 할까요? 별이 수없이 많다고 하는 곳을 가리키는 이름이라면 왜 ‘별’이라는 낱말을 안 쓰고 ‘은하’라는 한자말을 써야 할까요?


 온누리 ← 천지, 우주

 별누리 ← 천체

 해누리 ← 태양계

 온별누리 ← 은하계


  ‘누리’라고 하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 낱말을 바탕으로 삼아서, 오늘날 우리가 쓰는 여러 가지 이름을 담아내 보면 어떠할까 하고 생각합니다. 먼저, ‘온누리’가 있어요. 지구별을 모두 아우를 적에 ‘온누리’라는 말을 쓰고, 지구별뿐 아니라 다른 모든 별을 아우르면서 ‘온누리’를 쓰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별누리’가 있어요. 별이 있는 너른 터를 가리키는 이름이 되는 ‘별누리’입니다. 지구에서 지구 바깥을 바라본다면 ‘별누리’라는 이름을 쓸 만해요.


  그리고 ‘해누리’가 있습니다. 해를 한복판에 놓고 흐르는 별누리이기에 ‘해누리’라 할 수 있어요. 한편 ‘온별누리’가 있어요. 드넓어 끝이 보이지 않도록 별이 가득한 곳을 아우를 적에는 ‘온별 + 누리’나 ‘온 + 별누리’ 꼴로 새말을 지을 만합니다. 모든 별이 있는 누리입니다. 모든 별누리가 있는 커다란 품입니다.


  다만, 이런저런 낱말을 과학에서 받아들여서 쓸는지 안 쓸는지 모릅니다. 과학이 아는 여느 자리에서 이런 낱말을 쓰자고 하면 얼마나 받아들일는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그래도 ‘해누리’나 ‘별누리’ 같은 낱말을 꽤 널리 쓰고, ‘온누리’ 같은 낱말도 제법 널리 씁니다. 이 낱말 가운데 한국말사전에 오른 낱말은 없습니다만, 우리가 이 낱말을 알뜰살뜰 사랑하면서 쓴다면, 머잖아 한국말사전에도 오를 테고, 우리 넋을 북돋우는 말길도 새로 틀 수 있으리라 봅니다. 4348.3.17.불.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삶 37 ‘짓다’와 ‘지우다’



  짓는 사람은 늘 손수 짓습니다. 지우는 사람은 언제나 남한테 맡깁니다. 짓기에 손수 가꿉니다. 지우기에 언제나 남한테 손을 벌립니다.


  삶은 짓습니다. 삶은 지우지 않습니다. 삶은 짓기에 늘 새롭게 나타납니다. 그런데, 내가 어떤 일을 좀 잘못했거나 엉터리로 했다고 여겨서 ‘지우려’고 하면 어찌 될까요. 지우려고 한대서 내가 걸어온 길이 사라지거나 없어질까요? 내가 일으킨 말썽이나 잘못을 지우려고 하면 참말 지울 수 있을까요?


  우리는 어떤 발자국이든 굳이 지울 까닭이 없습니다. 이제껏 어떤 길을 걸어왔어도 이제부터 새 발걸음을 지으면 됩니다. 지운다고 없어지거나 달라지지 않습니다. 지우려고 하면 자꾸 지울 생각에 파묻힙니다. 지우려고 하니까 외려 지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더 지저분해지고 맙니다.


  새로 지으려고 하면 지울 까닭이 없습니다. 새로 지었기 때문입니다. 새로 짓는 사람은 지난날 어떤 말썽이나 잘못을 일으킨 적이 있어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새로 짓는 마음은 ‘감추거나 숨기거나 없애’려는 마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새로 짓는 마음은 스스로 새로 깨어나려는 마음입니다. 새로 짓는 마음은 스스로 삶을 새로 가꾸어서 돌보려는 마음입니다.


  잘못을 저질렀기에 그만 한 값을 치러야 하지 않습니다. 아니, 값을 치를 수도 있습니다. 그저, ‘값을 치를 뿐’입니다. 그러니까, 잘못을 저지른 아이를 앞에 놓고 이 아이를 꾸짖거나 윽박지르거나 손찌검을 하거나 얼차려를 줄 수 있습니다만, 잘못을 저지른 아이를 따사롭게 타이르면서 괜찮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잘못을 저지른 아이는 안 바라볼 수도 있어요. 잘못을 저지르건 말건, 이 아이가 삶을 새로 짓도록 웃음과 노래로 이끌 수 있습니다.


  어느 길을 간다고 해서 더 낫거나 나쁘지 않습니다. 다 다른 길입니다. 다 다른 길이되, 어느 길은 ‘주눅 드는 길’이고, 어느 길은 ‘가르치고 배우는 길’이며, 어느 길은 ‘사랑으로 삶을 짓는 길’입니다.


  짓는 삶은 새롭습니다. 이제껏 없던 것을 지으니 새롭습니다. 지우는 삶은 낡습니다. 이제껏 있던 것을 그저 붙잡거나 매달리니 낡습니다. 짓는 삶은 늙거나 아프지 않습니다. 언제나 새롭게 깨어나니까 늙을 일도 아플 일도 없지만, 늙음이나 아픔이라는 말을 아예 떠올리거나 그리지 않습니다. 지우는 삶은 늙거나 아픕니다. 언제나 그 자리에 머물면서 제자리걸음이나 뒷걸음을 하니까 늙거나 아플 일만 있습니다. 새로움이 없이 한곳에 고인 채 더 움직이지 않으니 늙거나 아픕니다. 지우는 삶은 언제나 늙음과 아픔만 떠올리거나 그립니다.


  새로운 일을 지으면 새롭습니다. 틀에 박힌 어떤 일을 붙잡으려고 하면 지치거나 괴롭습니다. 새로운 일로 나아가서 기쁘게 맞이하면 참으로 새로우면서 기쁩니다. 새로움과 기쁨을 생각해서 넉넉히 맞아들이니 말 그대로 새롭고 기쁩니다. 이와 달리, 틀에 박힌 어떤 일을 붙잡기만 하면, 이 틀에 박힌 대로 해내야 하니까 아무래도 몸이나 마음이 힘들면서 기운을 많이 쏟아야 합니다. 고단하면서 웃음도 없고 노래도 없어요.


  삶을 짓는 사람이 웃습니다. 돈을 많이 벌어야 삶짓기가 아닙니다. 말 그대로 삶을 지어야 삶짓기입니다. 웃음을 지어 웃음짓기입니다. 노래를 지어 노래짓기입니다. 글을 지어 글짓기입니다. 꿈을 지어 꿈짓기입니다. 사랑을 지어 사랑짓기입니다. 밥을 지어 밥짓기입니다. 집과 옷을 지으면 집짓기와 옷짓기입니다.


  우리는 먼먼 옛날부터 모든 삶을 손수 지었습니다. ‘삶짓기(현실 창조)’란 바로 내가 나답게 홀로서면서 기쁘게 웃고 노래하면서 이야기꽃을 피우려는 기운찬 발걸음입니다. 4348.2.28.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묶음표 한자말 206 : 낙토樂土



이제야말로 나는 시가 내 생의 구원이 될 것이라는 예감에 오늘 하루도 즐거이 진흙밭을 낙토(樂土)로 여길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어서 행복하기만 하다

《임동확-나는 오래전에도 여기 있었다》(실천문학사,2005) 159쪽


 낙토(樂土)

→ 즐거운 땅

→ 기쁨누리

→ 멋진 나라

→ 하늘나라

→ 아름다운 곳

 …



  한자말 ‘낙토’는 “즐거운 땅”을 가리킵니다. 한국말사전을 보면 “즐겁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땅을 가리킨다고 뜻풀이를 하는데, ‘행복’이라는 한자말은 ‘기쁨’을 누려서 흐뭇한 마음을 가리켜요. 그러니까, “즐겁고 행복하게”는 “즐겁고 기쁘게”를 가리키는 셈이고, 뜻이 같은 낱말을 나란히 적은 셈입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즐거운 땅”이나 “기쁜 터전”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기쁨누리’나 ‘기쁨나라’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어서 써도 잘 어울립니다. ‘하늘나라’ 같은 낱말을 예부터 썼고, ‘하늘기쁨나라’라든지 ‘기쁜하늘나라’ 같은 낱말을 그야말로 기쁘게 써 볼 만합니다.


 황무지를 일구어 낙토로 꾸미다

→ 거친 땅을 일구어 좋은 땅으로 꾸미다

→ 거친 땅을 일구어 기름지게 꾸미다

 살기 좋은 낙토를 떠나

→ 살기 좋은 땅을 떠나

→ 살기 좋은 곳을 떠나


  한자말 ‘낙토’는 “살기 좋은 땅”을 가리킵니다. 그러니, 한국말사전에 나온 보기글 가운데 “살기 좋은 낙토”는 겹말입니다. 그냥 “살기 좋은 땅”이라고 적으면 됩니다. 우리는 ‘낙토’라는 낱말을 안 써도 될 뿐 아니라, 이런 낱말에 한자를 붙여서 써야 할 일도 없습니다. 4348.3.16.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제야말로 나는 시가 내 삶을 수렁에서 건져 주리라는 느낌에 오늘 하루도 즐거이 진흙밭을 꿈누리로 여길 수 있는 느긋한 마음이어서 기쁘기만 하다


“내 생(生)의 구원(救援)이 될 것이라는”은 “내 삶을 살릴 수 있다는”이나 “내 삶을 수렁에서 견져 주리라는”으로 손보고, ‘예감(豫感)에’는 ‘느낌에’나 ‘미리 느껴’로 손봅니다. “여길 수 있는 여유(餘裕)를 가질 수 있어서”는 “여길 수 있는 느긋한 마음이어서”나 “여길 수 있도록 느긋해서”로 손질하고, ‘행복(幸福)하기만’은 ‘즐겁기만’이나 ‘기쁘기만’으로 손질합니다.



낙토(樂土) : 늘 즐겁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좋은 땅

   - 황무지를 일구어 낙토로 꾸미다 / 살기 좋은 낙토를 떠나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