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5 떨이



  책을 읽는 사람은 그저 ‘책을 읽’습니다. 새책을 읽거나 헌책을 읽지 않아요. 새책으로 장만하더라도 새책집에서 값을 치르면 곧장 헌책입니다. 새책을 읽거나 옛책을 읽지도 않습니다. 오늘 알아보며 누릴 책을 읽어요. 즈믄 해 앞서 흐르던 이야기를 새로 담아내면 옛책일까요, 새책일까요? 겉종이나 속종이가 닳더라도 책은 그저 책입니다. 국물이 튀거나 비에 젖어도 책은 언제나 책이에요. 이야기를 담은 종이라는 몸은 낡거나 다칠는지 모르나, 속에 흐르는 숨결은 매한가지입니다. 사납빼기(독재자)가 아무리 책을 불살라도 책이 사라질 일은 없어요. 나무한테서 얻은 종이로 이룬 겉모습은 사라지되, 속에 담은 넋은 고스란합니다. ‘도서정가제’라는 일본스런 한자말로 붙인 이름은 “책에 제값을” 돌려주자는 뜻으로 세운 길(법)입니다만, 책을 안 읽는 벼슬꾼(국회의원)이 앞장서서 “태어난 지 열여덟 달이 지난 책을 누리책집(인터넷서점)이 후려치기로 팔아치울 수 있도록 하려”는 막짓(개악)을 틈틈이 벌이려 한다더군요. 책을 안 읽으니 “책에 제값을(도서정가제)”이 무슨 뜻인지 못 읽습니다. 책은 늘 책입니다. 후려쳐서 넘길 떨이(재고정리)가 아닌,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나 새빛을 들려주는 이야기씨앗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1. 주호민을 보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씨는 ‘웹툰’을 아예 안 보기에 누가 뭘 그리는지 아예 모릅니다. 곁님이 아주 예전에 ‘신과 함께’라는 웹툰이 ‘우리 옛 문화와 신화’를 다루는 듯한데 좀 보면 어떻겠느냐 하고 얘기해서 그런가 보다 하고 좀 들여다보다가 ‘영 엉터리 줄거리에 그림까지 엉성해’서 “아니, 이런 엉터리 웹툰을 왜 보라고 해요?” 하고 물어보았습니다. “여보, 우리 오랜 문화와 신화를 웹툰으로 그리는 사람 봤어요?” “웹툰을 아예 안 보니 그런 사람이 있는 줄 아예 모르지. 만화에는 몇몇 분이 계시지.”


  나중에 《신과 함께》가 낱책으로 나온 뒤에 몇 자락을 사서 다시 읽어 보았는데, 다시 읽어 보아도 엉성하고 엉터리인 대목은 매한가지입니다. ‘우리 옛 문화와 신화’를 그림감으로 삼았다고 하더라도 그저 높이 사거나 좋게 볼 수는 없습니다. 옛살림을 담든 오늘살림을 담든 ‘제대로’ 담을 일이고, ‘올바로’ 그릴 일이고, ‘사랑으로 하루를 짓는 어질며 참하고 착한 숨결을 들려줄’ 일이라고 여깁니다.


  주호민 씨가 ‘돈·이름·힘’을 노리기보다는, ‘그림솜씨를 갈고닦으면서 만화를 빛내는 길에 씨앗 한 톨 심겠다는 마음’이었다면, 《신과 함께》는 엄청 달랐으리라 봅니다. ‘아름씨앗·사랑씨앗·꿈씨앗을 심는 그림길’로 걸어갔으면, 어쩌면 영화로도 안 나오고 썩 돈벌이도 못 했을 수 있어요. 그러나 2023년 7월 끝자락에 온나라에 불거진 “성추행·폭력 일삼은 아이를 돌보는 길잡이(특수교사)를 ‘아동학대로 고발’하는 짓”은 안 했으리라 봐요. 마음에 ‘삶·살림·사랑’을 심는 사람이라면, 밖에서 ‘돈·이름·힘’을 노리느라 바쁘게 하루를 보내지 않습니다. 보금자리에서 아이랑 놀고 어울리고 살림하고 일하면서 더 느리고 느긋하며 느슨하게 ‘살림꾼(전업주부)’을 노래하겠지요.


  경북 포항에 ‘학교앞거북이’라는 펴냄터가 작게 있습니다. 곧 그림책을 새로 낸다면서 책두레(텀블벅)를 바라는 글을 띄우는군요. 숲노래 씨는 기꺼이 ‘둘째 씨앗’을 함께 심기로 합니다.


https://www.tumblbug.com/daheng


  우리는 돈을 벌려고 이 땅에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이름값을 드날리려고 이 별에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힘을 거머쥐면서 마구 부리려고 이곳에서 어우러져 살아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숨결을 저마다 다른 눈빛으로 밝혀서 저마다 다른 보금자리에서, 저마다 나란히 풀꽃나무를 품는 숲빛으로 물들어 해바람비를 즐기는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서려고 이 땅에 이 별에 왔고, 이 나라 사람으로 서로 만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3.7.29.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4 아동학대법과 주호민



  우리나라에 엉터리(불법)가 무척 많습니다. 그물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뒷짓을 벌이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책을 놓고 얘기한다면, 퍽 오래도록 ‘새책집 일꾼’이 ‘헌책집 일꾼’을 ‘영업방해·불공정거래’를 한다면서 ‘신고·고발’을 하려고 든 적이 잦았습니다. ‘헌책집에서 같은 책을 사고팔면 새책을 팔 수 없다’는 말(논리)을 펴던데, ‘새책집 일꾼’은 ‘똑같은 책을 거저로 읽히는 책숲(도서관)’은 아예 안 건드렸습니다. ‘새책장사’로만 본다면 헌책집보다 책숲이 더 말썽이 아닐까요? 예전에는 ‘가정교육’이라 했고 요새는 ‘홈스쿨링’이라 하는 ‘집배움’은, 틀(법)로 보자면 ‘아동학대 불법행위로 벌금 200만 원 부과대상’입니다. 집에서 스스로 배우겠다는 길을 처음부터 가로막는 엉터리(불법)인데, 여태 손을 안 봅니다. ‘성추행·폭행을 일삼은 어린이’를 둔 주호민 집안은 ‘특수교사를 아동학대로 형사고발’을 했습니다. ‘서이초 길잡이 눈물꽃’으로도 불거진 ‘아동학대법 잘잘못’인데, ‘무고죄 처벌’과 ‘무고 피해자 보호대책’과 ‘알맞은 가르침(훈육)’이 빠진 ‘아동학대법’입니다. ‘아동학대 신고’만 하면 ‘신고자가 무슨 속셈(의도)인지 따지지도 않’는다면, 정작 누가 들볶일까요?


+


‘아동학대’라면, 두 살 어린 여학생한테 응큼질(성추행)을 할 뿐 아니라 몸집이 작은 여학생만 골라서 때리는 짓을 일삼아 온 아이를 가르치지(훈육) 못한 ‘주호민 집안’이라고 여길 만하다. ‘어버이 노릇을 하지 못한 주호민 집안’에야말로 ‘아동학대’로 고발을 해서, 함께 ‘법’으로 ‘심판’을 하도록 일이 나아간다면, 이때에는 ‘중립기어’를 박고서 기다릴 만하다. 교육부장관과 경기교육감이 ‘주호민 집안’을 아동학대로 고발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25. 다른 숨거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2022년 12월에는 숲노래 씨 셈틀이 숨을 거두었습니다. 2023년 7월에는 숲노래 씨 곁님 셈틀이 숨을 거둡니다. 두 사람이 쓰던 셈틀은 참으로 오래도록 곁에 있었어요. 오늘은 곁님 셈틀을 들고 고흥으로 나가려 합니다. 셈틀집에 맡겨서 속(하드디스크)을 살리고서, 새 셈틀을 장만하는 길을 찾으려 합니다.


  지난 쇠날(금요일)에 인천으로 이야기꽃을 펴러 마실을 가느라, 하루 앞서인 나무날(목요일)도, 또 하루 더 앞서인 날도, 집에 가만히 머물지 못 하고서 부산스레 움직입니다. 해날(일요일)에 고흥으로 돌아왔지만, 달날(월요일)은 읍내로 가서 새삼스레 이야기꽃을 폈고, 오늘 불날(화요일)도 셈틀을 안고서 바깥일을 보려고 합니다.


  기지개를 켭니다. 빨래를 했더니 큰아이가 마당에 널어 줍니다. 작은아이는 스스로 밥을 지어서 차려놓습니다. 얼마 앞서까지 혼자 맡던 집안일을 조금조금 덜어가는 두 아이가 있으니 더더욱 기지개를 켤 만합니다. 함께 자라고, 같이 살아가고, 나란히 노래하는 오늘 하루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20. 헌책집 길그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1994년부터 ‘혼책(1인 소식지·잡지)’을 여미었습니다. 1994년 12월에 첫자락을 내놓았고, 1995년에는 대여섯쯤 내놓았으며, 1996년에 싸움터(군대)에서 손으로 드문드문 내놓다가, 1997년에 싸움터를 마칠(전역) 즈음 조금 더 힘내어 여러 가지를 내놓았고, 1998년 1월부터 밑돈을 모으는 대로 바지런히 갖은 혼책을 쓰고 엮고 내놓아 돌렸습니다. 1998∼99년에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를 할 적에 새뜸(신문)에 ‘혼책’을 끼워서 돌리기도 했습니다. 그무렵 온하루는 ‘일하고, 읽고, 새기고, 쓰고, 엮고, 돌리기’뿐이었습니다. 하루에 두토막(2시간)쯤 자면 넉넉하다고 여기던 나날입니다. 요새는 손전화에 길찾기(네비게이션)이 흔하지만, 1994∼2003년 무렵에는 길그림책(지도책)을 찾거나 사기도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헌책집 길그림’을 그리려면, 책집 둘레 온마을과 온골목을 샅샅이 걸으면서 스스로 줄인자(축척)를 어림해야 했어요. 길그림 하나를 그리려면 한 달 즈음 걷고 또 걸으며 ‘서울 신촌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마포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동대문 헌책집 길그림’이나 ‘서울 용산 헌책집 길그림’을 추스를 수 있었습니다. 일부러 걷고, 그냥 걷고, 그저 걸었습니다. 걷다 보면, ‘책읽기 = 걷기’하고 매한가지요, ‘글쓰기 = 걷기’하고 나란하다고 느낍니다. 걷는 매무새일 적에 어질게 읽고 즐겁게 쓴다고 배웠습니다. 걸어다니지 않는 이들은 읽지도 쓰지도 않을 뿐 아니라, 걸음걸이 없는 눈길과 손길과 마음길로는 겉치레에 그치게 마련이라고 느꼈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