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이 되는 한국의 산나물 50
이상각 지음 / 아마존북스 / 2025년 7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지금 사는 집에는 뒤에 작은 텃밭 역할을 하는 공간이 있어 어머니가 이런 저런 식물들을 키우고 있다.
원래는 식물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는데 여러 식물들이 자라는 모습을 지켜보는 재미가 나름 솔솔한
걸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우리나라 한방 산약초 백과 약용식물도감1', '우리 산 우리 산나물' 등 관련
책들도 몇 권 찾아보았는데 본 지가 좀 되어서 새로운 책을 찾던 차에 이 책과 만나게 되었다.
책 제목처럼 이 책에선 약이 되는 한국의 산나물 50가지를 다루고 있다. 본격적으로 50가지 산나물을
소개하기에 앞서 산나물을 먹어야 하는 이유 다섯 가지를 제시하는데 모두 건강과 관련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산나물을 요리하는 방법으로 네 가지를 알려주는데 생 또는 생쌈, 나물무침, 묵나물, 장아찌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준다. 이제 본격적인 산나물과의 만남이 시작되는데 첫 번째 주자는
참취였다. 산나물마다 2장 정도 분량을 할애하면서 식물별명, 생약명, 식물생태 및 나물특성, 효능,
채취 및 요리법을 차례로 소개한다. 다음에 곰취가 등장하는데 사실 산나물에 문외한이라서 그런지
사진만 봐서는 잘 구분이 되지 않았다. 이름이 '~취'인 나물이 이 외에도 단풍취, 개미취, 미역취,
서덜취까지 있어 좀 헷갈렸는데 그래도 흔히 취나물로 불리는 건 참취를 말하는 것 같다. 2년 전 울릉도
여행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명이나물은 산마늘이란 이름으로 소개되고 우리가 흔히 곤드레나물로
알고 있는 고려엉겅퀴에 대해서도 이번에 제대로 알게 되었다. 기존에 이름이나마 알고 있던 산나물인
원추리, 비비추, 엉겅퀴, 둥글레들을 제외하면 거의 생소했는데 실제 구분하라고 하면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었다. 구기자나무순을 비롯해 나무나물도 8종 소개하는데 주로 순을 나물처럼 먹는
거였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한 산나물을 알게 되었는데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고 잘 살펴보면 우리 산야에
좋은 먹거리가 가득함을 알 수 있었다. 아직은 나물을 알아볼 능력은 안 되어 관심을 갖고 살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