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조선왕조에 대해선 비교적 많은 자료가 남아 있어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읽어봤다. 이덕일의 '조선
왕을 말하다' 등 여러 책에서 조선 왕들에 대해 다뤘는데 이 책에선 조선 왕을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오늘날엔 최고 지도자에게 당연히 리더십을 요구하지만 과거와 같은 왕조시대엔 핏줄만
잘 타고나면 무소불위의 왕이 되던 시절이라 리더십이 필수요건이라고는 볼 수 없었는데 과연 조선
왕들을 리더십이란 시각에서 바라보면 어떨지 궁금했다.
이 책에선 조선 왕 27명 중 그래도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9명의 리더십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태조
이성계는 무장으로 출중한 실력을 가졌고 정도전 등 신진사대부 세력과 힘을 함쳐 조선을 건국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까진 나라를 개국한 창업자로서 대과가 없었는데 후계자인 세자 책봉에 있어 결정적인
잘못을 저지른다. 사랑하는 젊은 아내 신덕왕후 강씨의 청을 못 이겨 막내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지만
결국 이방원의 1차 왕자의 난을 야기하고 권력을 아들에게 뺏긴 뒤 아들들과 창업 동지들의 죽음을
뒤로 한 채 쓸쓸한 노년을 보내야 했다. 다음으로 태종 이방원은 조선을 반석을 올려놓은 왕으로 평가
받는데 자신의 처가와 세종의 처가를 풍비박산 내는 악역도 두려워하지 않아 세종의 태평성대의 초석을
닦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칭송받는 세종은 아버지 태종의 후광 아래 오로지
실력만을 기준으로 부패에 연루되었던 황희, 맹사성이나 노비 출신 장영실 등을 등용해 능력을 맘껏
발휘하도록 했다. 토지에 부과되는 세금에 대한 조선 최초의 국민투표, 노비의 출산 휴가 등 세종의
애민 정책을 보면 시대를 앞서간 리더라 할 수 있다. 다만 걸어다니는 종합병원이라 부를 정도로 자기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고, 박영규의 '조선 왕들은 왜'에서도 본 것럼 문종을 비롯해 자녀들을
네 번이나 이혼시켰으며 종친불사의 원칙을 무시하고 아들들에게 나라 일을 맡겨 이후 비극의 씨앗을
심은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계유정난을 일으키며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결국
한 배를 탄 공신들을 통제하지 못해 자신이 만든 피바람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낮과 밤이 달랐던 성종은 나름의 업적을 남긴 왕이지만 아들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를 죽이는 등
수신제가에 실패하면서 또다른 비극의 씨앗을 뿌렸다. 조선 왕조에서 흔히 가장 무능한 왕 중 하나로
꼽히는 선조가 당당히(?) 이 책에 포함된 건 좀 의외였지만 임진왜란 이전에는 붕당정치를 긍정적으로
활용한 탁월한 정치꾼이라고 이 책에선 평가한다. 이순신과 허준을 발탁하는 등 인재를 보는 안목도
갖추었다고 평가하는데 이순신 등용이 유성룡의 천거로만 알았더니 선조의 작품이란 의외의 사실도
알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의 선조는 말할 가치도 없고 선조의 냉대 속에 간신히 왕이 된 광해군이
뒤를 이어 등장한다. 광해군도 평가가 나뉘는데 임진왜란 때의 활약이나 실리를 추구한 외교정책이
흔히 평가받곤 한다. 이 책에선 광해군이 어쩔 수 없이 파병을 할 때 강홍립에게 의도적으로 항복하라
지시하진 않았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마지막 두 명은 역시나 영조와 정조가 장식한다. 영조의 경우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로 규정하는데 백성에겐 인자한 왕이었지만 아들에겐 잔인한 왕이었다.
출신이나 경종 독살설 등에 휘말린 상태에서 노론 덕에 왕이 된 한계가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정조의
경우 세종 못지 않은 명군으로 평가받는데 아버지를 죽인 노론에 대한 복수만을 추구하기보단 여러
개혁을 통해 백성을 사랑하고 백성에게 다가간 왕이었으나 역시 독살설이 제기되는 갑작스런 죽음을
맞게 된다. 정조가 심환지와 주고 받은 299통의 편지가 발견되면서 독살설이 설득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적지 않지만 이 책에선 당시 정황을 볼 때 독살설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고 본다. 이렇게 조선의
대표적인 왕 9명을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는데 각자의 상황에서 나름의 리더십을 발휘한 측면이
있지만 자신이나 주변 상황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잘
몰랐던 조선 왕들의 여러 면모를 살펴보는 소중한 시간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