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7.22.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

 김기찬 사진, 황인숙 글, 샘터, 2005.7.25.



수봉산 기스락 숭의동 골목을 걸어서 나무전봇대를 스친다. 나무전봇대 우듬지에 풀씨가 내려앉아서 자란다. 처음 나무전봇대가 서던 총칼수렁(일제강점기) 무렵에는 흙길이었겠지. 잿돌(시멘트)전봇대로 바뀌고 한참 지나면서 나무전봇대는 뎅겅 잘려나가는데, 바탕이 나무이기에 잿더미로 메마른 곳에 조그마니 풀빛바람을 베풀어 주는구나. 한참 ‘나무전봇대 들풀’을 바라보고서 전철을 타고 서울로 간다. 강서구 발산어린배움터 옆 〈호수책장〉에 닿는다. 오늘은 바깥일이 있는지 늦게 여는 듯하다. 둘레에는 줄줄이 넘치는 학원. 이제 아이들은 마을이나 골목이나 집이 아닌 학원에서 놀아야 하나? 〈악어책방〉에서 어린씨랑 ‘노래꽃수다’를 편다. 늦은낮부터 새삼스레 내리는 비가 서울을 적신다. 《그 골목이 품고 있는 것들》을 되새긴다. 2005년에는 왜 ‘골목스럽지 않은 글’에 ‘김기찬 골목 사진’을 섞었는지 한숨이 나왔다. 2023년에 되읽어 보자니 ‘작은 골목집에 골목사람으로 깃들어 글씨앗을 심는 글바치’는 그때에나 이제나 드물게 마련이고, 사람들도 ‘골목 삶글’이 아닌 ‘골목 멋글(추억)’을 바라는구나 싶더라. 골목은 씨앗을 품는다. 골목은 서울(도시)도 멋(문화)도 안 품는다. 골목은 살림지기를 키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7.21.


《오십에 하는 나 공부》

 남혜경 글, 샨티, 2023.6.22.



인천으로 이야기를 펴러 가는 날이다. 읍내로 나와서 서울로 시외버스를 타고, 전철로 갈아타서 인천으로 간다. 길에서 아홉 시간쯤 보낸다. 버스·전철에서 노래꽃(시)을 쓴다. 먼저 구월동 〈책방건짐〉을 찾아간다. 책내음을 헤아리고서 볕이 후끈후끈한 곳을 따라서 주안동으로 걷는다. 얼마 앞서까지만 해도, 인천은 골목나무나 골목밭이나 골목꽃을 보면서 슬슬 거닐 만했지만, 골목을 뚝 잘라서 부릉부릉 매캐한 길이 너무 늘었다. 잿더미(아파트)가 하늘을 가리고 시끄러운 길은 더 걷고 싶지 않아서 시내버스를 타고 배다리로 간다. 〈나비날다〉하고 〈집현전〉하고 〈아벨서점〉에서 책을 장만한다. 다시 책빛을 품으면서 눈을 쉰다. 저녁 19시에 말밑풀이(어원해석) 이야기꽃을 편다. 오늘은 ‘늘·비’하고 ‘빚다’가 얽힌 실타래를 들려준다. 《오십에 하는 나 공부》를 읽었는데 여러모로 아쉽다. “쉰 살에 나를 배운다”고 한다면, ‘쉰·쉼·쉽·숲·수수’라는 ‘수’가 말밑인 우리말을 읽어낼 줄 알 노릇이라고 본다. 쉬어가면서 숲을 수수하게 품고 풀어내는 철빛이 쉰(50)이라는 나이일 테니까. 둘레(사회)에 길든 일본스러운 한자말이나 영어로는 하나도 안 ‘쉽’고 ‘숲’하고도 멀다. 숲을 등지면 누구나 빛을 잃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0.12.


《알렉산더와 장난감 쥐》

 레오 리오니 글·그림/김난령 옮김, 시공주니어, 2019.6.10.



나래터(우체국)를 다녀온다. 지난 한가위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간 뒤 거의 보름 만이다. 사이에 쉼날이 잦았고, 일산·여수·부산을 바람처럼 오가면서 틈을 내기도 빠듯했다. 들길을 달리다가 길죽음을 본다. 사납새(맹금류)이다. ‘황조롱이’일까? 이모저모 찾아보니 ‘붉은꼬리황조롱이’ 같다. 그동안 쇳덩이(자동차)한테 숱하게 밟히면서 비를 맞고 또 밟힌 듯싶다. 납작주검을 들어서 풀숲으로 옮기려는데 매우 가볍다. 쇳덩이는 늘고, 시골사람은 줄고, 새하고 들숲바다는 망가지는 나날이다. 《알렉산더와 장난감 쥐》를 새삼스레 되읽었다. “시골쥐와 서울쥐”를 레오 리오니 님 나름대로 새롭게 풀어내어 여민 아름그림책이라고 느낀다. 우리는 어떤 하루일까? 무늬만 사람옷을 입은 채 종살이를 하지는 않는가? 허수아비나 꼭둑각시가 되어 서울살이 쳇바퀴에 스스로 갇힌 하루는 아닌가? 달종이 날짜는 늘 바뀌지만, 하루하루 해바람비가 늘 다른 줄 하나도 모르는 굴레이지 않나? 이따금 마당에서 만나는 붉은머리오목눈이를 떠올려 본다. 우리는 붉은꼬리황조롱이하고도 함께 살아갈 수 있을 적에 비로소 사람빛을 환하게 나누고 펴리라 본다. 사람은 사람이어야지. 장난감도 노리개도 탈도 아닌 오롯이 사람꽃이어야지.


#LeoLionni #AlexanderandtheWindUpMous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0.11.


《아카네 이야기 2》

 스에나가 유키 글·모우에 타카마사 그림/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8.25.



오늘은 새벽 세 시부터 하루를 연다. 아침에 걷다가 시내버스를 타고서 여수 죽림초등학교로 간다. 이곳은 닷겹(5층)으로 올린 높고 큰 배움터이다. 어린이가 아주 많다. 오늘도 ‘글읽눈(문해력 증진 수업)’을 들려준다. 흔하게 쓰는 가장 쉬운 말씨에 우리가 살아온 나날과 오늘을 바라보는 숨결과 앞으로 나아가려는 꿈이 모두 숲빛으로 푸르게 흐른다는 이야기는 열 살 어린이한테 어려울까, 또는 안 어려울까? 이러한 이야기를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도 귀담아듣고서 새롭게 익힌다면 이 나라는 아름답겠지. 여천나루에서 열한 시 삼십 분 고흥 시외버스를 탄다. 버스에서 신나게 잔다. 벌교를 지날 즈음 비로소 눈을 뜨고서 기지개를 켜고, 노래꽃(시)을 새로 쓴다. 오늘은 고흥 포두중학교에서 저녁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더 들려주고서 보금자리로 돌아간다. 《아카네 이야기 2》을 읽었다. 한글판은 더디 나오는데, 두걸음까지는 잘 그렸다고 보지만, 석걸음부터 어떠하려나 지켜봐야겠다. 앞자락은 알뜰히 열되 어영부영 샛길로 빠지는 책이 너무 많다. 그리고픈 삶을 담아내되, 한결같이 사랑이라는 눈빛으로 녹여서, 스스로 눈망울을 반짝이는 붓끝을 펴면 된다. 꾸미지 말자. 덧달지 말자. 오직 숨결을 읽어내어 옮기자.


#あかね噺

#末永裕樹 #馬上鷹将

www.shonenjump.com/j/rensai/akane.html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0.10.


《꼭 한국에서만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면》

 레이철 백 글, 원더박스, 2017.11.1.



밤 한 시부터 하루를 연다. 새벽 여섯 시를 살짝 넘을 즈음 등짐을 꾸려서 들길을 걷는다. 이웃 봉서마을로 가서 첫 시골버스를 기다린다. 조금씩 밝는 하루이다. 고흥읍에서 여수로 가는 일곱 시 이십 분 시외버스를 탄다. 오늘은 여수남초등학교로 가서 ‘글읽눈(문해력 증진 수업)’을 들려준다. 이야기를 마친 뒤에는 글붓집(문방구)을 찾으려고 한참 걷는다. 여수 마을책집 한 곳으로 나들이를 하려고 또 실컷 걷는다. 글붓살림은 장만했지만 책집은 못 찾는다. 놀이터에서 발을 씻고 쉬다가 일찍 길손집에 들어간다. 한나절쯤 까무룩 곯아떨어진다. 밤바다를 보다가, 부릉부릉 시끄럽게 달리는 놀이꾼이 떠드는 소리를 듣는다. 《꼭 한국에서만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면》을 읽으며 아쉽더라. 첫머리는 새롭게 길을 나서는 줄거리였다면, 어느 만큼 지나자 슬그머니 ‘자랑’으로 바뀌었다. ‘새길을 찾아 꿈짓기’를 하는 줄거리로 채워도 넉넉할 텐데. 어떤 마음으로 나라밖을 누비면서 일짓기를 했는지 들려주면 될 텐데. 글쓴이는 이제 우리나라로 돌아와서 ‘일찾기를 알려주는 일’을 하는 듯싶다. 이 땅에서 살아야 할 까닭도 안 살아야 할 까닭도 없지만, 어쩐지 싱겁다. 어느 나라를 골라야 하기보다는 ‘꿈·사랑’을 살피면 될 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