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처한 미술 이야기 2 - 그리스.로마 문명과 미술 : 인간, 세상의 중심에 서다 ㅣ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2
양정무 지음 / 사회평론 / 2016년 5월
평점 :
'난처한 미술 이야기' 시리즈의 역주행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초기 기독교 미술과 문명을 다뤘던 3권에
이어 그리스 로마 문명과 미술을 다룬 2권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갔다. 그나마 서양문명의 토대가
되는 그리스 로마 문명은 특히 다양한 조각 작품들을 통해 친숙한 편인데 국립중앙박물관에도 그리스
로마실에 생겨서 국내에서도 언제든지 그리스 로마시대 미술 작품을 볼 수 있다는 게 정말 다행인
상황이다. 이 책에선 그리스 로마 미술 이전 시대인 에게 미술부터 시작해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핵심
미술 작품들을 그 당시 시대 배경과 함께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그리스 문명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에게 문명부터 시작하는데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오리엔트
문명이 지중해를 통해 그리스 본토로 전달되는 통로 역할을 하던 에게해의 크레타 섬에서 먼저 미노아
문명이 발달한다. 크레타 섬은 미노타우루스 신화와 아틀란티스 신화 등 그리스의 여러 신화와 관련된
신화의 고장으로, 이집트와 달리 '정면성의 원리'가 평범한 소년에게도 적용되는 등 좀 더 자유분방하고
활기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신화 속 얘기로만 치부되다가 유적지가 발견되면서 역사가 된 트로이
문명과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 문명으로 이어지는데 아가멤논의 황금가면과 선형문자 등이 대표적인
문화유산이었다. 이제 본격적으로 그리스 미술로 들어가 그리스의 여러 도시국가들을 살펴보면서
그리스 문명의 특징을 폐쇄성과 민주주의로 드는데, 그리스 미술을 기하학문양 시대, 고졸기, 고전기,
헬레니즘기로 구분하는 건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각 시기별 그리스 대표 도자기들과 조각상을
차례로 소개하는데 남성의 나체 조각상을 통해 인간을 신적인 존재로 격상시켰던 인간중심주의는 물론
그리스의 군사주의적 성격, 그리스 사회 내에 자리잡은 불평등을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고 평가한다.
개인이 영웅시되는 걸 경계해 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의 조각을 제외하곤 개인 초상조각을
만들지 않았다는 점, 대부분 청동상으로 현재 남아 있는 대리석 작품은 대체로 로마 시대 모조품이란
점도 흥미로웠다. 건축도 빼놓을 수 없는데 대표작인 파르테논 신전을 자세히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알렉산더 제국의 출현으로 등장한 헬레니즘 미술과 그리스 미술이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보며 마무리한다. 로마 미술도 로마의 탄생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는데 로마는 역시 건축에서 그 역량을
맘껏 발휘한다. 특히 아치를 활용한 공공시설인 콜로세움과 판테온은 오늘날에도 최고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세계를 호령하던 대제국 로마는 3세기 이후 쇠락하기 시작하는데 미술에 있어서도 공화정
시기 시민의 덕성을 보여주던 조각이 제정 시대가 되면서 개인의 사유물로 전락하고 만다. 기독교가
로마에서 성공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 저자는 죽음의 문제에 대한 명쾌한 대답을 내놓았다는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이렇게 로마의 멸망으로 2권은 마무리되는데 서양문명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근간이
되는 그리스, 로마시대의 미술까지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서 막연한 이미지만 있던 이 시대를 제대로
정리할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