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문학을 짓는 사람



  삶을 깊이 들여다보고 생각할 때에 비로소 문학이 태어납니다. 삶을 깊이 들여다보거나 생각하지 않을 때에는 문학이 태어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문학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나기 앞서, 노래와 춤이 늘 우리한테 있습니다. 날마다 기쁘게 노래하고 춤추면서 삶을 깊이 들여다볼 수 있고, 노래와 춤을 바탕으로 삶을 깊게 들여다보거나 생각합니다.


  노래하지 않으면서 일하는 사람은 삶을 깊이 들여다보지 못합니다. 노래 없는 일이란 즐거움이 없는 일이요, 톱니바퀴처럼 얽매인 나날입니다. 춤추지 않으면서 일하는 사람은 삶을 넓게 생각하지 못합니다. 춤 없는 일이란 재미가 없는 일이요, 남한테 종이 되어 짓눌리는 나날입니다.


  씨앗을 심을 적에도, 풀을 벨 적에도, 밥을 지을 적에도, 옷을 기울 적에도, 놀이를 할 적에도, 동무와 길을 나설 적에도, 잠을 잘 적에도, 젖을 물릴 적에도, 가을걷이를 할 적에도, 콩을 털 적에도, 방아를 찧거나 베틀을 밟을 적에도, 우리는 늘 노래와 춤을 함께 누렸습니다. 노래와 춤이 있기에 웃음과 이야기가 있고, 웃음과 이야기가 있기에 노래와 춤이 있습니다. 둘은 서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둘은 외따로 동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웃지 않고 일만 해서 돈만 벌려는 사람이 부쩍 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노래와 춤이 없이 교과서 지식만 머릿속에 집어넣어 시험점수를 높이려고 하는 학교교육만 도사립니다. 즐거워서 하는 일이 아니라 ‘감정노동’이라고 하듯이, 억지로 짓는 웃음으로 억척스럽거나 악쓰면서 돈을 벌어야 겨우 살림을 잇는다고 합니다. 이러면서 이런 모습을 그대로 담는 문학이 나와요. 웃음도 노래도 없는 문학이 태어나고, 이야기도 춤도 없는 문학이 자꾸 나옵니다. 어른문학뿐 아니라 어린이문학도 이와 같습니다.


  ‘해와 달’ 이야기이든, ‘할미꽃’ 이야기이든, ‘풀개구리’ 이야기이든, 이런 이야기에는 눈물만 서리지 않습니다. 아픔과 슬픔을 삭여서 새로운 웃음과 이야기로 피우려고 북돋우는 사랑이 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원수와 권정생 문학이 아픔과 슬픔을 웃음과 이야기로 삭여서 들려주는 어린이문학이요, 서양에서는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이나 셀마 라게릴뢰프 문학이 아픔과 슬픔을 웃음꽃과 이야기꽃으로 다시 길어올리는 어린이문학입니다.


  삶을 깊이 들여다보거나 헤아리면서 짓는 문학은 우리한테 나 스스로와 이웃을 더욱 곰곰이 살피도록 이끕니다. 어른문학이나 어린이문학을 짓는 사람은 바로 삶을 깊이 들여다보면서 생각하는 사람이요, 사랑과 꿈으로 삶을 짓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이론이나 지식이나 권력이나 학문이나 예술이나 종교나 과학으로는 문학을 짓지 못할 뿐 아니라, 삶도 못 짓습니다. 우리는 오직 사랑과 꿈으로 문학을 지을 뿐 아니라, 삶을 짓고, 생각과 숨결을 짓습니다. 4348.2.19.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쓰기, 시읽기 (동시쓰기, 동시읽기)



  ‘시’라고 하는 글은 가장 쉬우면서 수수하고 꾸밈없다고 할 만합니다. 어른이 쓰는 시이든 아이가 쓰는 시이든 모두 매한가지입니다. 시는 가장 쉬운 글이요, 가장 수수한 글이며, 가장 꾸밈없는 글입니다. 그런데, 이런 시를 시답지 못하게 꾸미거나 덧바르거나 치대는 사람이 있어요. 일부러 어려운 말을 섞고, 일부러 사상·철학·유행을 좇으며, 일부러 문학·예술이 되도록 덧바릅니다.


  ‘동시’라는 이름을 붙이기에 아이가 읽을 만한 시나 글이지 않습니다. 아이가 읽을 만한 시나 글 가운데 동시도 있을 테지만, 쉬우면서 수수하고 꾸밈없는 빛으로 가득하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우며 참다울 때에 비로소 시나 글이나 동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나 동시는 모두 ‘글로 드러나는 내 이야기’입니다. ‘글로 나타나는 내 삶’이나 ‘글로 보여주는 내 사랑’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나 동시는 모두 ‘나를 숨길 수 없는 글’입니다. 꾸며서 쓴 시나 동시는 꾸밈이 곧바로 드러납니다. 말치레나 말장난도 시나 동시에서 막바로 드러나지요. 어설픈 교훈이나 훈계도 시나 동시에서 고스란히 드러나요.


  시나 동시를 쓰는 까닭을 생각해야 합니다. 시나 동시를 읽는 까닭을 헤아려야 합니다. 우리는 어른과 아이라고 하는 울타리를 세우지 않고, ‘다 함께 사람’이라는 대목을 바라보면서 깨달아 슬기롭게 사랑하는 삶을 지으려 하기에 시나 동시를 읽거나 씁니다.


  모든 시나 동시는 그대로 말입니다. 모든 시나 동시는 그대로 삶이면서 놀이요 일입니다. 모든 시나 동시는 그대로 사랑이자 꿈이고 이야기입니다. 그러니, 시나 동시를 쓰거나 읽을 적에는 ‘내 삶결’로 마주하면 됩니다. 온갖 이론이나 학문으로 바라보지 말고, 문예창작 이론 따위로 쓸 생각은 말면서, ‘내 숨결’을 글이라는 그릇에 담으려고 한다는 마음이 되어야 합니다.


  누구나 쓰는 시입니다. 왜냐하면, 시는 늘 내 삶이자 이야기요 모습이니까요. 누구나 읽는 시입니다. 왜냐하면, 시는 언제나 내 사랑이자 꿈이며 노래이니까요. 작가나 문학가만 쓰는 시가 아니라 ‘사람’이면 쓰는 시입니다. 비평가나 평론가만 읽거나 말하는 시가 아니라 ‘사람’이면 읽거나 말하는 시입니다. 4348.2.7.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린이와 함께 읽는 책



  만화책이든 동화책이든 문학책이든, 어느 책은 ‘표현이 너무 지나쳐’서 차마 아이한테 보여주기 어렵습니다. 이를테면, 싸움터를 아주 낱낱이 그리면서 죽거나 다치는 끔찍한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 있어요. 살섞기를 낱낱이 보여주려고 하는 책도 있어요. 학교에서 괴로운 아이들을 보여주는 책이라든지, 동무끼리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 있어요. 이런저런 모습을 보여주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굳이 이런저런 끔찍하거나 그악스럽거나 지나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는지 아리송하곤 합니다.


  어느 책은 끔찍하거나 그악스럽거나 지나친 모습이 하나도 없이 아름다이 흐릅니다. 굳이 보여주지 않아도 될 모습은 안 보여주면서 ‘함께 나눌 이야기’를 더욱 깊고 넓게 파고들면서 넉넉히 보여주는 책이 있습니다. 이때에 가만히 생각을 기울입니다. ‘이야기 하나’를 알려주려고 온갖 끔찍한 모습을 끌어들이는 책이 있고, ‘이야기 하나’를 나누려고 사랑스러우면서 따사로운 숨결을 풀어내는 책이 있으면, 어느 책을 ‘아이와 함께 읽을’ 만한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전쟁이 얼마나 끔찍한지를 알려주려고 싸움터에서 죽는 갖가지 끔찍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요. 전쟁터에서 사람이 얼마나 그악스럽게 뒤바뀌는지 보여주면서 총질과 칼질과 주먹질을 보여준다든지, 가시내를 괴롭히거나 들볶는 모습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쟁이 아닌 평화로 삶을 짓는 사람들이 얼마나 착하고 참다운가를 보여주면서 ‘평화로 나아갈 때에 삶이 빛난다’는 이야기를 조용히 깨우칠 수 있습니다.


  ‘끔찍한 표현’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것을 살피면서도 배울 만합니다. 그렇지만, 가만히 헤아려 보면, ‘끔찍한 표현’은 자꾸 더 ‘끔찍한 표현’으로 잇닿지 싶어요. ‘끔찍한 표현’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는 사람은 자꾸 더 ‘끔찍한 길’로 가는구나 싶어요.


  문학은 어떠할 때에 문학일까 궁금합니다. ‘표현 기법’을 살리거나 북돋우는 일은 ‘나쁘지 않’습니다만, 표현 기법에 얽매여 막상 ‘이야기’하고는 자꾸 멀어진다면, 이러한 문학은 어린이와 어른한테 얼마나 빛과 바람과 숨결이 될 만한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함께 나아갈 길을 바라보면서, 우리가 함께 지을 삶을 찬찬히 살필 줄 아는 어른문학이 되고 어린이문학이 될 수 있기를 빕니다. 어린이책이면서도 어린이와 보기 힘든 책이 많고, 어른책이라지만 어린이와 함께 보면서 웃고 노래할 만한 책이 많습니다. 4348.2.1.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이 읽는 ‘두 가지’ 책



  아이들은 두 가지 책을 읽습니다. 첫째, 스스로 아름답다고 여기는 책을 찾아서 읽습니다. 둘째, 어버이가 좋다고 여겨서 내미는 책을 받아서 읽습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사회를 돌아보면, 첫째 자리보다는 둘째 자리에 있는 책을 훨씬 많이 읽습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어린이책은 아무래도 어버이나 둘레 어른이 이모저모 살피거나 따져서 아이한테 건네는 책이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골라서 읽기란 너무 어렵기 때문입니다.


  어린이책 도서관에서는 아이들이 스스로 책을 고르겠지요. 그런데, 아이들은 ‘아이인 내가 읽고 싶은 책’이 눈앞에 있어도, 선뜻 손을 못 뻗습니다. 두리번두리번 살핍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우리 어머니가 이 책이 좋다고 했는데’라든지 ‘우리 아버지가 이 책을 읽으라 했는데’ 같은 말이 퍼뜩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퍽 어린 나이일 적에는 ‘어른 잣대’로 어린이책을 가리거나 따지지 않는 어버이요 어른일 수 있지만, 아이가 대여섯 살쯤 되고 예닐곱 살이나 여덟아홉 살쯤 되면, 어버이와 어른들 눈빛과 눈썰미가 확 달라집니다. 아이가 열 살을 넘고 열두어 살을 지나면 어버이와 어른들 눈초리는 확 바뀝니다. 어떻게 바뀔까요?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는 책’이 아니면 안 쳐다보는 어버이나 어른이 되고 맙니다.


  한국에서 나오는 창작그림책이나 번역그림책을 가만히 보면, ‘학습 효과를 북돋우려고 하는 책’이 꽤 많습니다. ‘아름다운 삶과 사랑과 꿈을 담은 이야기책’보다 ‘학습 효과와 시험성적에 이바지하는 책’이 무척 많아요.


  수많은 위인전은 ‘삶과 사랑과 꿈’보다는 ‘학습 효과’로 기울어집니다. 청소년문학도 이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세계문학전집’이나 ‘고전명작’으로 뽑는 책을 찬찬히 보기만 해도 쉬 알 수 있습니다. 어른(어버이와 교사)이 아이한테 건네려고(추천하려고) 하는 책을 가만히 보셔요. 참말 아름다운 책을 아이한테 읽히려 합니까, 아니면 시험공부에 이바지할 학습 효과를 바라며 읽히려 합니까?


  책을 읽는 까닭을 처음으로 돌아가서 생각해야 합니다. 책은 학습 효과(교훈) 때문에 읽히지 않습니다. 삶이 아름답기에 책을 짓고, 아름다운 사랑을 물려주고 싶기에 책을 엮으며, 맑은 꿈을 이루는 길이 즐겁기에 책을 씁니다. 아이와 함께 읽을 책은 오직 ‘삶과 사랑과 꿈’을 이야기하는 책이어야 합니다. 어버이와 어른이 스스로 즐기거나 누릴 책은 오로지 ‘삶과 사랑과 꿈’을 착하며 참되고 아름답게 짓는 이야기가 흐르는 책이어야 합니다. 4348.1.29.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림책 한 권은 언제까지 읽히는가



  한때 백만 권이 팔리는 소설책이나 시집이 있습니다. 한때 수많은 독자나 평론가를 거느리면서 사랑받는 문학책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소설책이나 시집 가운데 백 해나 이백 해를 거뜬히 읽히는 작품은 얼마나 될까 하고 손을 꼽아 보면, 몇 가지를 들 만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소설책이나 시집은 사회 흐름과 맞물리면서 읽힌다고 느낍니다.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문학과 달리 사회 흐름과 거의 맞물리지 않습니다. 백 해 넘게 사랑받는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사회 흐름을 아예 생각하지 않는다고까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무엇을 생각할까요? 바로 ‘사랑’을 생각하고, ‘꿈’을 생각하며, ‘삶’을 생각합니다. 사랑과 꿈과 삶을 이야기로 엮어서 들려주려는 그림책이요 동화책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새로 나오는 퍽 많은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생활 이야기’라는 이름을 빌어, 이를테면 ‘생활동화’ 같은 이름을 빌어 사회 흐름을 좇기 일쑤입니다. 이를테면 지하철 이야기나 버스 이야기를 다룬다든지, 학교에서 겪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부부싸움과 이혼 때문에 아픈 아이들 이야기를 다룬다든지, 학교폭력이라든지 숱한 사회 흐름과 맞물리는 이야기를 그리면서, 이때마다 ‘생활 이야기’라는 이름을 붙여요.


  무엇이 삶일까요? 싸움과 다툼이 삶일까요? 입시지옥과 따돌림과 폭력이 삶일까요? 서로 아끼고 사랑하면서 어깨동무를 하는 하루가 삶이 아닌지요?


  생활동화 같은 작품이 어느 한때 잘 팔리거나 읽힐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은 한때에 읽힐는지 모르나, 스무 해를 잇기 어렵고, 서른 해나 마흔 해는 이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회 흐름은 스무 해가 아닌 열 해 만에 달라지기도 하고, 다섯 해 만에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아니, 사회 흐름은 한 해 만에 달라지기도 하고, 다달이 달라지거나 날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이런 흐름을 좇는 그림책이나 동화책이라면 ‘유행을 좇아 장삿속을 살피는 작품’이라고밖에 할 수 없습니다.


  오래도록 읽히는 소설책이나 시집은 사회 흐름을 좇거나 건드리지 않습니다. 조지 오웰 같은 사람이 쓴 작품은 언뜻 보기에 사회 흐름을 좇거나 건드린다고 여길는지 모르지만, 외려 이분 작품은 사회 흐름하고 동떨어집니다. 삶이 어디에서 흐르는가를 살피려고 밑바닥을 돌아보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꿈으로 지어서 그립니다. 삶과 꿈과 사랑이 내내 흐르는 글을 썼기에 조지 오웰 같은 분들 작품은 두고두고 읽힙니다.


  사회 흐름을 좇는다고 해서 나쁜 작품이 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그저 사회 흐름을 좇을 뿐입니다. 그리고, 사회 흐름을 좇는 작품에서는 삶이나 사랑이나 꿈을 찾기 어려우니, 이러한 작품으로는 아이들과 삶이나 사랑이나 꿈을 이야기하기 어렵습니다. 그뿐입니다.


  아이들은 ‘사회성 교육’을 받아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사회성을 길러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받아야 하고, 둘레 다른 어른한테서도 사랑을 받아야 합니다. ‘교육을 받을’ 아이들이 아니라 ‘사랑을 받을’ 아이들입니다. ‘점수따기 시험지옥에 휩쓸릴’ 아이들이 아니라 ‘꿈을 지어서 삶을 가꿀’ 아이들입니다. 그러니, 먼 옛날부터 아이들한테 오직 삶·사랑·꿈 세 가지만으로 이야기를 지어서 들려줍니다. 오래도록 사랑받는 그림책과 동화책은 언제나 삶·사랑·꿈 세 가지만 이야기로 엮어서 보여줍니다. 4348.1.13.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5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5-01-13 09: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말입니다.저도 제 아이가 팍팍한 세상얘기나 듣고있는 건 싫답니다.
좀 더 꿈꾸고 좀 더 예쁘고 조금이라도 더 아이다운 세상에서 머물었으면..바라지요.

숲노래 2015-01-13 10:44   좋아요 0 | URL
다른 어른이 안 해 주어도
어버이가 아이한테 해 주면
아이는 씩씩하게 잘 크리라 믿어요 ^^

[그장소] 2015-01-13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젠..이제 그런 옛 정서를 옮겨다 정성껏 가꾸고 살펴줄 어른이 부재하다는 사실..이요.
그게 아픈거구나..하고 알지 못하는 여기...산재한 현실앞에

숲노래 2015-01-13 10:44   좋아요 0 | URL
삶과 사랑과 꿈은
옛 정서가 아닌
사람을 살리는 숨결이니
그장소 님이 즐겁게 가꾸어서 물려주셔요~

[그장소] 2015-01-13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고전읽기를 권하고 있지만 제가 그러고 커보니 세상은 동화같지도 책속의 유종의 미˝ 같은 곳도 아니었더란거죠..내가 좋아야 남에게도 잘 설명하고 설득도 할 수있는데..그 좋아하는 책읽기를..저는 폐인같이 하고..그런 저를 보며..넌 너무 이상만 그린다나요..?그게..한 때 사회생활을 잘 하던 그때 듣던 말이라는 거죠..이상을 꿈꿔서..그랬을지..현실에 발 못붙인 것이 책탓 같은데..아닙니다.
그건 책조차 읽지않는 사람들에게 받은 상처 탓..그럼에도 섞여가려면..정말..방법이없나..!

숲노래 2015-01-13 10:46   좋아요 0 | URL
사회는 동화 같을 수 없어요.
그러나, 내 삶은 내 마음대로 아름답게 지을 수 있어요.
다른 사회를 바라보기보다
내 삶을 스스로 즐겁게 마주하면서
하나하나 일구면 되리라 느껴요 ^^

낭만인생 2015-01-13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육이 아니라 사랑 받아야 한다는 말에 백배공감입니다

숲노래 2015-01-13 10:45   좋아요 0 | URL
아이도 어른도 모두
사랑을 받을 적에
아름답게 살아가지 싶어요 ^^

[그장소] 2015-01-13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받아봐야 줄줄도 안다...그말..일견..옳습니다.
무언가의 사랑이라도 받으면...그럼...

[그장소] 2015-01-13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함께살기님 저..위에 제글이 등록이 따로따로노는건
제 손이 오늘 불편해..그리된거예요..^^
그냥 한 글로 보시면 되는데..일일이 답을...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