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민들레 노란민들레 (사진책도서관 2015.4.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민들레에는 흰민들레도 있고 노란민들레도 있다. 흰꽃이 피니 흰민들레이고, 노란꽃이 피니 노란민들레이다. 요즈음은 흰민들레를 보기 어렵다 하는데, 흰민들레를 약풀로 여겨 자꾸 파내니까 차츰 사라지기 마련이다. 아무리 씨앗을 잘 퍼뜨려도 끝없이 파내고 또 파내면 줄어들기 마련이다. 노란민들레를 약풀로 여겨서 캐는 사람은 거의 없다시피 하니, 노란민들레는 걱정없이 널리 퍼질 수 있다.


  흰민들레는 참말 노란민들레보다 ‘나은 약풀’일는지 모른다. 그러나, 민들레를 바라보는 사람들 마음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눈을 감고 바라본다면, 흰꽃과 노란꽃이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없다. 눈을 감은 사람한테 노란꽃을 흰꽃이라고 알려준다면, 눈을 감은 사람은 노란꽃도 흰꽃으로 여긴다. 그러니까, 굳이 흰민들레만 더 알뜰히 여기거나 약풀로 삼을 까닭이 없다. 약이 되는 풀이라면 노란민들레도 서양민들레도 모두 약이 된다.


  책은 마음으로 읽는다. 책은 머리로 읽지 않는다. 책은 마음으로 쓴다. 책은 머리로 쓰지 않는다. 우리 가슴을 울리거나 건드리는 이야기는 바로 ‘가슴으로’ 쓴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지식을 엮어서 쓴 책은 지식을 바라는 사람한테 도움이 된다. 시험문제를 엮은 문제집이나 참고서는 시험공부를 하는 사람한테 도움이 된다. 한국 사회를 보면, 책방마다 문제집과 참고서가 가장 많다. 교보문고나 영풍문고뿐 아니라 인터넷책방과 헌책방도 문제집과 참고서를 가장 많이 다룰 수밖에 없다. 한국사람 스스로 문제집과 참고서를 가장 많이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책 읽는 사람’이 적다면, ‘책 읽을 겨를’이 없이 ‘시험공부만 해야 할 틈’을 내야 하기 때문이라고 느낀다. 영어 시험을 보고, 자격증 시험을 치르며, 한자 급수도 올리느라 바쁘니, 문제집과 참고서를 늘 옆에 끼더라도, ‘가슴을 찡하게 울리거나 짠하게 건드리는 이야기를 담은 책’을 손에 쥘 겨를이 없기 일쑤이다.


  마음으로 바라보면 흰민들레도 노란민들레도 모두 곱다. 얼마나 곱고 사랑스러운 꽃인가. 꽃송이를 바라볼 수 있는 마음이 될 때에 비로소 책을 마주할 수 있는 마음이 되리라 느낀다.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라도닷컴> 2015년 4월호에 함께 싣는 글입니다


..


시골도서관 풀내음

― 내 손에서 쑥내음



  지난 십이월부터 마당과 뒤꼍에서 갓을 뜯어서 먹었습니다. 우리 집 마당과 뒤꼍에는 퍽 먼 옛날부터 이곳에 날아와서 뿌리를 내렸을 갓풀이 겨울마다 천천히 싹이 트고 잎이 오릅니다. 마을 곳곳에도 갓이 올라와요. 갓과 함께 유채도 올라오고, 아기자기한 봄까지꽃이나 별꽃나물이나 코딱지나물도 함께 올라옵니다. 이 풀은 흔히 일월 끝자락이나 이월 첫무렵에 많이 올라오지만, 볕이 잘 드는 자리에서는 한겨울부터 천천히 싹이 틉니다.


  조그마한 민들레싹이 돋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이월 한복판부터 쑥을 뜯습니다. 삼월로 접어드니 쑥은 뒤꼍을 촘촘히 덮으려 하고, 사월에도 날마다 쑥국을 끓이고 쑥부침개를 할 만큼 쑥을 얻겠구나 싶습니다. 때로는 혼자 쑥을 뜯지만, 때로는 아이를 불러서 함께 뜯으며, 때로는 아이한테 쑥뜯기를 도맡아서 해 달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릇에 소담스레 쑥을 뜯은 아이가 문득 나를 부릅니다. “아버지, 아버지, 냄새 맡아 봐요. 내 손에서 쑥 냄새가 나요. 쑥 냄새가 내 손에 잔뜩 뱄어요.”


  쑥을 뜯으니 손에 쑥내음이 뱁니다. 손뿐 아니라 몸과 옷에도 쑥내음이 배어요. 바닷가 모래밭에 가서 모래알을 만지면서 놀면 모래내음이 손과 몸과 옷에 뱁니다. 불을 피우면 연기가 손과 몸과 옷에 밸 테고, 봄에 하얀 꽃을 피우는 매화나무 곁에 서면 매화꽃내음이 손과 몸과 옷에 뱁니다.


  아이와 함께 뜯은 쑥을 물에 살짝 헹구어 흙을 떨굽니다. 물기를 턴 다음 부침개를 합니다. 불판을 달구어 쑥반죽을 부으면 자글자글 익으면서 쑥내음이 더 짙게 퍼집니다. 아이들은 “아, 맛있는 냄새 난다!” 하고 외치면서 두근두근 기다립니다. 쑥부침개는 쑥만 넣어서 부치기도 하고, 갓잎을 썰어서 함께 섞은 뒤 부치기도 합니다. 버섯을 저며서 올리기도 하고, 고구마를 썰어서 얹기도 합니다. 이제 우리는 냉이국에 이어 쑥국을 누리는데, 철마다 다른 국을 밥상에 올릴 수 있고, 철마다 새로운 냄새를 맡을 수 있으며, 철마다 재미난 한 끼니를 즐길 수 있습니다.


  《나와 작은 새와 방울과》(소화,2006)라는 조그마한 시집이 있습니다. 1903년에 태어나 1930년에 숨을 거둔 어느 일본사람이 남긴 동시를 엮은 시집이라고 합니다. 이리 보아도 바다요 저리 보아도 바다인 작은 마을에서 살며 쓴 글을 실은 책입니다. “엄마 모르는 / 풀의 아기들. / 몇천만의 / 풀의 아기들. / 땅은 혼자서 / 기른답니다(땅과 풀)” 같은 글을 가만히 읽다가 가락을 입혀 노래를 불러 봅니다. 곰곰이 살피면, 우리가 읽거나 쓰는 시는 ‘시’라는 낱말로는 뜻과 느낌을 제대로 담아내기 어렵구나 싶습니다. 그래서 나는 우리 아이들하고 ‘시’라는 낱말을 쓰지 않습니다. 큰아이가 더 어릴 적에는 그냥 ‘노래’라 했고, 요즈음은 ‘삶노래’라는 말을 씁니다. 삶을 노래로 빚어서 함께 누리려고 쓰는 글이 ‘시’라고 느껴, ‘삶노래’ 같은 낱말을 지어 보았어요.


  “나는 좋아하고 싶어 / 무엇이나 어떤 것이나 모두 // 파도, 토마토도, 생선도, / 남김없이 좋아하고 싶어. // 우리 집 반찬은 모두 / 어머니가 만드신 것(모두를 좋아하고 싶어).” 같은 삶노래를 읽다가 빙그레 웃음이 납니다. 무엇이든 좋아하고 싶다는 마음이라면, 무엇이든 사랑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이어집니다. 무엇이든 노래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이어지고, 무엇이든 아끼면서 넉넉히 어루만지거나 껴안고 싶다는 마음으로 이어져요.


  이웃집 할아버지가 쪽파를 열 꾸러미 선물해 줍니다. 열 꾸러미에 이르는 쪽파를 한꺼번에 먹을 수 없으니, 이 쪽파를 마당 한쪽에 옮겨심기로 합니다. 하룻밤은 마당 한쪽에서 고이 쉬도록 합니다. 이튿날 아침에 봄볕을 물씬 느끼면서 꽃삽으로 땅을 쫍니다. 두 아이는 내 곁에 쪼그려앉아서 조잘조잘 떠듭니다. “뭐 심어?” “쪽파.” “쪽파 심어?” “응.” “왜 심어?” “한꺼번에 다 못 먹으니까.” “아, 이렇게 심으면 파 살아?” “응, 잘 살지.” “파는 흙 좋아해? 파는 흙 좋아해서 흙에 심으면 잘 살아?” 다섯 살 작은아이는 끝없이 묻고 다시 묻습니다. 옮겨심으면서 쪽파를 조금 다듬습니다. 꺾인 잎은 톡톡 끊습니다. 끊은 잎을 작은아이한테 건네니, 작은아이는 아버지한테서 건네받은 쪽파를 냉큼 입에 넣습니다. 얘야, 너 쪽파를 그냥 먹어도 안 맵고 괜찮니? “아, 맛있다!” 하면서 쪽파를 자꾸 먹고 또 먹습니다. 먹고 먹다가 쪽파를 한손에 움켜쥐고 마당을 이리저리 달립니다. 후박나무 앞에 서서 쪽파를 보여주고, 마당 한쪽에 친 천막한테 다가가서 쪽파를 보여주며, 새봄에 핀 제비꽃과 봄까지꽃 앞에 쪼그려앉아서 쪽파를 보여줍니다.


  큰아이는 무당벌레 한 마리를 지켜봅니다. 시든 풀줄기에 작은 무당벌레를 옮겨 앉도록 한 다음, 이 무당벌레를 들고서 “여기, 무당벌레 보셔요.” 하면서 내밉니다. “무당벌레 등에 있는 점을 세려고 하는데, 무당벌레가 자꾸 움직여서 못 세겠어.” 무당벌레도 산 목숨이니 가만 있지를 않지. “아, 이제 무당벌레를 흙에 내려 주어야겠다.” 풀밭으로 돌아가서 무당벌레를 내려놓습니다. “무당벌레야, 여기서 잘 놀아. 다음에 또 같이 놀자.”


  봄볕이 곱고 좋아 마당에서 맨발이 됩니다. 만화책을 들고 섬돌 옆에 앉아서 펼칩니다. 해바라기를 하면서 만화책에 사로잡힙니다. 그러고 보면, 봄에는 일을 할 적이든 마실을 할 적이든 자전거를 탈 적이든 책을 읽을 적이든, 이렇게 해바라기를 하면서 하면 무엇이든 즐겁고 신납니다. 숲이 도서관이고, 들이 놀이터입니다. 숲이 일터이고, 들이 놀이터입니다. 숲이 삶터이고, 들이 이야기터입니다.


  ‘마당이 있는 집’이란, 햇볕이 곱게 들어오는 집입니다. 마당이 좋은 집이란, 햇볕과 함께 나무가 우람히 서서 바람노래를 들려주고 까만그늘을 시원하게 베푸는 집입니다. 우리 이웃 누구나 마당을 누리고, 나뭇그늘을 누리며, 햇볕을 함께 누릴 수 있기를 빕니다. 4348.3.17.불.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살아나는 나무 (사진책도서관 2015.4.9.)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우리 도서관 어귀에 나무 한 그루를 옮겨심으면서 조마조마했다. 이 나무가 살아날 수 있는지, 아니면 죽을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었다. 이 나무가 뽑힌 지 열흘 남짓 지나서야 비로소 옮겨심었으니, 열흘 남짓 길바닥에서 뒹굴었다고 할 텐데, 줄기나 뿌리나 잎이 다 마르지 않았다고 느껴서, 틀림없이 살아날 수 있으리라 여겼다. 2월 24일에 옮겨심은 나무는 한 달쯤 지나니 비로소 새움이 터졌고, 이제 잎사귀도 제법 푸르다. 도서관을 오갈 적마다 늘 인사하고 쓰다듬어 준다. 앞으로도 잘 살아가렴. 언제나 씩씩하고 아름답게 꽃을 피울 수 있어.


  딸기넝쿨은 아직 기운을 못 내지만 곳곳에서 하얀 꽃을 하나둘 터뜨린다. 삽차가 우악스럽게 달포 즈음 밀어낸 터라 딸기넝쿨이 거의 다 죽었지만, 딸기넝쿨도 찬찬히 새로 뻗는다. 예쁜 아이들아, 너희 예쁜 숨결을 이곳에도, 다른 마을에도, 이 지구별에도 고루 나누어 주렴.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빛은 천천히 (사진책도서관 2015.4.8.)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봄빛은 천천히 물든다. 먼저 조그마한 싹이 터서 푸릇푸릇한 기운이 온 들에 서리도록 한다. 푸릇푸릇한 싹이 퍼지면서 꽃대가 올라 흰꽃은 하얗고 노란꽃은 노랗게 새로운 빛을 퍼뜨린다. 바람이 불면 푸릇푸릇한 풀싹 내음이 골고루 퍼진다. 이윽고 흰꽃 내음과 노란꽃 내음이 퍼진다. 꽃내음이 모두 지면 머잖아 열매 내음이 퍼지겠지.


  철이 바뀌어 철바람이 새롭게 분다. 날과 달이 바뀌면서 해는 더 높이 뜨고, 더 높이 뜨는 해는 온누리에 한결 따뜻한 숨결을 나누어 준다.


  천천히 물드는 봄빛은 사람들 가슴에 어떻게 스며들까. 천천히 물드는 봄빛을 누리는 사람들은 저마다 어떤 이야기를 지을까. 책에는 날과 달과 철이 바뀌면서 새로운 숨결이 퍼지는 이야기를 얼마나 담는가. 책에는 새로운 햇볕과 바람이 나누어 주는 이야기를 얼마큼 담는가. 책에는 풀싹과 나무싹이 새롭게 움트면서 온누리에 새 빛을 입히는 이야기를 어느 만큼 담는가.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발자국 (사진책도서관 2015.4.7.)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함께살기》 12호를 석 통 보낸다. 이제 모두 부친다. 지난 11호는 석 통이 돌아왔다. 세 분이 살림집을 옮기셨을까. 살림집을 옮길 적에는 이래저래 바쁘기 마련이니 집을 옮긴다는 말을 미처 못 하기 마련이리라.


  인천에서 처음 도서관을 열던 무렵 찍은 사진 가운데 한 장을 새롭게 돌아본다. 인천 골목 사진을 추려야 해서 살피다가 ‘골목 사진 꾸러미’에서 ‘도서관 사진’이 나온다. 아련하구나 하고 생각하면서 바라본다. 이제 옛자리에는 도서관 간판이 모두 사라지고 없는데, 햇볕가리개는 그대로 있어서, 큰아이가 이곳에서 태어나 무럭무럭 자란 발자국은 아직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내디딜 발자국을 헤아리면서, 그동안 걸어온 발자국을 되새긴다. 씩씩하게 걸어왔으니, 씩씩하게 걸어갈 길이 넓게 펼쳐진다. ㅎㄲㅅㄱ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을 보태 주셔요 *

☞ 어떻게 지킴이가 되는가 : 1평 지킴이나 평생 지킴이 되기

 - 1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1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10만 원씩 돕는다

 - 2평 지킴이가 되려면 : 다달이 2만 원씩 돕거나, 해마다 20만 원씩 돕는다

 - 평생 지킴이가 되려면 : 한꺼번에 200만 원을 돕거나, 더 크게 돕는다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가 되신 분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