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틀맺기 : 어떤 일이든 굳이 끝을 맺어야 하지는 않더라. 즐겁게 하다가 안 되면 ‘아, 안 되었네?’ 하고는 그만두고 다른 일을 해도 된다. 곰곰이 보면 사회에서는 무엇이든 ‘끝을 내라’고 하니까, 이런 데에서 꽤 힘들구나 싶다. 하다가 못하면 두 손 들고서 ‘아! 안 되네! 도무지 못하겠네!’ 해도 된다. 이렇게 그만두는 일도 ‘끝맺기’ 가운데 하나일 텐데, ‘하다가 그만두는 끝맺기’는 도무지 안 받아주는 셈이랄까. 어쩌면 사회는 끝맺기 아닌 틀맺기로 내몬다고 할 만하다. 끝이란 맺고 싶은 사람 마음이니, 이렇게 해도 좋고 저렇게 해도 된다. 보기좋게 끝을 맺어야 할 까닭은 없다. 보기나쁘게 끝을 맺으면 어떤가? 그저 그뿐이다. 틀에 박히거나 갇히거나 눌려야 할 일이 없다. 스스로 스스럼없이 하면 되고, 느긋이 놀이를 하듯 끝을 맺으면 즐거울 뿐. 2006.11.5.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밥을 하는 마음 : ‘아, 오늘도 또 밥을 해야 하네?’ 하고 생각할 적에는 참으로 맛없는 밥이 나온다. 이런 마음으로도 사람들 혀를 사로잡는 멋은 낼 수 있으나 참맛이 나올 수 없다. 마음이 벌써 어둠에 물들었으니 손맛이 나오지 않고 겉멋만 나온다. ‘자, 오늘은 또 무슨 밥을 해볼까?’ 하고 생각할 적에는 참으로 맛있는 밥이 나온다. 이런 마음이더라도 사람들 혀를 하나도 못 사로잡는 멋이 될 수 있다만, 마음이 어느덧 기쁨으로 가득하니 겉멋은 볼품없어도 손맛이 확 살아난다. 이제 다 되었다. 무슨 밥을 하고 싶은가? 글을 쓴다면, 무슨 글을 쓰고 싶은가? 책을 읽겠다면, 무슨 책을 읽고 싶은가? 일을 한다면, 무슨 일을 하고 싶은가? 하루를 살겠다면, 무슨 하루를 살고 싶은가? 길은 늘 두 갈래 가운데 하나를 우리 스스로 골라서 간다. 1995.5.7. (덧말 : 신문사지국에서 먹고자며 지내던 날, 새벽마다 같이 밥을 짓던 분이 나한테 들려준 말을 조금 손질해서 옮겨적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학교 가기 싫다면 : 아이가 아파서 학교 가기 싫다 하면, 또는 아이가 그냥그냥 학교 가기 싫다 하면, 어떻게 이야기를 들려주면 좋을까? 내가 어릴 적을 돌아보면 우리 어머니는 ‘밤부터 아예 앓아누워 꼼짝을 못하는 날’이 아니고는 학교로 밀어넣었다. 오늘 나는 이렇게 할 마음이 하나도 없다. 아이가 아프다 하든 안 아프든 “그래, 그럼 오늘은 가지 말자. 푹 쉬렴. 또는 신나게 놀렴. 다만 오늘 하루 무엇을 하면서 쉬거나 놀 생각인지 하나하나 그리고서 쉬거나 놀렴.” 하고 말할 생각이다. 다만 우리 집 아이들은 졸업장학교에 나가지 않으니 이런 말을 들려줄 일이 없다. 아침에 눈을 뜬 아이들한테 “물부터 한 모금 마시고, 오늘 하루 스스로 무엇을 할는지 차근차근 그리고, 이 그림을 너희 공책에 스스로 쓰렴.” 하고 들려준다. 스스로 하루를 그리는 대로 스스로 하루를 짓고, 배우고, 살고, 가꾸고, 누리면 된다. 2019.10.3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곁에 있을 때 : 모든 책집은, 새책집이든 헌책집이든 마을책집이든, 곁에 있을 적에 즐겁게 아끼면서 넉넉히 누려야지 싶다. 아무리 우람한 책집도 하루아침에 이슬처럼 사라질 수 있다. 조그마한 마을책집이라 해서 우리 마음을 적실 책이 없을 수 없다. 우리는 저잣구럭을 무겁게 채우려고 책마실을 가지 않는다. 마음을 적실 책을 만나려고 책마실을 간다. 어제 하나, 오늘 하나, 이튿날 하나, 이렇게 날마다 하나씩 만나도 좋다. 이레 앞서 하나, 오늘 하나, 이레 뒤에 하나, 이렇게 만나도 좋다. 지난달에 하나, 오늘 하나, 다음달에 하나, 이렇게 만나도 좋겠지. 곁에 있을 때에 느끼는 마음이라면 아름답다. 곁에 있을 때에 느끼지 못한다면, 아이들 웃음도 별빛도 햇살도 꽃내음도 나뭇잎도 흙빛도 물결도 못 느낄 수밖에 없다. 2004.5.2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책과 몸 : “책을 그렇게 함부로 다루려면 이제는 책을 그만 보기로 하자.” 말을 바꿔 본다. “책은 네 몸하고 똑같아. 네 몸을 다루듯 책을 다루면 좋겠어.” 더 생각해 본다. “네 몸을 가장 즐겁고 곱게 돌보는 마음이자 손길이 되어 책을 마주하기를 바란다.” 더 돌아본다. “네가 너를 스스로 사랑하거나 아낄 줄 알면, 책을 어떻게 쥐어서 펼 적에 네 눈앞에 꿈나라가 피어나는가를 알 수 있어.” 책을 꾹꾹 눌러 펴며 읽으려 한다든지, 과자나 기름이나 밥풀 묻은 손으로 책을 쥐려 한다든지, 책을 팔랑팔랑 소리가 나도록 넘기면서 읽는다든지, 그러면 책이 얼마나 아파하고 싫어하는지를 부디 마음으로 느낄 수 있기를 ……. 2007.7.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