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을 탐하다 - 도시에 담긴 사람·시간·일상·자연의 풍경
임형남.노은주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능한 정권 탓에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내 집 마련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려운 

현실이지만 집을 비롯한 여러 건축물들에 대한 관심은 여러 방송 매체들을 통해 지속되다 보니 식을

줄을 모르는 것 같다. 나도 올초에 이사를 하면서 집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는데 올해 동안에도

'도시의 깊이', '건축가의 도시', '건축의 시간, 영원한 현재'라는 책을 통해 건축의 의미를 여러 사례들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내가 즐겨 보는 EBS의 '건축탐구-집'에 출연하고 있는 임형남, 노은주

건축가 부부가 저자인지라 더욱 친근하고 어떤 얘기를 들려줄지 기대가 되었는데 예상과는 달리 여러 

건물들에 대한 안내서라기보다는 에세이적인 성격이 짙은 책이었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총 네 장에 걸쳐 건축의 중요한 가치인 '사람', '시간', '일상'. '자연'을 담은 공간

으로서의 '도시의 공간', '기억의 공간', '놀이의 공간', '휴식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잘 살린 여러 

건축물과 거기에 얽힌 사연과 생각들을 들려준다. 먼저 사람을 담은 '도시의 공간'으로는 서울역을

필두로 헌법재판소, 광화문광장, 국회의사당, 캠퍼스를 다룬다. '서울역'에서는 서울역이라는 건물

자체를 자세히 다루는 것보단 여행과 기차역에 얽힌 다양한 사연과 감정을 들려주고, '헌법재판소'와

관련해선 목소리 큰 자가 이익을 보는 악성 민원의 실태를 얘기한다. 헌법재판소 건물이 대법원 등

다른 '법의 공간'에 비해서는 덜 권위적이고 정문을 통하지 않고도 대강당에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광화문광장에선 광화문광장은 물론 예전의 여의도광장과 서울광장까지

언급하며 '광장'이란 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고, 국회의사당은 여러 사람들이 간섭해서 '국민 밉상'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캠퍼스에선 자본주의의 침투로 변질된 '교육의 공간'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1장이 서울에 있는 공간들을 다뤘다면 2장부터는 지방은 물론 해외로까지 진출한다. 전쟁의 기억을

고스란히 간직한 철원 노동당사나 내가 올해 가봤던 역사의 비극을 기억하는 덕수궁 정관헌, 가해자가

피해자로 둔갑한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만나는 이탈리아 모데나의 산 카탈도

공동묘지, 온천지역의 원초적인 모습을 그대로 살린 스위스 그라우뷘덴의 '발스온천'까지 둘러본다.

3장에선 일상의 놀이 공간을 다루다 보니 서점, 골목, 클럽과 같이 특정 장소가 아닌 일반 명사로 관련된

여러 곳들을 두루 다녀보고, 그중에서도 특별한 의미가 있는 홍대 앞과 낙원상가, 서울로에 대해서는

그 변천사와 그 과정에서의 아쉬운 점을 말하다. 마지막 4장에선 자연을 담은 휴식 공간으로 주로 해외를

선택했다. 홍대 앞의 아미티스 가든은 저자들이 직접 건축한 건물로 보이고, 선유도공원은 그동안 

대부분 비판적이던 도시재생사업 중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한다. 자연과 관련된 공간이다 보니 정원이 

선정되었는데 일본 무린암과 중국 줘정원을 소개하면서, 일본의 정원이 정적으로 관조한다면 중국은 

동적으로 관람하는 곳이고 우리는 사람과 일상의 공간에 스며듦으로써 관조와 관람을 유도한다고

한중일 삼국의 정원을 잘 비교해놓았다. 땅으로 들어가는 데시마 미술관과 유리 다실 '고안'으로 

마무리를 하는데 다양한 의미들을 담은 공간으로서의 건축물과 관련된 저자들의 사연들을 통해 건축과

공간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었다. 저자가 부부이다 보니 사연이 누구의 사연인지 명확하지 

않아 좀 헷갈렸는데(마치 비틀즈의 존과 폴의 공동 작품 표시를 보는 듯) 마치 옛날이야기를 듣는 듯한 

저자들의 구수한 입담으로 여러 건축물들에 얽힌 흥미진진한 사연을 들으며 건축이 어떤 의미를 공간 

속에 담아내는지를 잘 보여준 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1-12-19 0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부부의 다른 책도 좋더라구요.
최근작이네요. 이 책도 담아갑니다. ^^

sunny 2021-12-19 09:51   좋아요 1 | URL
저는 책으로는 처음 만나봤는데 다른 책들도 있더군요. 기회가 되면 읽어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