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문 강에 삽을 씻고 창비시선 16
정희성 지음 / 창비 / 197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문학비평 2023.8.9.

노래책시렁 352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창작과비평사

 1978.11.1.



  노래를 쓰고 싶으면 노래를 쓸 일입니다. 노래를 쓰고 싶다고 밝히면서 막상 ‘겉멋’을 쓰거나 ‘흉내’를 쓰거나 ‘글장난’을 쓴다면, 터럭만큼도 노래일 수 없습니다. 오늘날이나 지난날이나 앞날이나 매한가지예요. 노래를 바라면 오롯이 노래를 헤아리고 마음에 품으면서 쓸 일이에요. 그런데 지난날 글바치는 ‘임금바라기’를 썼어요. 오늘날 글쟁이는 ‘왼바라기·오른바라기(좌편향·우편향)’를 써요. 이들은 ‘겉(문학적 표현)’은 꾸밀 수 있을 테지만, 노래(시)가 아니라 ‘노닥(권력지향 부정부패)’으로 뒹굴 뿐입니다. 《저문 강에 삽을 씻고》는 ‘창비시선’으로 나온 노래책 가운데 드물게 둘레에 “그래도 조금 읽어 볼 만합니다” 하고 여쭙습니다. 이 꾸러미도 곳곳에 시늉이나 쳇바퀴나 수렁이나 젠체가 있습니다만, 이만큼 시늉·쳇바퀴·수렁을 눅이거나 누르고서 ‘말’을 ‘노래’에 담으려고 하는 글이 ‘책·시집’으로 못 나오는 오늘날이에요. 저물녘이나 저녁뜸이 뭔지 살갗으로 아는 분이 얼마나 될까요? 삽을 씻어서 말려 본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요? “목도장 이장” 이야기가 글(언론보도)로 나온 일은 드뭅니다. 2023년 ‘잼버리’가 ‘전라북도 썩은짓’하고 크게 맞닿은 줄 우리는 얼마나 헤아릴까요?


ㅅㄴㄹ


그때 전 일곱이었어요 / 처음으로 어머니 손을 잡고 / 창경원을 구경하던 그날 / 모든 것이 신기했어요 / 우리도 서울서 살자고 / 떼를 쓰다 맞던 일도 / 어머니, 저는 다 알아요 / 어머니의 거친 손을. / 속도 없이 저는 울기만 했고 / 그리고 모든 걸 잊었었지요 / 곰의 얼굴도 사자의 얼굴도 / 가엾은 사슴의 얘기도 잊었었지요 / 어머니도 저도 농사 일에 바빠 / 다 잊었지요 어머니 (어머니, 그 사슴은 어찌 되었을가요/10쪽)


아니다 친구여, 너의 正義가 사는 곳 / 이 푸른 하늘 아래 / 뜨거운 태양이 있고, 땅이 있고 / 너와 나 그리고 / 햇빛 위에 패어진 그늘도 있다 (친구여 네가 시를 쓸 때/40쪽)


+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창작과비평사, 1978)


어머니의 거친 손을

→ 어머니 거친 손을

10쪽


그리고 모든 걸 잊었었지요

→ 그리고 모두 잊었지요

10쪽


비무장지대의 모든 산들이 일제히 무장을 하고 나선 칠흑의 밤이었네

→ 고요터 모든 멧골이 한꺼번에 총칼을 들고 나선 한밤이었네

→ 허허벌판 모든 메가 나란히 총칼을 들고 나선 까만밤이었네

16쪽


이 푸른 하늘 아래 뜨거운 태양이 있고

→ 이 파란하늘에 햇볕은 뜨겁고

→ 이 하늘은 파랗고 해는 뜨겁고

40쪽


몇 隻 파도가 밤마다 그의 잠을 덮치고 있다

→ 몇 겹 물결이 밤마다 그이 잠자리를 덮친다

→ 겹겹 너울이 밤마다 잠자리를 덮친다

4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 의미에서 문학과지성 시인선 204
임후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 시읽기. 문학비평 2023.8.2.

노래책시렁 354


《그런 의미에서》

 임후성

 문학과지성사

 1997.7.15.



  등으로 짐을 묵직하게 나르다가 곧잘 삐끗했습니다. 스무 살 적에도 서른 살 적에도 마흔 살 적에도, 또 쉰 살 적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등짐이 무거워서 삐끗하지 않습니다. 마음을 찬찬히 기울이지 않았거나 문득 딴청을 하다가 삐끗합니다. 큰아이랑 함께 부엌에서 밥을 짓다가 아차 하면서 삐끗하는 날도 있습니다. 느긋이 움직이면서 밥을 지으면 될 노릇인데, 살짝이라도 서두르거나 바삐 움직이다가 삐끗하게 마련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를 가만히 읽었습니다. 노래님은 1997년에 이런 꾸러미를 선보였군요. 1997년 7월은 참으로 더웠습니다. 저는 그즈음 강원 양구 멧골짝에서 50킬로그램에 가까운 등짐을 이고서 땀을 빼었고, ‘여름길(혹서기훈련·유격훈련)’을 한창 받는데, 우리 싸움터(군부대) 길잡이(중대장)는 길그림을 엉뚱하게 읽고서 한참 이 골 저 기슭을 잘못 넘으며 헤맸습니다. 그런데 이 길잡이는 애먼 우리들(일반 사병)한테 덤터기를 씌우더군요. ‘생명수당(격오지수당)’까지 더해도 병장이 고작 5만 원조차 안 되는 돈을 받고 구르던 그곳에서 “이 미친나라에서 미치지 않고서야 어찌 살아남을까?” 하고 한숨을 지었습니다. 글꽃(문학)은 어디에서 뭘 하는가요? 누가 쓰고 누가 읽는 글일까요?


ㅅㄴㄹ


심야의 카페에서 한물간 화장 짙은 / 얼핏 귀여운 데가 남은 여가수가 / 노래부른다 사람이 기다려도 / 삼개월은 오지 않는다 손님 중에 / 누구 계십니까 전화가 울리고 / 지금은 갈 수 없어 /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어요 (사생활/93쪽)


그런 의미에서, 닥치는 대로 산다는 게 패악은 아니다 / 널 위해주고 싶다. 엉덩이를 쳐들고 / 빈다.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하고 싶다는 막무가내의 / 까탈을 들어주게 되기를 // 하자는 대로 다 해줄게 / 더 있다 가 (그런 의미에서/114쪽)


+


《그런 의미에서》(임후성, 문학과지성사, 1997)


뾰족한 잎들 위에서 풍성하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燐光

→ 뾰족한 잎에 푸짐하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빛

→ 뾰족한 잎에 푸지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빛살

12쪽


오랜 퇴적층 같은 아랫도리는 쓸모 없어지고

→ 오랜 켜 같은 아랫도리는 쓸모없고

15쪽


견지해라 네가 맞다

→ 버텨라 네가 맞다

→ 밀어라 네가 맞다

→ 나아가라 네가 맞다

17쪽


아침의 준족이 날렵하게

→ 아침 다리가 날렵하게

→ 아침에 날렵하게

20쪽


일어나기 일보 직전까지 저걸 가만히 내버려둬야 한다

→ 일어나기 앞서까지 저대로 둬야 한다

→ 눈앞에서 일어나기까지 저대로 둬야 한다

→ 코앞에서 일어나기까지 가만히 둬야 한다

20쪽


가끔씩 한쪽 다리의 힘을 옮기며

→ 가끔 한쪽 다리 힘을 옮기며

68쪽


꼬리의 구름, 그런 환대는 걷는다는 것

→ 꼬리구름, 그렇게 반기는 걷는 길

→ 꼬리구름, 그리 반기는 걷는 하루

80쪽


제시간에 맞춰 부모 형제에게 돌아갈 것이다

→ 제때에 집에 돌아간다

→ 제때에 집으로 돌아간다

84쪽


대합실에서, 축 허물어져서

→ 맞이칸에서, 축 허물어져서

91쪽


하룻밤 투숙을 하고

→ 하룻밤 묵고

→ 하룻밤 머물고

105쪽


그런 의미에서, 닥치는 대로 산다는 게 패악은 아니다

→ 그런 뜻에서, 닥치는 대로 산대서 고약하진 않다

→ 그러니까, 닥치는 대로 살더라도 나쁘진 않다

11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래도 수상해 문학동네 동시집 40
함기석 시, 토끼도둑 그림 / 문학동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시읽기. 문학비평 2023.7.23.
노래책시렁 301


《아무래도 수상해》
 함기석
 문학동네
 2015.11.27.


  얼핏 보면, ‘말장난’하고 ‘말놀이’는 ‘한끗’이 다른 듯싶습니다. 곰곰이 보면, ‘허울 = 장난’으로 가고, ‘살림 = 놀이’로 뻗습니다. ‘겉을 보기좋게 꾸미는 하루 = 허울 = 말장난’으로 굳고, ‘속(마음)을 알차게 가꾸는 하루 = 살림 = 말놀이’로 피어납니다. 《아무래도 수상해》에 흐르는 말장난을 어린이한테 들려준다면, 우리는 너무나 철없는 굴레입니다. ‘넝쿨장미’를 “녹색 복면을 한 도둑”이라고 여기는 텅텅 빈 마음으로 어떻게 꽃이며 풀이며 나무를 마주할 수 있을까요? 늘 ‘복면·도둑·전쟁·미움·분노’를 품은 탓에, 어린이하고 함께한다는 글인 동시를 이처럼 어이없는 말장난으로 치레하고야 말아요. 나룻(수염)을 깎을 적에 쓰는 칼(면도기)을 “이상한 곤충”으로 빗대는 철없는 말씨를 어린이한테 함부로 들려주어도 될까요? 어떻게 ‘벌레(곤충)’가 ‘이상’할 수 있나요? 사람은 높고 벌레는 낮다는 마음이 밑바닥에 있으니, 이런 글자락이 저절로 튀어나옵니다. 이러면서 ‘말장난’을 엮습니다. 온누리 모든 풀벌레는 저마다 다른 몸빛에 몸집에 살림으로 이 푸른별에서 저마다 다른 몫을 맡아요. 함부로 깔봐도 될 벌레란 없어요. 철들지 않은 채 읊는 장난글은 모두 털어낼 일입니다.

ㅅㄴㄹ

깊은 밤 / 녹색 복면을 한 도둑이 / 등에도 팔뚝에도 가시가 돋은 도둑이 / 손을 뻗어 담을 넘는다 (넝쿨장미/20쪽)

거울 앞에서 / 아빠가 면도를 한다 // 면도기는 수염을 먹고 사는 / 이상한 곤충 (전기면도기/4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책 / 시읽기. 문학비평 2023.7.23.
노래책시렁 348


《소란이 새어들지 않는 곳》
 고선영·김금주·박승보·배배·이상오·정세리·허현진
 글을낳는집
 2023.1.16.



  서로 마음을 일으키면 눈을 떠서 만납니다. 서로 마음을 안 일으키면 눈앞에 멀쩡히 있어도 못 알아보기에 못 만납니다. 서로 마음이 없으면 자꾸 허우대를 키우려 들고, 허울만 큼지막하게 반드르하고 말아요. 서로 마음이 있으니 겉모습이 아닌 속내를 헤아리려고 다가서고, 이윽고 환하게 웃음짓는 오늘이란 늘 꽃씨처럼 마음자리에 있은 줄 알아차립니다. 《소란이 새어들지 않는 곳》은 글꽃을 지피고 싶은 일곱 사람이 두런두런 모여서 일군 글씨앗을 나누려고 하는 조촐한 꾸러미입니다. 처음 짓는 밭에서 남부럽지 않게 거두지는 않습니다. 아니, 처음 짓는 밭살림인데 굳이 남(기성작가)이 어떤 글을 왜 쓰는지 들여다볼 까닭이 없어요. 아니, 오래오래 지은 밭살림이어도 구태여 남(전문가·문인·평론가)이 거들어(비평해) 주기를 바랄 까닭이 없습니다. 노래란, 놀이하고 일하며 웃는 사람이 스스럼없이 부르는 숲빛가락입니다. 문학이란, 놀이도 일도 잊고 등진 채 웃음도 눈물도 없이 허울스럽게 꾸미는 굴레입니다. 문학을 하기에 스스로 찌들거나 무너집니다. 노래를 하기에 스스로 눈을 뜨고 마음을 열며 생각을 가꿉니다. ‘문학’이나 ‘시’를 알아야 하지도, 읽어야 하지도 않습니다. ‘글’을 읽고 ‘노래’를 부르니 반짝여요.

ㅅㄴㄹ

태선아 / 우리 집에 가자 / 우리 이제 집에 가자 / 니 어디 가지마래이 / 내랑 같이 이제 집에 가자 (임종-박승보/60쪽)

눈이 내린다 / 언제쯤 오실까 / 서쪽하늘 해는 뉘엿뉘엿 저물고 / 눈은 발목 지나 무릎까지 차오르네 (얼굴-이상오/88쪽)

나는 참외를 보면 엄마가 생각나고 / 엄마는 참외를 보면 외할아버지가 생각난다 / 씹을 때 아삭아삭 소리가 좋았을까 / 속내의 달콤함이 좋았을까 / 어릴 적 입속에서 가슬거리는 씨를 미워했지만 / 지금은 한 입씩 먹을 때 참외가 이해가 된다 (참외-허현진/135쪽)


+

《소란이 새어들지 않는 곳》(고선영과 여섯 사람, 글을낳는집, 2023)


시를 탐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
→ 노래를 먹어 본 적 없는 사람이
→ 노래가 안 궁금했던 사람이
82쪽

만남은 짧았으나 그대의 아름다운 모습을
→ 짧게 만났으나 아름다운 그대 모습을
94쪽

모든 일을 맞아들임에 근자감이 있던 나였기에 시작할 수 있었다
→ 모든 일을 덤비는 나이기에 할 수 있다
→ 모든 일에 달려들기에 해볼 수 있다
→ 까부는 나이기에 해볼 수 있다
→ 나는 모든 일이 신나니 해볼 수 있다
140쪽

지금은 한 입씩 먹을 때 참외가 이해가 된다
→ 이제는 한 입씩 먹을 때 참외를 안다
→ 오늘은 한 입씩 먹을 때 참외를 느낀다
13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까신 아기 시 그림책
최계락 지음, 조은화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7.12.

노래책시렁 351


《꽃씨》

 최계락

 문학수첩

 1998.10.20.



  어린배움터를 다니던 1982∼87년에 끔찍하고 고된 일 가운데 하나는 ‘동시쓰기’였습니다. 길잡이(교사)는 배움책이나 몇 가지 동시책에서 보기를 뽑아 흰가루(백묵)로 검은판(칠판)에 척척 적고서 읊는데, 우리는 이런 보기글을 따라서 ‘동시흉내’를 냅니다. 따라쓰기나 흉내내기는 다달이 할 뿐 아니라, 무슨 글잔치(백일장)에도 내야 합니다. 어린배움터 여섯 해를 보내며 ‘어린이로서 누리는 삶과 눈’으로 ‘우리 마음을 담는 글쓰기’를 한 적이 아예 없습니다. 《꽃씨》를 읽으면서 어릴 적이 환하게 떠오릅니다. 그무렵 길잡이가 보기글로 삼은 여러 가지 가운데 하나입니다. 참으로 오래도록 ‘최계락 동시’는 온나라 어린이가 ‘베낌노래’로 삼는 보기글이었고, 이 베낌노래는 오늘날까지 잇습니다. 어린이 살림살이를 어린이 눈으로 그리기보다는, 먼발치에서 구경하는 서울어른 눈으로 예쁘게 꾸미는 글이 ‘동시’라 한다면, 어린이는 무엇을 배우거나 느끼거나 가꿀 만할까요? 꾸밈글을 동시문학이라 여기는 어른은 스스로 얼마나 어질거나 슬기롭거나 참할까요? 이제는 “순이 구경”에 “하얀 도화지 위에”에 “동화 속의 마을”에 “빨간 스웨터의 귀여운 소녀” 같은 ‘동심천사주의 구경글’은 걷어내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순이네 집 / 담 너머 / 하얀 / 목련꽃. // 주인 없는 / 집을 지켜 / 혼자 / 피었네. // 봄 살기가 어려워 / 도시로 나간 / 순이는 / 지금쯤 / 뭘 하고 있는지 // 아침 / 저녁 / 학교길에 / 정다운 그 꽃을. (목련/15쪽)


하얀 / 도화지 위에 / 그림을 그린다 // 푸른 산 / 푸른 들 / 푸른 마을. (봄/25쪽)


무엇인가 / 맑고 부드러운 것이 / 한아름 / 안겨든다 // 애타게 / 애타게 / 기다리다가 // 사무치게 / 사무치게 / 불러보다가 (가을 3/36쪽)


들꽃이 / 피어 / 우거진 철둑길을 // 저만치 / 기차는 / 그림처럼 달리는데, // 하얀 손수건을 / 창 밖으로 / 흔들던, // 빨간 스웨터의 / 귀여운 / 소녀. (기적 소리/87쪽)


먼 / 동화 속의 / 그 마을에도 / 지금쯤 / 눈이 올까 / 꽃가루 같은……. (눈 오는 날/108쪽)


+


《꽃씨》(최계락, 문학수첩, 1998)


꽃씨 속에는 노오란 나비 떼가 숨어 있다

→ 꽃씨에는 노오란 나비떼가 숨었다

13쪽


순이는 지금쯤 뭘 하고 있는지

→ 순이는 이제 뭘 하는지

→ 순이는 오늘 뭘 하는지

15쪽


하얀 도화지 위에 그림을 그린다

→ 하얀 종이에 그림을 그린다

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