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화학성분’ 없는 치약·비누는 어디에?

[시골노래] ‘유용미생물(EM)’로 이 닦고 씻고 빨래를



스무 살에 제금을 난 뒤로 늘 손으로 빨래했습니다. 작은아이가 태어나고서야 비로소 집에 빨래기계를 들였지만, 이 빨래기계를 쓰는 일은 매우 드뭅니다. 스무 해 남짓 손으로 빨래를 하면서 ‘재활용비누’만 썼지만, 곁님은 이 재활용비누에도 ‘계면활성제’가 들었으니, 계면활성제 없이 빨래를 하는 길을 찾아보자고 했어요.


털어놓고 말하자면, 저는 스무 해 남짓 손빨래를 하며 살았어도 막상 ‘계면활성제’를 제대로 헤아리지 못했습니다. 재활용비누쯤 되면 여느 비누보다 ‘화학성분이 덜 들었겠거니’ 하고만 여겼어요. 그러나 한 가지는 느꼈어요. 아무리 화학성분이 덜 든 재활용비누로 빨래를 해도 이 비누 냄새가 옷에 배어요. 여느 합성세제만큼 짙게 배는 냄새는 아니지만 말이지요.


도시에 사는 이웃님한테서 때때로 아이들 옷을 선물받아요. 이웃님들은 ‘물려주는 옷이기에 더 깨끗하게 빨아서 보낸다’면서 그만 합성세제를 듬뿍듬뿍 넣어서 빨래를 하신 뒤 보내 줍니다. 아이들 옷이 든 상자를 끌르면 맨 먼저 화학세제 냄새가 짙게 풍겨요.


선물받은 아이들 옷에 밴 화학세제 냄새를 빼려면 땡볕에 사흘쯤 펼쳐서 말린 뒤에 빨래를 한 번 해서 다시 며칠 땡볕에 말려요. 이러고서 한두 번 더 빨래를 해서 다시 땡볕에 말린 끝에야 비로소 냄새가 빠지면 아이들한테 입힙니다.


빨래를 하거나 몸을 씻을 적에 쓰는 비누는 어떻게 장만해야 할까요? 계면활성제도 방부제도 향료도 색소도 표백제도 형광증백제도 안 쓰는, 그야말로 ‘무첨가비누’는 어디에서 사야 할까요? 아이들하고 살며 아무 비누나 쓸 수 없다고 뒤늦게 깨달을 무렵 곁님은 이렇게 말했어요. “사다 쓸 생각을 하지 말고, 우리가 손수 지어서 쓸 생각을 해야지요.”


가장 맞는 말이고, 틀림없이 옳은 말이에요. 그래서 우리는 우리 비누도 우리 치약도 우리 나름대로 어떻게 지어서 쓸 만한가를 생각하고 찾아보고 배우기로 했어요.


요즈음 ‘가습기 살균제 치약’이 말썽거리로 떠올라요. 나라에서는 ‘사람 몸에 나쁘지는 않다’고 밝혀요. ‘이를 닦다가 삼켜도 죽지 않는다’면 그대로 써도 좋다는 뜻이 될까요? ‘삼켜도 죽지 않는다고 하는 온갖 화학약품’을 쓰기보다는 ‘삼켜도 몸에 좋다고 할 만한 천연소재’를 써서 치약이나 비누를 만들어야 올바른 노릇이 아닐까요?


이를 닦을 때 처음에는 생협에서 파는 ‘천연치약’을 써 보았습니다. 그런데 시골에서 살며 ‘생협 천연치약’을 장만하려면 큰 도시까지 가야 해요. 아무래도 너무 힘들어서 ‘사다 쓰는 치약’은 끝내기로 했어요. 그래서 ‘먹는 숯’을 한동안 써 보았습니다. ‘먹는 숯’을 다 쓰고 나서는 ‘소금’을 써 보았습니다. 아이들은 ‘보글보글 거품이 나는 치약’을 쓰다가 숯이나 소금을 쓰라고 할 적에 몹시 싫어했습니다. 숯으로 처음 이를 닦을 적에는 보름 즈음 싫은 티를 내다가 나중에는 재미있다고 숯으로 닦으며 깔깔거리고 놀아요. 소금으로 이를 처음 닦던 아이들은 너무 짜서 싫다고 하다가 며칠 지나니 소금으로 이를 닦을 적에 재미있다며 또 깔깔거리며 놀이하듯이 닦더군요.


이다음으로 우리가 쓴 ‘우리 집 치약’은 ‘유용미생물 치약’입니다. 흔히 ‘이엠치약’이라고도 해요. 이 이엠치약은 가게에서 파는 치약하고는 달라요. 우리 집에서는 ‘물’을 입에 머금은 뒤에 이를 닦아요. 우리 집에서는 ‘이엠 물치약’을 쓰고, 이 물치약은 다음처럼 마련합니다.


ㄱ. 쌀뜨물을 모읍니다. 쌀뜨물은 세 번까지만 모읍니다. 쌀은 흰쌀만 쓰지 않고 누런쌀(현미)과 여러 다른 쌀(잡곡)을 고루 섞어서 쌀뜨물을 얻습니다.

ㄴ. 쌀뜨물을 페트병에 담고 이엠원액과 당밀을 넣습니다. 1.8리터에 이엠원액 20밀리리터와 당밀(또는 설탕) 20밀리리터를 넣습니다.

ㄷ. 여기에 굵은소금 한 꼬집(찻잔으로 한두 번)을 넣습니다. 맛소금이 아닌 굵은소금입니다.

ㄹ. 페트병 목구멍까지 차오르지 않도록 넣어야 합니다. 이엠이 발효하면서 자칫 넘치거나 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ㅁ. 이렇게 하고서 가끔 뒤집어 주며 이레 남짓 지나면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마련한 ‘이엠발효액’은 되게 세요. 이대로 그냥 써도 되지만, 처음에는 너무 세다고 느낄 수 있으니 물을 알맞게 타서 쓰면 한결 낫습니다. 이를 닦을 적에 바로 이 ‘이엠발효액에 물을 조금 섞어’서 입에 머금은 뒤에 잇솔질을 해요.


설거지를 할 적에는 이엠발효액을 그대로 써요. 기름기가 있는 그릇이 나오는 날은 마당에서 풀잎을 뜯어서 먼저 그릇을 부셔 주지요. 모싯잎이나 쇠무릎잎이나 쑥잎이나 다 좋아요. 어떤 풀잎이든 기름기를 잘 빨아들여 주니, 이렇게 애벌설거지를 하고서 이엠발효액을 수세미에 묻혀서 설거지를 하면 뽀독뽀독 소리까지 날 만큼 말끔하게 잘 됩니다.


생각해 보면 ‘수세미’는 땅에서 자란 ‘수세미풀 열매’예요. 오늘날에는 화학섬유로 ‘화학수세미’를 많이 쓰지만, 옛날에는 수세미 열매를 말려서 설거지를 할 적에 썼어요. 그러니까 ‘풀잎으로 하는 설거지’는 그릇에도 우리 살림에도 도움이 되는구나 싶습니다.


빨래를 할 적에는 큰 스텐통에 옷가지를 물과 함께 담그고는 이엠발효액을 빨래 부피에 맞게 부어요. 이러고서 살살 섞지요. 삼십 분이나 한 시간쯤 담가 준 뒤에 신나게 헹구면 빨래 끝! 비누로 비빔질을 하지 않아도 깨끗하고 냄새가 없어요. 끝마친 빨래는 마당에 널어 햇볕을 쪼이면 햇볕과 바람이 잘 말려 주면서 아주 좋은 냄새가 보송보송하게 깃듭니다.


머리를 감을 적에는 이엠발효액을 대야에 알맞게 물을 타서 받지요. 이렇게 하면 몸을 씻든 머리를 감든 설거지를 하든 빨래를 하든, 우리 집에서 나오는 구정물은 흙이나 냇물을 안 더럽힐 수 있습니다. 이 물을 고스란히 밭에 줄 수 있어요.


이엠발효액은 유리병에 담지 않고 페트병에 담아요. 발효하면서 부글부글 끓으니 자칫 터지기 때문이에요. 페트병에 담는 대목이 아쉽지만 이 대목도 나중에는 더 나은 길을 찾으려고 해요.


이렇게 하자면 번거롭거나 성가실까요? 어쩌면 번거롭거나 성가시다고 여길 수 있어요. 그런데 가게에 가서 이 치약이나 비누가 좋을까, 저 치약이나 비누가 좋을까 하고 뒷통수를 긁적이면서 ‘성분표시’를 살필 겨를에 집에서 손수 치약이나 비누를 정갈하게 지어서 쓸 수 있어요. 아이들하고 함께 해 보면 더욱 재미나요. 아이들을 생각해서, 또 우리 어른 스스로를 생각해서, 여기에 우리 삶터와 지구를 생각해서 ‘우리 집 치약·비누’를 손수 지어서 쓰는 길을 함께 걸어 봐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2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석 달 기다려 옥수수 먹기

[시골노래] 아이들이 심은 씨앗이 새 열매로



올봄 아이들하고 옥수수를 신나게 심었습니다. 나는 괭이 한 자루하고 호미 한 자루로 밭을 갈며 돌을 골랐고, 밭을 다 간 자리에는 아이들 손을 빌어 씨앗을 한 톨씩 넣었어요. 씨앗을 두 톨이나 석 톨을 넣고 나중에 솎아내기를 하라는 얘기도 있지만, 우리는 한 자리에 한 톨씩 심었어요.


밭을 일구기 앞서 씨앗을 불렸지요. 지난해에 건사한 ‘씨옥수수’에서 ‘씨알’을 훑어서 물을 머금도록 했어요.


아버지가 밭을 일구면 아이들은 아버지 둘레에서 흙놀이랑 풀놀이를 합니다. 밭 귀퉁이에서 돋는 흰민들레를 들여다보면서 아이 곱네 하다가는, 민들레씨가 동글동글 맺히면 꽃대를 톡 꺾어서 후후 날려요.


아이들이 내 곁에서 신나게 노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괭이질이나 호미질에 힘을 냅니다. 뒤꼍에도 심고, 마당에도 심으며, 때때로 씨옥수수를 입에 머금기도 했어요. 씨앗을 물에 불려서 심어도 잘 된다고 하지만, 밭을 갈아서 두둑을 이루면서 이동안 입안에 씨앗을 머금어 ‘내 침’으로 씨앗을 불린다고 할까요.


씨앗을 입에 머금어 침으로 불릴 적에는 내 침에 깃든 기운(유전자)이 씨앗으로 스민다고 해요. 이렇게 하면 나중에 열매를 맺을 적에 우리 몸에 한결 좋으면서 싱그럽게 된다고 합니다. 씨앗은 입에 머금을 적에는 팔 분 남짓 머금습니다.


아이들하고 심은 씨앗은 천천히 싹을 틔웁니다. 천천히 줄기를 올립니다. 그야말로 천천히 자라는데, 마치 아이들하고 같은 모습이로구나 싶어요. 아이들도 날마다 무럭무럭 자라되 열 몇 해에 걸쳐서 천천히 자라니까요. 옥수수로서는 석 달에 걸쳐서 천천히 자라요.


잘 자라는 옥수수한테는 나비하고 잠자리도 찾아듭니다. 때때로 작은 새가 옥수수잎에 앉으려 하다가 미끄러지기도 합니다. 참새나 박새가 옥수수잎에 앉으려다가 미끄러지면서 부리나케 날갯짓하는 모습을 보면 웃음이 나요.


바야흐로 석 달을 기다린 옥수수를 따는 날 아침, 아이들을 부릅니다. “자, 우리 이쁜 아이들아! 너희가 먹을 옥수수를 너희가 따렴.”


요렇게 돌려야 하나 조렇게 비틀어야 하나 아이들 나름대로 머리를 짜냅니다. 이래저래 흔들다가 그만 옥수수 꽃대를 꺾기도 합니다. 괜찮아. 옆에 있는 다른 꽃대가 있으니 그 꽃대에서 다른 어린 열매가 꽃가루받이를 할 수 있어.


앙증맞으면서 알찬 옥수수 넉 자루는 씨옥수수로 삼으려고 따로 갈무리를 해서 처마 밑에 매답니다. 흰알하고 까만알이 섞인 옥수수를 한동안 바라봅니다. 갓 딸 적에는 부울그스름한 빛깔이 감도는데, 이대로 한참 두면 까맣게 물들어요. 어쩜 빛깔이 이리 고울까.


석 달을 기다린 옥수수를 찜기에 넣습니다. 감자도 함께 넣습니다. 자, 이제 우리는 한 시간을 더 기다리면 돼. 석 달을 기다렸으니 한 시간은 아무것도 아니지?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땀 한 땀 손수 빚은 뜨개이불

[시골노래] 값으로 따질 수 없는 살림



곁님이 뜨개이불을 마무리짓습니다. 조금 더 크게 떠서 마무리를 짓고 싶었다지만, 더 크게 하면 너무 무거워진다고 합니다. 한 땀씩 천천히 떠서 빚은 뜨개이불을 마무리짓기까지 한 달 가까이 걸렸습니다.


손수 짓는 살림을 생각하면서 옷이나 이불을 우리 손으로 이루어 보자는 뜻을 품습니다. 손수 짓는 살림은 한꺼번에 이루지 못합니다. 언제나 천천히 하나씩 이룹니다. 더욱이 손으로 뜨개질이나 바느질을 해서 얻는 옷 한 벌이나 이불 한 채란, 퍽 긴 나날을 들이고 오랜 품을 바쳐야 해요.


한 달 동안 뜨개를 해서 이불 한 채를 얻는다면, 이 이불은 얼마쯤 되는 값을 붙일 만할까요?


나는 예전에 이 대목을 미처 헤아리지 못했습니다. 이를테면 돗자리나 양탄자가 있어요. 돗자리나 양탄자 하나를 이루자면 그야말로 긴 나날과 오랜 품이 들지요. 우리가 오직 돈으로 돗자리나 양탄자를 장만한다고 하면 얼마쯤 되는 값을 치러야 ‘돗자리 지은 사람’이나 ‘양탄자 지은 사람’이 바친 땀에 걸맞다고 할 만할는지요.


하루 내내 뜨개를 해서 한 달을 바치는 뜨개이불 하나를 얻는 일은 고지식할까요? 아니면, 어리석을까요? 또는, 바보스러울까요? 그런데 면실로 한 땀 두 땀 석 땀 넉 땀 찬찬히 들여서 짓는 이 뜨개이불은 ‘우리 살림’이 됩니다. 두고두고 누리면서 즐거울 살림이 됩니다. 앞으로 이 뜨개이불은 아이들이 물려받을 수 있습니다. 너무 낡으면 다시 흙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너무 낡더라도, 군데군데 낡은 곳만 잘라내어 새로 뜨개를 해서 이을 수 있습니다.


곁님이 뜨개이불을 밤새 마무리지은 뒤 아침에 아이들을 부릅니다. 아이들은 뜨개이불을 뒤집어쓰면서 신납니다. 뜨개질을 마쳤으니 물에 담가서 빨래를 합니다. 뜨끈뜨끈 좋은 여름볕에 말립니다. 마당에 뜨개이불을 말리려고 펼쳤더니 어느새 두 아이는 이불빨래 밑에 슬금슬금 들어갑니다.


“집이야! 여기 우리 집이야!” 두 아이는 이불빨래가 마르는 빨랫대 안쪽을 조그마한 놀이집으로 삼아서 그늘도 누리고 놀이도 누립니다.


뜨개이불 한 채 손수 짓기를 마친 곁님은 이제 새로운 뜨개로 나아갑니다. 잘했다고 북돋우면서 꼬옥 안아 줍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2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차 없는 시골길에서 마음껏 걷네

[시골노래] ‘뒤로 걷기’ 놀이 즐기기



군내버스가 두 시간에 한 번 지나갑니다. 읍내로 나가는 버스가 하루에 여덟 대 있습니다. 버스가 참 적다고 여길 만하지만, 버스가 하루에 넉 대만 다니는 마을도 있고, 하루에 꼭 한 대만 다니는 마을도 있어요. 두 시간에 한 대씩 지나가는 군내버스도 ‘퍽 많다’고 여길 만하지 싶어요.


군내버스가 드문드문 지나가는 우리 마을이나 이웃 마을 큰길은 무척 조용합니다. 이 길로 자동차가 지나가는 일도 무척 드뭅니다. 마을에 찾아오는 손님이 아니라면 이 찻길을 달릴 자동차도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하고 자전거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무렵, 넓고 조용한 이 길에서 아이들이 “이제 그만 내려서 걸을래.” 하고 말하곤 합니다. 아버지가 자전거를 달리느라 고단할 테니 쉬게 해 주려는 뜻일까요? 아니에요. 아이들은 새로운 놀이를 하고 싶어서 자전거에서 내리려 합니다.


바로 ‘뒤로 걷기’ 놀이를 하고 싶거든요.


마당이나 마을 고샅길보다 훨씬 넓은 찻길인데다가 자동차도 거의 안 다니니까, 이곳은 아이들이 뒤로 걷기를 하면서 놀기에 참 좋아요. 그리고 뒤로 걷다 보면 저 앞에서 자동차가 오는지 안 오는지도 알아볼 만하겠지요.


사뿐사뿐 가볍게 뒤로 걷습니다. 누나가 뒤로 걷는 모습을 보면서 동생도 뒤로 걷기를 따라하려 합니다. 뒤로 걷다가 고무신이 벗겨져서 멈춥니다. 다시 신을 꿰고 나서 우뚝 섭니다. 왜 서나 하고 지켜보니 둘이서 속닥거립니다. “아버지가 가까이 올 때까지 기다려. 가까이 다가오면 달아나자.” 속닥거리는 소리 다 들리네?


까르르 깔깔 터뜨리는 웃음소리를 들으면서 천천히 시골길을 걷습니다. 나는 자전거를 끌면서 걷고, 두 아이는 뒤로 거닐면서 놉니다. 제법 먼 길을 지치지도 않고, 기운이 빠지지도 않으면서, 아이들은 저희 나름대로 새롭게 놀이를 찾아내어서 씩씩하게 한 발 두 발 내딛습니다.


좋아, 좋아, 참 좋구나. 해가 기울면서 더위도 가시니 한결 좋구나.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201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6-12 19: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6-06-13 04:22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말씀 고맙습니다 ^^
 

‘우리 집 들딸기잼’을 ‘집빵’에 발라 먹는 여름

[시골노래] 여름에 즐기는 신나는 맛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워 숲마실이나 바다마실을 가면 여러 가지를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전거를 타지요. 자전거를 타면서 시원하게 바람을 마시지요. 그리고 숲에서는 숲내음을 맡으면서 놀고, 바다에서는 바닷바람을 즐기는 모래밭놀이를 즐겨요.


여기에 한 가지 재미가 더 있어요. 바로 오뉴월에는 들딸기입니다.


날마다 새롭게 익는 들딸기를 찾아서 신나게 손을 놀립니다. 두 아이는 훑으면서 입에 넣고, 나는 훑으면서 그릇에 담습니다. 두 아이는 들딸기로 배를 채우고, 나는 이 들딸기로 집에서 ‘우리 집 잼’을 졸일 생각이에요.


지난 오월 끝자락에 올들어 첫 ‘들딸기잼 졸이기’를 해 보았습니다. 지난해까지 우리 집에서는 ‘들딸기로 배를 채우기’에만 바빠서 잼을 졸일 생각을 못 했어요. 올해에는 두 아이가 실컷 배를 채우고도 남을 만큼 들딸기를 며칠에 한 차례씩 훑으면서, 이 넉넉한 들딸기를 잼으로 졸여서 두고두고 먹자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들딸기는 여느 밭딸기하고 달라요. 가게에 놓이는 밭딸기는 겨울에 비닐집에서 자란 딸기이고, 이런 딸기는 꽤 오랫동안 무르지 않아요. 그러나 들딸기는 숲에서 따고 나서 한나절이 지나면 벌써 무릅니다. 그날 그자리에서 바로 먹지 않으면 더 먹을 수 없는 들딸기예요.


‘우리 집 들딸기잼’ 졸이기는 이렇게 합니다.


ㄱ. 먼저 숲으로 마실을 가서 신나게 훑는다.

ㄴ.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살짝 헹구고 무게를 잰다.

ㄷ. 들딸기 1kg에 설탕 800g을 넣는다.

ㄹ. 레몬즙을 살짝 넣는다.

ㅁ. ㄷ하고 ㄹ을 골고루 저어서 섞은 뒤에 하루(24시간) 차게 재운다.

ㅂ. 하루가 지난 뒤에 보글보글거릴 때까지 끓인다.

ㅅ. 다 식을 때까지 기다린다.

ㅇ. 다 식은 뒤에 다시 하루 동안 차게 재운다.

ㅈ. 다시 한 번 졸이고는, 뜨거울 적에 건져서 병에 담는다.

ㅊ. 병에 담고 뒤집어 놓는데 다 식으면 차게 둔다.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렵지만 들딸기잼 한 병을 얻기까지 여러 날이 걸립니다. 처음에는 물이 너무 걸쭉하게 되었는데, 이 다음에는 물이 흐르지 않을 만큼 훌륭하게 되었어요.


집에서 졸인 들딸기잼도 냉장고에서 꺼내어 처음 뚜껑을 열면 ‘뻥!’ 소리가 시원하게 납니다.


그리고 들딸기잼병을 열기 앞서 할 일이 하나 있어요. 빵을 구워야지요. 신나게 반죽을 해서 알맞게 부풀 때까지 기다려요. 그러고는 스탠팬을 중불로 켜고는 반죽을 붓고 기다려요. 익는 냄새가 나면 뚜껑을 열고 뒤집지요.


집에서 구운 빵에 집에서 졸인 잼을 올립니다. 손이 제법 가고 여러 날 지나야 비로소 누릴 수 있는 맛입니다만, 이 여름에, 이 오뉴월에, 시골에서 신나게 즐기는 재미난 맛이에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