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질서 - AI 이후의 생존 전략
헨리 키신저 외 지음, 이현 옮김 / 윌북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AI는 어느새 우리 일상생활을 파고들어 점점 대중화

되고 있다. 챗GPT가 등장해 일부 사람들이 활용하기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각종 사진들을 지브리

애니메이션화하는 열풍이 불면서 이제는 친근해졌고 웬만한 최신 휴대폰에는 모두 AI기능이 탑재된

상황이다. AI가 가져다줄 미래의 모습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책들에서 다룬 적이 있는데 이 책은 특히

세계적인 석학이라 할 수 있는 헨리 키신저의 마지막 저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게다가 

구글 CEO였던 에릭 슈밋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고 연구 및 전략 책임자였던 크레이그 먼디가 공저자

여서 과연 최고의 전문가들은 AI가 만들 새로운 질서가 어떻게 보고 있을지 궁금했다. 


본격적인 AI 얘기를 하기에 앞서 인간종의 가장 즐거운 능력 중 하나인 '발견'으로 시작한다. 역사상의

여러 발견 사례들을 언급한 후 AI의 개발이 새로운 발견의 시대를 열었다며 자연스레 AI로 연결한다.

흔히 AI와 뇌를 비교하곤 하는데 인간의 뇌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한계가 있는 반면 AI는 크기(규모)와

정확도(해상도)면에서 인간 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인간 뇌에선 제한될 수밖에 없는 여러

실험을 AI에 대해선 얼마든지 실시해볼 수 있다는 점이 AI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 AI가

속도, 다양성, 규모, 해상도에서 인간 뇌를 추월하여 지능 서열에 있어 인간 위에 있게 될 것은 명약

관화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AI개발을 어디까지 할 것인지, 인간과 AI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결국 인류가 AI와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하는 중요한 화두가 떠오를 수밖에 없는데 기계 

기술과 공생할 수 있는 인간종을 의미하는 호모 테크니쿠스와 관련해 정치, 안보, 번영, 과학의 4개

분야에 걸쳐 인류와 AI가 공존하는 미래를 자세히 살펴본다. AI가 가져다줄 수 있는 장점과 단점 모두

가능하지만 결국 인간이 AI와의 공존을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린 문제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인간 지능과 기계 지능이 서로의 역량을 강화해주는 비교적 장밋빛 미래를

전망하는데 AI에 인간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선 꾸준한 고민과 실천이 필요함을 잘 알려주었다. 그동안

여러 책들에서 AI가 가져올 미래를 엿볼 수 있었는데 세계적인 석학들이 함께 한 이 책을 통해 AI와

공존하는 미래를 위해 인류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고민해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