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ㅣ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소설들을 즐겨 읽다 보니 명작이라 일컬어지는 책들을 그냥 지나치기가 어려울 때가 종종 있다.
하지만 명작은 그 명성만큼이나 범접하기가 어렵고 손에 들어도 쉽게 진도가 안 나가며
이해하기도 어려운 경우가 많아 집에 있어도 그냥 고히 모셔 둘 때가 많다.
라틴 아메리카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며 노벨상 수상에 빛나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이 책도 바로 그런 범주에 속하는 책이다.
많은 사람들이 명작으로 꼽아 언젠가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항상 하면서도 쉽게 엄두를 못 내다가
드디어 읽기 시작했는데 마치 한바탕 마법에 걸렸다 풀려난 그런 느낌이
들었다.
부엔디아 집안 사람들의 100년 동안의 흥망성쇠를 그려낸 이 작품에는
항상 마술적 리얼리즘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마술과 리얼리즘은 서로 상반되는 단어라 두 단어를 결합한 이 말이 과연 무엇을 뜻하는지
솔직히 잘 와닿지 않았는데, 이 책을 읽다 보니 이런 의미구나 싶은 생각이 저절로 들 정도로
초현실적이면서도 환상적인 느낌을 주었다. 귀신이 나오고 사람이 나비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는 등
사실성이 떨어지는 내용들이 중간중간에 계속 나와 혼란스러우면서도
완전히 말도 안 되는 그런 느낌은 들지 않는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책 속에 배여 있었다.
또 다른 혼란의 근원은 부엔디아 집안
사람들의 이름 때문이었다.
책 제일 앞에 가계도가 나와 있지만 이 집안 사람들은 자식들에게 자기 집안 선조들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 주거나 섞어서 작명을 하는 바람에 도대체 누가 누군지 헷갈릴 때가 많았다.
호세, 아우렐리아노, 아르카디오라는 이름은 남자들에게 항상 사용되었고,
여자들도 레메디오스 등의 이름이 붙어 같은 이름을 가진 어른들의 삶을 반복하는 느낌을 주었다.
서양에서도 똑같은 이름을 자식들에게 물려줘서 '주니어'를 붙이곤 하는데,
이 책에서는 무슨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호세 아르카디오에서 시작해 아르카디오,
아우렐리아노 호세, 호세 아르카디오 세군도, 아우렐리아노 세군도 등 비슷한 이름을 남발하며
혼란을 부추켰는데 이런 이름들은 부엔디아 집안 사람들 간에 얽히고 설킨 관계를 잘 대변해주었다.
그리고 자유분방한 성의식은 근친상간도 마다 하지 않아 부적절한 관계들이 무수히 발생했는데
결국은 이모와 조카가 관계를 가져 돼지꼬리 달린 아이를 낳는 지경에 이르지만 꼬리야 자르면 된다는
쿨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럼에도 부엔디아 집안은 이미 정해진 운명대로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만다.
파란만장한 부엔디아 집안의 역사는 라틴 아메리카의 굴곡진 역사를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었다.
마콘도란 마을을 개척해서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는 것도 잠시 미국의 바나나 회사가
마콘도에 공장을 지으면서 자본주의의 바람이 마콘도에도 불어닥친다.
그리고 바나나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착취는 그들의 저항으로 이어지지만
자본과 권력은 무자비한 학살로 맞서고 3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희생되었음에도
마치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만들어버리는 자본과
권력의 횡포가 여실히 그려졌다.
한편 자유파와 보수파의 극한 대결은 마치 해방 직후의 한반도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는데,
아우렐리아노 대령은 마치 체 게바라처럼 평생을 전쟁터에서 살지만
결국은 보수파와의 타협으로 현실의 높은 벽에 주저앉고 만다.
바람 잘 날 없는 마콘도의 역사를 보면서 남의 일 같지가 않았는데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도
힘없는 민중들이 자본과 권력에 짓밟히는 처절한 역사였음을 잘 보여주었다.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져 이제 백 세 시대란 말이 자연스러워졌는데,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봤을 때 한 사람이 평생동안 고독했다는 그런 얘기인가 싶었다.
사실 이 책에선 백 살을 가뿐하게 넘겨 사는 사람이 많지만
부엔디아 집안 사람들을 필두로 정말 고독한 사람들이 많았다.
원래 인간의 삶이란 게 아무리 가족, 친구들이 있어도 궁극적으로는 고독할 수밖에 없는 것이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진정으로 소통하지 못하는 외로운 인간군상들이 많았다.
고독을 이기기 위해 몸부림치는 게 우리의 일생이라면
이 책은 그런 삶의 면모를 다채롭고 환상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소설이라는 마술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을
멋들어지게 그려낸 위대한 마술사라 해도 손색이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