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타고 일터나 학교를 오가는 사람들은 거님길이 아닌 찻길로 달리기 마련입니다. 거님길에서 자전거를 달리면 이 길에서 걷는 사람을 위험하게 할 수 있으니 안 좋아서 그렇습니다. 다음으로, 거님길은 파인 데가 많고 울퉁불퉁하고 턱이 많습니다. 가게에서 내놓은 물건과 버스정류장과 갖가지 알림판이며 전봇대며 걸리적거리지요. 이리하여 찻길에서 자전거를 달립니다. 생각해 보면, 자전거는 찻길로 달려야 합니다. 또한 자전거는 찻길에서 달릴 권리가 있습니다. 자전거를 타지 않고 끌 때면 거님길로 지나고요.

 그렇지만 찻길에서 자동차를 모는 이들은 자전거한테 찻길 달릴 권리가 없는 듯 여깁니다. 더욱이 시골과 시골을 잇는 길, 도시와 도시를 잇는 길은 자꾸만 ‘자동차만 다닐 수 있는 고속화도로(또는 고속도로)’로만 뚫습니다. 처음부터 자전거가 다니도록 할 생각을 안 합니다. 그러니, 시골 국도나 지방도로에 시골사람이 두 다리로 걸어서 다니도록 하려는 데에는 조금도 마음을 안 기울입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은 꿋꿋하게 자전거를 몹니다. 걷는 사람도 당차게 걷습니다. 그렇지만 이들 자전거꾼과 걷는이는 ‘매캐한 자동차 방귀’와 ‘바퀴가 닳으며 날리는 고무먼지’와 ‘자동차에서 내뿜는 열기’를 옴팡 뒤집어씁니다. 찻길을 닦는 데 들어가는 돈은 우리가 낸 세금이건만, 찻길을 누리는 권리나 ‘나쁜 공기 안 마시고 안전하게 다니는’ 권리를 자동차꾼만 누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국회의원, 시장, 군수 들이 되면 ‘관용차’가 나옵니다. 이들이 ‘서민을 만나거나 언제나 서민 삶과 부대끼’도록 ‘관용 자전거’가 나온다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이들한테 ‘전철 한 해치 정액권’이나 ‘버스 한 해치 찻삯’을 주는 이야기도 없습니다. 찻길을 닦고, 교통정책 세우고, 교통순경 두고, 찻길 정비를 하고, 자동차를 저마다 장만해서 다니는 데에는 얼마나 큰돈이 들까요. 우리들은 부자이건 부자가 아니건 어디이든 마음껏 움직이거나 찾아갈 권리를 누리면서 맑고 시원한 바람을 쐴 권리를 함께 누려야 하지 않을는지요. 또한, ‘왜 위험하게 자전거를 타고다니니?’ 하고 자전거꾼보고 ‘스스로 목숨 내놓고 다닌다’는 말이 아닌, ‘그래, 우리 모두 안전하고 아늑한 삶터에서 살도록 자전거를 타야겠구나’ 하는 말을 해야지 싶어요.

 정치꾼과 공무원부터 자전거를 타야 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공장 노동자와 농사꾼도 자전거를 타야 합니다. 아이들도 자전거를 타고 학교를 오갈 수 있어야 합니다. 사회운동, 진보운동, 정치운동, 통일운동, 교육운동, 문화운동을 하는 이들도 자전거를 타고다녀야 합니다. 환경운동 하는 사람만 자전거를 타서는 우리 삶터와 사회는 거듭날 수 없습니다. 글쟁이도 그림쟁이도 사진쟁이도 자전거를 타야지요. 종교를 믿는 분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를 타야 합니다. 두 다리와 자전거가 아닌 자동차에 매이는 사람한테는 책을 읽을 겨를이 없습니다. 책을 읽어 세상을 더욱 넓게 부대끼려는 마음마저 줄어듭니다. (4341.2.6.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 한쪽에서 똑 똑 똑 하는 소리가 납니다. 아침에 몸을 씻으며 빨았던 바지 몇 벌을 벽에 걸어 놓았더니 물이 떨어지는 소리입니다. 바닥에는 걸레를 대 놓습니다. 요즈음은 빨래를 마당에 내다 널면 꽁꽁 얼어붙습니다. 우리가 사는 집은 불을 적게 때고 바깥바람이 잘 들어와서 잠자는 방을 빼놓고는 영 도 밑으로 육 도나 팔 도까지도 떨어집니다. 그래서 마루에 널어도 빨래가 얼어붙어, 잠자는 방 벽에 못을 잔뜩 박아 놓고 겨울 빨래를 널어 놓습니다.

 세탁기를 안 쓰고 탈수기도 없으니 빨래마다 물이 방울지어 떨어집니다. 제아무리 힘껏 비틀어 물을 짜내어도 방울이 집니다. 세탁기를 안 쓰니 겨울 손빨래를 마치면 손이 차갑게 얼어붙습니다. 동무와 피붙이 들은 뭐 하러 사서 고생이냐고 말합니다. 그러나 손빨래를 하면 아무 옷이나 막 입지 않게 되는걸요. 물을 한결 적게 쓰고 옷을 좀더 아끼게 되는데요.

 사진기자 삶을 다룬 만화책 《제 3의 눈》(닉스미디어,2001)을 헌책방에서 찾아내어 여섯 권을 내리 읽어냅니다. 판이 끊어져 뒤엣권은 더 찾아볼 수 없어 아쉽습니다. “부하가 소신을 가지고 한 잘못이라면 상사가 덮어주는 것이 좋지 않을는지. 그래서 상사가 있는 거니까.(6권 114쪽)”, “그냥 상황에 맞춰 셔터를 누를 뿐. K대 대학원에서 저널리즘 과정을 졸업한 재원인 너와 논쟁으로 이길 순 없겠지. 반박할 맘도 강요할 맘도 없어. 단지 방해는 하지 마.(6권 132쪽)”, “그런 건 상관없다니까. 정사원과 계약사원, 남자 여자를 따지는 게 아니야. 우리 포토저널리스트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책임과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거지.(6권 88쪽)” 같은 대목을 만날 때마다 한동안 책에 눈을 박고 깊이 생각에 잠깁니다.

 문득, 대학교 한 해 학비가 1천만 원에 이르는 요즈음, 이 나라에서 대학생으로 공부하는 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누구한테 얼마만큼 배우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또한, 대학교에 가려고 밤잠 새벽잠 쫓아가며 형광등 불빛에 눈이 벌개진 아이들은 대학교에 나아가 무엇을 왜 배우고 싶어하는지 궁금해집니다. 그 돈, 한 해 천만 원이면 네 해면 사천만 원. 이 돈은 대학교 과정을 밟는 데에만 써야 할까 궁금해집니다. 큰마음 먹고 3백만 원짜리 좋은 자전거 장만해서 7백만 원은 잠값으로 쓰며 한 해 동안 전국 나들이를 해 볼 수 있겠지요. 또는, 시골에 논밭 조금 마련해서 손수 먹을거리를 일구어 내는 땀맛을 느껴 볼 수 있어요. 사진기 한 대 장만한 다음, 자기 식구들부터 동네 삶터와 모습을 차곡차곡 담는 가운데 세상을 배울 수 있고요. 태양광 전지판을 집에 달고 지구자원 덜 쓰도록 마음을 기울일 수 있어요. 성노예로 시달린 할머님 돕는 일에, 우토로사람들 돕는 일에, 어두운 곳에서 야무지게 일하는 조그마한 시민단체 돕는 일에 써 볼 수 있습니다. 요새 책값이 많이 오르기는 했지만, 천만 원이면 새책 천 권 안팎을 장만해서 읽을 수 있습니다. 헌책은 거의 오천 권 가까이 장만해서 읽을 수 있습니다. 아예 책방 하나 차려도 좋고요. (4341.1.3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추만호-한밭의 해돋이를 휘돌아》(대전광역시 동구,1995)라는 책이 있습니다. 대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발자취를 골목길을 구비구비 더듬고 헤집으면서 부대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구청에서 홍보자료로 묶어냈는데, 글쓴이는 홍보자료로 묶는다는 생각이 아니라 대전사람들 삶과 문화를 말하고 싶어서 구청 부탁을 받아들여서 골목길 나들이를 했답니다. 벌써 열세 해 묵은 책인데, 대전 동구청에 연락을 하면 이 책을 받아볼 수 있을까요.

 요즈음은 신문마다 ‘골목길 탐사’라는 걸 곧잘 하면서 ‘맛집 찾기’ 꼭지를 줄줄줄 이어싣기도 합니다. 나중에 낱권책 하나로 묶어내기도 하기에, ‘골목집 맛집 탐사’와 ‘빛깔 있는 골목과 거리’ 이야기를 다룬 책이 제법 많습니다. 이런 책들이 어느 곳 어떤 골목과 거리를 다루었는가 찬찬히 살펴보면, 하나같이 서울 인사동과 서울 홍대 앞과 서울 강남이나 압구정동이나 서울 명동, 서울 남대문과 동대문, …… 서울, 서울, 또 서울입니다. 어쩌면, 서울 아닌 곳 사람들이 살아가는 골목길 이야기는, 그 서울 아닌 곳 사람들 스스로도 찾아서 읽지 않으니까 굳이 살펴볼 까닭이 없을지 모릅니다. 서울사람들이 자주 들락거리는 서울 골목길 이야기만으로도 넉넉하다고 느끼는지 모릅니다. 그리고 ‘문화를 말하는 골목이나 거리’라 할 때에는, 먹을거리와 입을거리와 돈쓸거리를 선사해 주는 가게만 알려주면 흐뭇하다고 받아들이는지 몰라요.

 제주섬 중간산에서 홀로 살면서 오름 사진을 찍은 김영갑 님은 당신 삶을 조곤조곤 밝혀 적은 책 《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하날오름,1996)에서 “우리는 그냥 소나무를 푸르다고 한다. 소나무의 푸르름은 계절에 따라 날씨에 따라 확연히 다른데도 푸르다고만 한다.(58쪽)”고 이야기합니다. 당신은 제주섬 오름 하나만 찍어도 아침과 저녁에 따라, 새벽과 낮에 따라, 어제와 오늘에 따라, 궂은 날과 맑은 날에 따라, 봄과 가을에 따라, 여름과 겨울에 따라, 비오는 날과 비 걷힌 날과, 구름이 몰려드는 날과 구름이 군데군데 떠 있는 날과, …… 다른 모습 다른 느낌 다른 이야기가 참으로 많아서,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이 오름 하나라도 제대로 담아내기 어렵다고 이야기합니다.

 지금 인천은 온 골목길을 다 밀어붙이고 갖은 골목집을 싹 쓸어내면서 30층짜리 아파트, 50층짜리 아파트로 바꾸려는 움직임을 시장부터 소매 걷어붙이며 나서고 있습니다. 서울 동대문운동장 헐리는 소식은 모두들 한목소리로 안타까워하는데, 인천 숭의동 공설운동장을 헐어버리려는 소식에는 인천 연고 야구단과 선수들도 아무 소리 안 냅니다. 서민 삶터인 배다리에 너비 50미터짜리 산업도로를 내겠다는 사람들은 자기가 사는 아파트 동과 동 사이에 그런 길을 내겠다고 하면 펄쩍 뛸 테지요. 인천을 비롯한 우리 나라 어느 곳이나 오로지 ‘서울로 가는 길’을 내려고 서민들 작은 집을 깔아뭉갭니다. 산과 들만 무너뜨리지 않습니다. 사람 삶터도 쓰러뜨립니다. (4341.1.7.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옆지기 신발 뒤축이 한쪽으로 많이 갈리는 바람에 걷기 몹시 나쁩니다. 걸음새가 한쪽으로 쏠리면 신발도 한쪽이 많이 닳습니다. 처음에는 아무렇지 않겠지만 시간이 갈수록 한쪽만 갈리면서 걸음새가 뒤틀립니다. 신집에 가서 이놈 저놈 둘러보노라니, 신집 아저씨가, “신발이 안 갈리면 어떻게 해요. 우리들도 먹고살아야지요.” 하고 웃으면서 말합니다. 틀린 말이 아니니 마주보며 빙긋 웃습니다. 그렇지만 뒤축이 단단해 잘 안 갈리는 신발이라 한다면, 몇 푼 더 얹어 주고라도 그 신으로 사 신지 않을까요. 싸게싸게 많이 팔아도 장사가 될 수 있지만, 알맞는 값을 제대로 치르면서 팔아도 장사가 될 수 있을 텐데.

 지난 토요일, 개봉동에 사는 고등학교 적 선배네 집에 놀러갔습니다. 선배네 집은 아파트. 아파트 이름은 ‘로즈빌’. 선배는 혼인한 뒤로는 책 한 권 사읽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갓 혼인했을 때 집들이를 가니 “내 꿈이 서재 하나 가지는 거다.” 하면서 “책이 얼마 없지만 함 봐라.” 하면서 자랑을 했건만, 이제는 ‘책 있는 방’이 어디 숨었는지 보이지 않습니다. 선배는 날마다 현장에 나가 공무원들과 복닥이는 게 일이라는데. 자동차 몰고 쉴 틈 없이 출장을 다니는 만큼 마음 다잡고 책을 손에 쥐기 힘들겠지요.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밥먹고 아기 보고 텔레비전 보다가 술 한잔 마시고 잠들기 바쁠 테고.

 눈없는 예수님나신날이 지났습니다. 날짜가 12월하고도 25일이면 ‘세 번 춥고 네 번 따뜻하더라’는 우리네 날씨가 아니더라도 오들오들 쌀쌀해야 하건만, 자전거 타고 나들이 다녀오기에 걸맞을 만큼 따사롭습니다. 앞으로도 눈있는 예수님나신날을 맞이하기는 힘들겠지요. 그래도 예수님오신날이라 하기에 사진기를 한쪽 어깨에 걸치고 골목길 마실을 다녀 봅니다. 옛 미림극장 앞을 지나고 화평동을 지나 화수동을 거쳐 화도진공원을 가로질러 만석동으로 갑니다. 너나들이가 사는 만석동 9번지 쪽방골목에서 서성거리며 사진을 찍다가 동인천 쪽으로 나오는 길, 9번지 들머리에 사는 아저씨가 빨래를 걷으면서 “포근합지요?” 하고 인사말을 건넵니다.

 만석동 9번지를 가운데 놓고 동서남북으로 제강소 제분소 철공소 방직공장 들이 줄줄줄 늘어서 있어, 걷는 내내 코가 냅습니다. 집에 뒷간을 들일 수 없어 공동뒷간을 쓰는 사람들. 이 골목 사람들한테 나라나 지역정부는 무엇을 베풀어 주면 좋을까요. 열 해쯤 앞서처럼 동네 1/4을 싹둑 잘라서 공장으로 드나드는 큰차 다니기 넉넉하도록 찻길 넓히기? 동네 1/5씩 잘라내며 빌라나 아파트 올려세우기? 만석동 9번지 사람들은 새로 지어진 아파트에 들어가서 살 수 있을까요? 큰 짐차 씽씽 내달리는 넓혀진 길에 이 골목 사람들이 차로 오갈 일이 있을까요?

 터덜터덜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골목집 허물고 30층 가까이 올려세운 아파트를 올려다봅니다. 놀이터 하나 보이지 않고 땅위 주차장 또한 보이지 않습니다. 땅밑 주차장 들머리만 보입니다. 달동네 판자집처럼 다닥다닥 붙인 30층 안팎 아파트 건물들. 이웃끼리 얼굴 볼 일도 없겠습니다. (4340.12.26.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셋 + 셋 + 여섯 해는 아이들한테 무엇을 남겨 줄까요. 아이들은 무엇을 얻으며 보낼까요. 아이들은 어떤 즐거움을 나누거나 함께하고 있나요. 초ㆍ중ㆍ고등학교로는 모자라기 때문에, 이만큼 가르치고 배워서는 한 사람으로 우뚝 설 수 없기 때문에, 제도권 교육과정에서는 몸과 마음이 튼튼하면서 다부지게 살아가도록 이끌기 어렵기 때문에, 이동안 가르치고 배운 여러 가지로는 스스로 세상을 헤쳐나갈 깜냥과 슬기가 보잘것없어서 고단하기 때문에, 대학교 네 해가 더 주어져야 할까요.

 동네 초등학교 아이들을 동네 분식집에서 만납니다. “와, 아주머니, 아저씨다!” 하고 반기다가 내처 묻습니다. “이번에 누구 찍을 거예요? 이명박 찍으실 거죠?” “이명박을 왜 찍어야 하는데?” “멋있잖아요.” “무엇이 멋있는 모습인가요?” “…….” “대통령 후보 가운데 한 사람을 고를 때에는 그 사람이 무슨 정책을 내놓고 우리 삶터와 사회를 어떻게 가꾸려 하는가를 꼼꼼히 살펴야 해요.”

 이명박 씨가 대통령으로 뽑힙니다. 이명박을 찍겠다던 제 둘레 사람들은 “이명박을 찍어야 경제가 살고 나라가 살지. 지금 서민 경제가 얼마나 어려운데.” 하고 한목소리로 말했습니다.

 책방 나들이를 합니다. 몇 가지 책을 주섬주섬 살펴봅니다. 만화책 《각하!》(삼인,2007)를 들춰봅니다. 미국 조지 부시 대통령이 2001년에 아프가니스탄을 폭격하던 때부터 그린 만화입니다. 《달려라 냇물아》(녹색평론사,2007)를 집어듭니다. 자동차와 헤어졌다가 다시 만나게 된 이야기를 슬그머니 털어놓는 이야기부터 해서 삶이 고스란히 말로 되어 나옴을 보여줍니다. 《번역과 일본의 근대》(이산,2000)를 골라듭니다. 일본이 엄청난 번역나라가 된 까닭은, 서양나라 쳐들어옴을 겪고 나서 곧바로 고개를 숙이고 유학생을 서양나라로 보내면서라 합니다. 자기들을 쳐부순 나라한테 배워야 한다고. 《박정희》(살림,2007)라는 작은 책을 집습니다. 지겨워도, 지겹겨만 여겨서는 우리 삶터를 새롭게 추스를 수 없음을 느낍니다. 《착한 도시가 지구를 살린다》(녹색평론사,2007)를 챙겨듭니다. 대안 에너지를 마련하여 지구자원 줄어듦을 이겨낼 수 있어도 우리 스스로 헤픈 씀씀이를 줄이지 못하면 도루묵이 될 수밖에 없음을 들려줍니다.

 골라든 책을 집으로 들고 와서 하나씩 읽습니다. 50쪽, 100쪽, 150쪽 쭉쭉 읽다가 덮고 다른 책 읽다가 덮습니다. 사진기를 어깨에 걸고 골목길 마실을 나옵니다. 인천시에서 ‘남북 균형 발전’과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서, 동네 골목집 한복판을 꿰뚫으며 놓으려는 산업도로 터 앞에 섭니다. 벌써 800억이 들어간 공사라 그만둘 수 없다며 밀어붙입니다. 다문 1억만 ‘좋은 책 장만’ 하는 데 들여서, 동사무소나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너른 터에 꽂아 놓으면 저절로 동네 문화가 살고 사람들 생각과 마음씀씀이를 북돋워 줄 텐데. 그예, 앞으로 수천 억 더 들여 우격다짐으로 새 찻길을 닦아세우려는지. (4340.12.19.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