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29 흥미 2023.4.28.



까투리 장끼는 새끼랑 놀고

암제비 수제비 하늘 가르는

앵두나무 푸른잎 싱그러운

한봄


개미집이 부쩍 크고

벌집도 자꾸자꾸 크는

오동나무 큰잎 시원스런

한여름


무화과알 까마중알 감알

깨 고추 콩 나락 그득한

잣나무 바늘잎 짙푸른

한가을


철맞이 누리면 재미있어

새노래 매미노래 구성져

한겨울에 날개 띄우자

눈꽃송이 신나게 받고 놀자


ㅅㄴㄹ


‘흥미(興味)’는 “흥을 느끼는 재미”라 하고, ‘흥(興)’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이라는군요. 우리말로 하자면 ‘신·신명·신바람’이라고 하겠습니다. ‘신·신명·신바람’은 “시원한 빛”입니다. 시원하게 틔우는 빛이고, 시원하게 일어나는 빛이에요. ‘신’은 ‘시’가 말밑이고, ‘심(힘)’하고 말뿌리가 닿습니다. ‘심’은 ‘심다’하고 맞물리며, ‘심·심다’는 ‘씨·씨앗’하고 얽히는 낱말이지요. 씨앗을 심어서 기르듯 올라오는 힘이 빛나기에 ‘신·신명·신바람’이랍니다. 그래서 신나게 노는 동안 즐겁거나 재미있다고 느껴요. 신바람을 내니 새롭고 싱그럽습니다. 어떤 마음을 심으면서 천천히 올라오는 심(힘)인 ‘신’입니다. 오늘 하루를 여는 새벽이나 아침에 어떤 생각씨앗을 심어 보았을까요? 오늘 하루를 닫는 저녁이나 밤에 어떤 꿈씨앗을 심어 볼까요? 철마다 다르게 흐르는 빛살을 느끼면서 하루를 바라봐요. 가만히 속삭이듯 풀빛을 품고, 더위도 추위도 아닌 여름과 겨울을 한껏 맞아들이면서 한바탕 노래하고 놀아요. 하루하루 새록새록 흐르면서 마음이 자라고 몸이 튼튼하고 생각이 반짝반짝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34 최고 2023.5.2.



하늘은

얼마나 높아야 하나?

땅은

얼마나 깊어야 하지?


하나가 높을수록

하나가 낮아야 한다

하나를 올릴수록

하나를 내려야 하지


개미한테도 나한테도

하늘은 그저 하늘

독수리한테도 너한테도

구름은 줄곧 구름


노을처럼 노래하며 간다

너울처럼 놀며 어울린다

가장 높으려는 허울 벗고서

가벼이 놓으며 하늘빛으로


ㅅㄴㄹ


누구를 높이면, 둘레에 누구는 저절로 낮추게 마련입니다. 높낮이나 앞뒤를 따지면, 첫째나 으뜸 둘레에 막째나 꼴찌가 있습니다. ‘최고(最高)’는 “1. 가장 높음 2. 으뜸인 것. 또는 으뜸이 될 만한 것”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첫째나 으뜸이란 자리가 나쁘지 않다면, 막째나 꼴찌라는 자리도 안 나쁘겠지요? 그저 자리를 갈라 놓을 뿐이거든요. 그렇지만 우리나라나 이웃나라를 보면, 으레 첫째나 으뜸만 눈여겨보거나 치켜세웁니다. 다들 첫째나 으뜸이 되려고 자꾸 겨루거나 싸우거나 다퉈요. 함께 걸어가는 길이나 어깨동무를 하는 살림살이가 아닌, 혼자만 떵떵거리려는 굴레 같습니다. 요즈음은 시골에서 살아가며 철마다 다르고 달마다 다르며 날마다 다른 풀꽃나무를 곁에서 지켜보는 어린이가 아주 드뭅니다만, 아무리 서울·큰고장에서 살아가는 어린이와 어른이 많더라도, 모든 풀꽃나무는 겨룸·다툼·싸움을 안 해요. 서로서로 다 다른 때·날·달·철을 살펴서 스스럼없이 피고 집니다. 다 다른 숨결이 다 다르게 피고 지듯, 다 다른 사람도 다 다른 자리에서 저마다 하루를 기쁨으로 짓고 나눌 적에 아름다우리라 느껴요. 허울을 벗고 너울이 되어 봐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30 결혼 2023.4.28.



함께살림을 한다면

한걸음씩 함함하게

하늘빛으로 함박웃음

하루하루 한결같이


같이살기를 간다면

가만가만 듣고 가다듬고

가벼이 손잡으며 가누고

가르치기보다 배우는


꽃맺음 사랑맺음 아름맺음

가시버시 순이돌이 한마음

너나없이 너나들이 우리집

보금자리 둥지 포근포근


철들어 가는 어른

철노래 잇는 어버이

들숲바다처럼 노는 아이

하나씩 가꾸며 짓는 오늘


ㅅㄴㄹ


일본 한자말이라는 ‘결혼(結婚)’은 “남녀가 정식으로 부부 관계를 맺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우리 한자말이라는 ‘혼인(婚姻)’은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일”을 뜻한다지요. 예부터 여느 사람들은 한자도 중국말도 없이 생각을 나누었고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살림을 지었습니다. 이 한자말도 저 한자말도 안 쓰던 사람들은 먼 옛날부터 어떤 우리말로 둘 사이를 나타냈을까요? 먼저 ‘맺다’입니다. ‘매듭’하고 뿌리가 같은 ‘맺음’은 “열매가 맺다”나 “꽃망울이 맺다”처럼 쓰고, “이슬이 맺다”나 “끝을 맺다”처럼 쓰기도 합니다. ‘매조지’라는 우리말하고 비슷하면서 다른데, 곱게 피어나는 끝이자 처음인 길을 나타내는 ‘맺다’예요. 순이돌이가 가시버시로 나아가는 첫길은 ‘꽃맺음’이요, 둘은 ‘사랑맺음’일 테며, 하루하루 ‘아름맺음’이라는 숨결일 적에 즐겁고 아늑합니다. 보금자리를 함께 짓습니다. 둥지를 같이 가꿉니다. 둘은 두레를 둥그렇게 이루듯 두런두런 이야기꽃을 피우면서 마음씨를 따사로이 돌봅니다. 처음에는 ‘마음으로 만남’이라면, ‘한집’을 이루는 길은 ‘꽃을 맺음’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22 학교 2023.4.23.



울타리로 찔레꽃 피고

담벼락에 동박새 앉고

밤마다 별을 읽고

아침에 이슬 먹고


나무에 올라타서 풀잎피리

풀밭에 드러누워 휘휘파람

바다에 뛰어들어 헤엄잔치

들판을 내달리는 땀방울꽃


빗물이 흐르는 길 배운다

햇살이 내리는 곳 돌본다

언니는 동생을 아끼고

동생은 언니를 이끌고


사랑을 물려주는 어린이

아이한테서 듣는 어른

소꿉으로 살림놀이 어린이

너나없이 어울리는 이야기


ㅅㄴㄹ


어린이는 어느 나이에 차면 들어가서 배우는 곳이 있습니다. ‘학교(學校)’라 하고, “일정한 목적·교과 과정·설비·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을 뜻한다지요.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으로 풀이하는데, ‘교육(敎育)’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을 뜻해요. ‘학교 = 가르치는 곳’이라는 낱말풀이입니다. 그런데 왜 빙빙 돌며 어렵게 풀이를 할까요? “삶을 가르치는 곳”이나 “삶과 살림과 사랑을 배우는 곳”처럼 풀이할 만하며, 쉽게 풀이하는 길을 따라서 ‘배움터·배움곳·배움집’처럼 더 쉽게 우리말로 여밀 만합니다. 숲(자연)을 아끼는 길을 배우거나 가르치려면 숲에 깃들면 됩니다. 어깨동무하는 즐겁고 아름다운 사랑을 배우거나 가르치려면, 그야말로 아이어른과 순이돌이가 언제나 어깨동무하면서 즐겁고 아름다운 하루를 함께 짓고 나누면 됩니다. 글이나 책만으로는 못 가르치고 못 배워요. 삶은 늘 삶으로 배우고 나누며 가르칩니다. 온마음으로 사랑을 물려줍니다. 온몸으로 이곳에서 살림을 짓고 가꾸고 돌봅니다. 스스럼없이 어울리며 따사롭고 넉넉히 품고 풀어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9 인간 2023.4.18.



누구나 하나야

넋으로 하나요

몸으로 하나에

마음이 하나로


저마다 하늘빛 품고

새롭게 하늘숨 먹고

서로 한울타리 이뤄

함께 이어가며 살지


사람이란

하늘과 땅 사이 잇는

새처럼 날고 놀고 노래로

나눌 줄 알아 넉넉해


사랑으로 살림하며 산다

생각으로 새록새록 심고

알뜰살뜰 알차게 열면서

말씨앗 빛내며 홀가분해


ㅅㄴㄹ


한자말 ‘인간(人間)’을 “1. 생각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도구를 만들어 쓰고 사회를 이루어 사는 동물 = 사람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일정한 자격이나 품격 등을 갖춘 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풀이하는데, 우리말은 ‘사람’입니다. 우리말 ‘사람’을 굳이 한자말 ‘인간’이나 영어 ‘휴먼’으로 옮겨서 써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말을 가만히 쓰면서 바탕을 헤아리고 숨결을 읽어낼 적에 스스로 깨어날 만합니다. 사람은, 사이에 있습니다. 사람은, 살림을 사랑으로 짓고 나눕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서로서로 사이에 섭니다. 사람은, 생각을 지어 새롭게 삶을 이룹니다. 사람은, 사랑 사이에서 새롭게 숨쉬고 노래하고 놀 줄 아는 ‘새(멧새)’처럼 홀가분하게 피어납니다. 사람은, 서로 어우러지면서 사이좋게 살림을 폅니다. 사람은, 산들바람으로 갑니다. 사람은, 살살이꽃(코스모스) 같습니다. 사람은, 살며시 움트고 싹트면서 숲을 밝히는 풀꽃나무를 닮습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사귈 적에 서로 빛나면서 살림을 싱그럽게 가꿉니다. ‘라온(랍다)’은 ‘즐거움’을 가리키는 옛말이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