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

숲노래 씨는

한자말을 되도록 안 쓴다.

한자말을 싫어하기 때문에

한자말을 안 쓰지 않는다.


말더듬이에 혀짤배기인 몸으로서는

한자말을 소리내기가 꽤나 어렵고

자꾸 소리가 꼬이는 탓에

되도록 한자말을 안 쓰고

입으로 소리를 내기에 쉬울 뿐 아니라

뜻도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듯

알기에 수월한

오랜 우리말을 쓰려고 할 뿐이다.


그런데

숲노래 씨가 안 쓰는 말이라 해도

둘레(사회)에서는 익히 쓰는 터라

‘내가 안 쓰는 말’을

노래꽃(동시)으로 써 보려 한다.


이제 이런 글도 써서

이웃님한테 건네려고 생각한다.

.

.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4. 남자



남자란

바보같은 놈이야

스스로 못 깨닫고

곁에서 알려주면 뒷북이지


남자란

나무로 설 수 있고

날개를 펼 수 있고

노래를 할 수 있어


남자란

날(낳을) 적에는 아직 몰라도

날(나을) 적에는 확 달라지지

너도 알 테야


나긋나긋 알려주렴

느긋느긋 속삭이렴

온 나날을 사랑으로

너나없이 우리로서


2023.4.15.

ㅅㄴㄹ


‘남자’는 ‘男子’처럼 한자를 적습니다. ‘밭(田) + 힘(力)’입니다. 우리말로는 ‘가시버시’에서 ‘버시’가 ‘남자’요, ‘버시 = 벗’이며, 시골말로는 ‘머스마(머스매)’이고, 이 오랜 우리말은 ‘머슴’하고 맞닿습니다. ‘머슴’이란, 스스로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닌, 남이 시키는 일을 맡아서 해주고는 일삯을 돈이나 밥으로 받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머슴이란 일꾼은 ‘사내(남자)’입니다. 곧, 우리말 ‘머슴’이나 한자말 ‘男子’나 “시키는 일을 고분고분 힘으로 맡는 사람”인 셈입니다. 우리말이나 한자말이 왜 이런 밑뿌리를 낱말에 담았는가 하고 돌아본다면, 참말로 사내(돌이·남자)는 처음부터 스스로 생각해 보기보다는 남(순이·여자)이 들려주는 말과 모습에 따라 달라져요. 나이를 먹어도 덜 철드는 몸이 “머슴·남자”라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뒷북처럼 뒤늦게 철들더라도, 곁에서 순이(여자)가 언제나 사랑으로 속삭여 준다면 천천히 느끼고 알아보면서 어질게 살아가며 비로소 ‘아버지’로서 ‘어버이’ 구실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바로 ‘머스마(남자)’이기도 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1.27.

고약말 꾸러미 ― 처녀



[국립국어원 낱말책]

처녀(處女) : 1. 결혼하지 아니한 성년 여자.≒실녀, 처자 2. 남자와 성적 관계가 한 번도 없는 여자 = 숫처녀 3. 일이나 행동을 처음으로 함 4. 아무도 손대지 아니하고 그대로임

처녀작(處女作) : 처음으로 지었거나 발표한 작품

처녀지(處女地) : 1. 사람이 살거나 개간한 일이 없는 땅 2. 학문, 과학, 기술 따위에서 연구·개발되지 않았거나 밝혀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분야

처녀림(處女林) : 사람이 손을 대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산림



  예전에는 ‘처녀운전’이나 ‘처녀항해’ 같은 한자말을 쓰던 우리나라입니다. 예전이라 하면, 일본이 총칼로 우리나라로 쳐들어와서 차지하던 무렵부터 2000년에 이르기까지라 하겠습니다. 요새는 ‘초보운전’이란 한자말로 고쳐서 쓰고, ‘첫 항해’처럼 우리말 ‘첫’을 쓰곤 합니다. 그렇지만 아직 국립국어원 낱말책을 비롯해 적잖은 어른들은 ‘처녀작·처녀지·처녀림’ 같은 일본 한자말을 그냥 씁니다.


 깨끗하다·맑다·정갈하다·푸르다

 낯설다·없다

 비다·빈자리·빈틈·빈터

 처음·첫걸음·첫벌·첫것

 첫길·첫발·첫천·첫아이·첫차림·첫터


  낱말책 뜻풀이도 고쳐야겠고, 우리말 ‘처음’ 뜻풀이도 손질하고 보태야겠어요. ‘처음·첨·첫’이란 우리말을 알맞게 쓰는 길을 이야기할 노릇이고, ‘깨끗하다’나 ‘푸르다’나 ‘낯설다’나 ‘없다’를 알뜰살뜰 쓰도록 이끌 노릇이에요. ‘푸른숲’이고, ‘첫길’이고, ‘빈터’예요.



[숲노래 낱말책]

처음(첨·첫) : 1. 아직 하거나 이루거나 있거나 다루거나 쓰지 않은 것·길·살림·숨결·일·곳·자리·때. 2. 가장 빠르거나 높거나 낫거나 좋다고 여기거나 보는 때·곳. (먼저·앞·으뜸·꼭두) 3. 아직·여태·이제껏·오늘까지 보거나 만나거나 듣거나 겪지 않은 것·길·살림·숨결·일·곳·자리·때. (모르다·낯설다·없다·비다) 4. 아직·여태·이제껏·오늘까지 만지거나 건드리거나 손대거나 알거나 보거나 찾거나 쓰거나 움직이거나 바꾸지 않아 그대로 있는 것·길·살림·숨결·일·곳·자리·때. 손을 타거나 다치거나 망가진 적이 없고 알려지지 않은 것·길·살림·숨결·일·곳·자리·때. (깨끗하다·맑다·푸르다) 5. 아직·여태·이제껏·오늘까지 나서거나 하거나 쓰거나 짓거나 펴거나 알리지 않았으나, 바로 이제부터·오늘부터·이곳부터 나서거나 하거나 쓰거나 짓거나 펴거나 알리는 것·길·살림·숨결·일·곳·자리·때. (새롭다·첫선·첫발)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1.25.

고약말 꾸러미 ― 시험



[국립국어원 낱말책]

시험(試驗) : 1. 재능이나 실력 따위를 일정한 절차에 따라 검사하고 평가하는 일 2. 사물의 성질이나 기능을 실지로 증험(證驗)하여 보는 일 3. 사람의 됨됨이를 알기 위하여 떠보는 일. 또는 그런 상황



  배우는 곳인 ‘학교’이지만 자꾸 ‘시험’을 치릅니다. 요새는 ‘시험’이 확 줄어들기는 했어도, 어린배움터에서만 조금 줄었을 뿐, 푸른배움터에는 아직 숱한 ‘시험’이 도사립니다. 푸른배움터를 마치는 열아홉 살 무렵에는 무시무시한 수렁(입시지옥)이 기다려요. 그런데 이 수렁을 지나더라도 일자리를 찾으려고 다시 ‘시험’을 치러야 하는 얼거리입니다.


 시험 → 겨루다. 해보다


  말뜻으로 본다면 ‘살피고(검사) 따진다(평가)’고 하는데, 정작 우리나라에서 ‘시험’이란 ‘줄세우기’라고 여길 만합니다. 첫째부터 꼴찌까지 값을 매기는 모습이에요. 이러다 보니 뒷줄로 밀리지 않고 앞줄로 나서려고 돈이나 힘을 쓰는 사람들이 나옵니다. 앞줄에 안 서면 뒤떨어지거나 모자라다고 여겨요. 솜씨를 알아보고자 ‘겨룰’ 수는 있되, 이보다는 우리 배움터 어디에서나 ‘해보기’로 바꾸어야지 싶습니다. 잘 하든 못 하든 해볼 수 있도록 돕고, 이기거나 지거나 따지지 말고 스스럼없이 해보도록 북돋우고, 새길로 첫발을 내딛는 몸짓으로 해보는 살림을 배우는 즐거운 터전이 되어야지 싶어요.



[숲노래 낱말책]

겨루다 : 1. ‘누가 이기거나 지는지·낫거나 모자란지’를 한자리에서 몸으로 부딪히면서 서로 알아보다. 2. 힘·솜씨·재주·몸짓·말글이 어떠한가 한자리에서 서로 보여주거나 내놓거나 내세우면서 알아보다.

해보다 : 1. ‘할 만한지·할 수 있는지·해도 될는지’ 알아보려고 스스로 나서거나 부딪히거나 뛰어들거나 달려들다 2. ‘이기거나 지는지, 낫거나 모자란지, 솜씨·재주·힘·기운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려고 몸으로 나서다. 3. 아직 없거나 이루지 않은 일·것·살림·짓을 처음으로 펴거나 내놓거나 보이거나 밝히려고 나서다. 4. 남이 따르거나 따라할 수 있도록 먼저 몸·몸짓·모습으로 보여주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1.22.

고약말 꾸러미 ― 문제아



[국립국어원 낱말책]

문제아(問題兒) : [심리] 지능, 성격, 행동 따위가 보통의 아동과 달리 문제성이 있는 아동. 넓은 뜻으로는 이상아, 특수아, 결함아 등을 뜻하지만 좁은 뜻으로는 주로 행동 문제아를 이른다 ≒ 문제아동

문제어른 : x

문제(問題) : 1.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2.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3.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또는 그런 일 4. 귀찮은 일이나 말썽 5. 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문제가 있다고 여겨 ‘문제아·문제아동’ 같은 말을 쓰는 어른입니다. 한자말 ‘문제’는 ‘말썽’을 가리켜요. ‘말썽꾼·말썽꾸러기·말썽아이’라고 말하는 셈인데, 둘레를 보면 말썽을 일으키는 어른이 수두룩합니다. 그러나 어른을 보며 ‘말썽어른’이라 말하지는 않아요.


 말썽쟁이·말괄량이

 개구쟁이·장난꾸러기


  “왜 어른한테는 말썽쟁이라 안 해?” 하고 따질 만합니다만, 우리말로는 ‘나이가 많이 든 사람 = 늙은이’요, ‘어른 = 철이 들어 스스로 삶을 짓고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켜요. 나이가 많기에 어른이 아니라, 철이 들어 어진 사람이 어른입니다. 나이가 적어도 철들고 어질면 어린이도 ‘어른스럽다’고 해요. 그러니까 말썽쟁이라면 어른일 수 없이 ‘철없는’ 사람이랍니다. 말썽을 일으키면 ‘말썽쟁이’일 테고, 장난을 즐기면 ‘장난꾸러기’입니다. 틀을 깨면서 신바람으로 놀 줄 알면 ‘말괄량이’에 ‘개구쟁이’이고요.



[숲노래 낱말책]

말썽쟁이 : 말썽을 일으키는 사람·것·연장·살림. 자꾸 말썽을 부리는 사람·것·연장·살림. 말이나 몸짓이 거친 사람. (= 말썽이·말썽꾼·말썽꾸러기·말썽뭉치.)

말썽 : 1. 어떤 일을 들추어내어 귀찮게 하거나 말꼬리를 잡는 일이나 몸짓. 2. 제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망가지는 일

말괄량이 : 장난을 자꾸 하는 순이. 자꾸 장난을 치면서 즐기는 순이. 순이는 얌전하거나 조용하거나 돌이가 시키는 대로 해야 한다고 여기던 지난날, 얌전하지 않고 조용하지 않으면서 마음껏 뛰놀고 뛰어다니면서 씩씩하고 밝게 움직이거나 지낼 줄 알던 순이.

개구쟁이 : 아직 철이 들지 않아 장난을 자꾸 하는 아이. (= 개구지다.)

장난꾸러기 : 장난을 자꾸 하는 사람·것·연장·살림. 자꾸 장난을 치면서 즐기는 사람·것·연장·살림. (= 장난쟁이·장난꾼.)

장난 : 1. 재미로 하거나 심심해서 하는 짓. 2. 괴롭고 귀찮게 하는 짓.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고약말 꾸러미 ― 자녀



[국립국어원 낱말책]

아들딸 :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딸아들 : x

자녀(子女) :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여자(女子) : 1.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 여 2. 한 남자의 아내나 애인을 이르는 말 3. [역사] 신라에서, 궁내성에 속하여 침방(針房)에서 바느질하는 일을 맡아보던 나인



  아들하고 딸을 아우르는 이름은 ‘아들딸’입니다. 한자로 옮기면 ‘자녀’입니다. 딸하고 아들을 아우르는 이름은 ‘딸아들’이에요. 그런데 아직도 우리 낱말책에는 우리말 ‘딸아들’을 안 올려놓습니다. 한자말 ‘자녀’를 뒤집은 ‘녀자(여자)’도 ‘딸아들’을 가리키는 뜻이 없습니다.


 고명딸 고명아들


  새해맞이 떡국에는 손품을 들여 고명을 올려요. 영어로는 ‘토핑’일 ‘고명’인데, 우리말 ‘고명딸’은 한자말로 ‘무남독녀’를 가리킵니다. 그런데 우리 낱말책은 ‘고명아들’은 안 실어요. ‘삼대독자’쯤이라면 ‘고명아들’일 텐데 말이지요. 앞으로 우리 낱말책은 ‘딸아들·아들딸’을 나란히 다루면서, ‘고명딸·고명아들’을 같이 실으면서, 모든 아이를 사랑으로 품는 길을 들려줄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숲노래 낱말책]

고명아들 : 딸만 있는 집안에 태어난 매우 반가우면서 곱고 사랑스러운 아들을 가리키는 이름. (= 고명아들아기·고명아드님. ← 독자獨子, 무매독자)

고명딸 : 아들만 있는 집안에 태어난 매우 반가우면서 곱고 사랑스러운 딸을 가리키는 이름. (= 고명딸아기·고명따님. ← 독녀獨女, 무남독녀)

고명아이 (고명 + 아이) : 딸이나 아들만 있는 집안에 태어난 매우 반가우면서 곱고 사랑스러운 외아들이나 외딸을 가리키는 이름. (= 고명둥이·고명이. ← 독녀獨女, 독자獨子, 무남독녀, 무매독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