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소를 타고 - 개정판 민음의 시 8
최승호 지음 / 민음사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2.8.
노래책시렁 276


《진흙소를 타고》
 최승호
 민음사
 1987.4.15.



  “노래를 하는” 사람은 차츰 줄고 “시를 창작하는” 사람은 갈수록 늡니다. ‘시·소설·문학’ 같은 이름을 내걸거나 받거나 듣거나 올려야 한다고 여기기에 ‘노래하기’ 아닌 ‘시작(詩作)’이라고까지 아예 일본스런 한자말을 쓰는 사람까지 꽤 많습니다. 왜 “기성시인·평론가 입맛에 맞추 시문학 창작”을 해야 할까요? 왜 “오늘 하루를 스스로 노래하는 마음빛을 풀어내기”하고 등질까요? 시골에서도 서울(도시)에서도 자전거나 두 다리나 버스로 움직이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요새는 ‘시인도 소설가도 평론가도 기자도 작가도 자가용을 몰기 일쑤’입니다. 부릉부릉 몰기에 나쁘지는 않아요. 그러나 아침저녁 북새판에 납작오징어처럼 밟혀 보지 않은 이가 무슨 글을 쓸까요? 아기를 낳고 안고 돌보고 사랑하는 하루를 살아내지 않은 이가 무슨 노래를 부를까요? 《진흙소를 타고》를 읽고서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늙은 사내’들은 으레 ‘사창가’ 얘기를 글로 쓰더군요. ‘쓰레기 청소부 마씨 = 聖者다운’ 같은 얘기는 그저 구경꾼으로 어깨너머에서, 또는 ‘자가용 차창 밖으로 흘깃 본’ 잔소리입니다. 제 삶을 쓰지 않고, 구경하거나 흘깃거린 바깥모습에 얽매이는 글이 문학이거나 시라면, 우리나라에는 문학도 시도 없습니다.


이제는 늙어 사창가에서도 쫓겨난 이후 / 같이 늙어가는 사내들에게 낡아빠진 몸을 팔려고 / 空山을 쏘다니는 들병이는 들여우 털을 뒤집어썼네 / 달밤에 헌 담요 펴고, 흰 종이컵에 소주 따르며 / 쥐포를 뜯는다, 들병이, 그 혼자 센 머리에 갈대꽃을…… (갈대꽃/24쪽)

쓰레기 청소부 늙은 마씨는 쓰레기를 뒤집어쓴 채 / 늙은 말 같은 삶에도 두레질 하지 않고 / 그래서 聖者다운 삶, 쓰레기 청소부 늙은 마씨는 / 왜 허구헌날 이렇게 남이 버린 쓰레기더미에 처박혀서 (쓰레기 청소부 마씨/25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강산 녹음방초 민음의 시 41
박종해 지음 / 민음사 / 199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2.7.

노래책시렁 272


《이 강산 녹음 방초》

 박종해

 민음사

 1992.3.30.



  살아가는 집이고, 살펴보는 마을이고, 사랑하는 숲이고, 살림하는 푸른별입니다. 하나하나 맞이하면서 살고, 곰곰이 보면서 배우고, 찬찬히 누리며 즐겁고, 함께 살림하면서 빛납니다. 샘을 내면 고단하고, 미워하면 아프고, 싫어하면 거북하고, 등돌리면 바보입니다. 《이 강산 녹음 방초》를 읽으면서 텃마을이라는 자리를 문득 돌아봅니다. 태어나고 자라기에 텃마을일 수 있고, 어느 날 뿌리를 내려서 고이 살아가기에 텃마을일 수 있습니다. 텃마을이란 스스로 보금자리가 있다고 여기는 터전입니다. 서울이건 시골이건 멧골이건 섬이건 들이건 숲이건 내가 나로서 홀가분하게 살림을 지으면서 하루를 사랑하는 자리이기에 보금자리이고, 이 보금자리를 둘러싼 터전이 텃마을이에요. 즐거이 뿌리내린 터전을 누리면 우리 입에서 터져나오는 말이 즐겁습니다. 안 즐겁게 붙어서 일하거나 지내야 하면 우리 손에서 태어나는 글이 안 즐겁습니다. 즐거이 삶을 짓는 나날이라면 우리 입에서 피어나는 말이 새롭습니다. 안 즐거이 꾸역꾸역 보내는 나날이라면 우리 손은 자꾸자꾸 글을 꾸며대려고 덧바릅니다. 보금자리를 노래하면 됩니다. 텃마을을 노래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 별을 노래하면서 숱한 이웃별을 함께 노래하면 됩니다.


ㅅㄴㄹ


나는 직장 따라 객지에 와 있고 / 큰애는 군에 가 있고 / 둘째 애는 공부 때문에 시내에서 하숙하고 / 아내와 막내딸애는 시골집을 지킨다. / 큰애가 휴가오는 날 / 우리 이산가족은 다시 만난다. (이산가족/23쪽)


불빛 휘황한 거리를 걸어가 보자 // 식당 다음에 술집 / 술집 다음에 여관 / 여관 다음에 교회 // 순환소수처럼 / 알맞게 배열된 도시의 내장을 들여다 / 보면 정말 가관이다. // 먹고 마시고 잠자고 난 다음에 / 회개하고 // 아! 회개하면 그만인 / 대한민국의 도시인들 (도시 구조론/4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숲노래 동시

사람노래 . 마리 홀 에츠 Marie Hall Ets



뭘 봐?

개미를 지켜보니?

여우를 찾아보니?

어떤 풀을 바라보니?


어딜 봐?

숲을 둘러보니?

바다를 살펴보니?

무슨 길을 지켜보니?


나랑 같이 놀까?

천천히 거닐면서

노래를 부르면서

오늘 하루 누리자


어제도 그제도 그끄제도

모레도 글피도 다음날도

언제나 새롭게 처음으로

함께 나서는 바람꽃이야


+ + +


마리 홀 에츠(1895∼1984) 님은 사랑하는 가까운 사람을 자꾸 이른죽음으로 떠나보냈습니다. 그러나 이 죽음을 슬픔이나 눈물로만 받아들이기보다, 고요히 마음을 다독여서 아이들이 스스로 새롭게 서는 길을 찬찬히 찾아나서도록 상냥하게 북돋우고 돕는 꿈과 살림을 그림책으로 풀어냈습니다. ‘몸’이 여기에 없어도 ‘마음’은 늘 여기에 있어요. ‘넋’은 언제까지나 빛나고, ‘사랑’은 한결같이 아름답게 퍼지고 자랍니다. 놀 줄 알고, 같이 놀자고 부르는 눈망울에는 서로 아끼고 나누고 웃을 줄 아는 숨결이 흘러요. 이 땅에 새로 태어나는 아기한테도, 날마다 새롭게 놀며 말길을 넓히는 아이한테도, 아기를 안고 아이랑 살림을 짓는 어버이한테도, 봄바람을 담은 손길이 반갑습니다. 햇볕처럼 따뜻한 마음길이 모두한테 즐겁습니다. 이러한 기운을 단출히 여민 글·그림에 따사롭게 담아내어 들려준다면, 온누리 어린이는 마음 한켠에 즐겁게 사랑씨앗을 심으면서 저마다 듬직하게 꿈을 키우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길에 곁이 있는 동무와 같은 그림책 한 자락이 될 만하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끝 거창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 18
신용목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26.

노래책시렁 263


《나의 끝 거창》

 신용목

 현대문학

 2019.3.25.



  제 몸을 보면서 “운동 하셔요? 무슨 운동 하셔요?” 하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늘 빙그레 웃으며 “따로 ‘운동’을 안 해요. ‘집안일’을 하고, 걷고, 자전거를 타고, 풀꽃나무 곁에서 살고, 맨발로 숲을 걷고, 해바람비를 먹고, 등짐으로 책을 나릅니다.” 하고 얘기합니다. 나라를 아름다이 다스리려면 살림집부터 아름다이 다스리면 됩니다. ‘집’을 ‘살림집’으로 가꾸고 ‘숲집’으로 보듬을 적에, 저절로 ‘살림마을·숲마을’로 피어나고 ‘살림나라·숲나라’로 잇습니다. 《나의 끝 거창》을 읽었습니다. ‘운동’하던 지난날하고, 그무렵 어울리던 사람들 이야기가 흐릅니다. 지난날 겪고 보고 느끼고 맞아들이 쓴맛하고 생채기를 오늘날에도 고스란히 이어가는구나 싶은데, ‘바깥물결(사회운동)’을 쳐다볼 적에는 ‘속살림(집안일)’하고 등지게 마련입니다. 둘레에서 일어나는 얄궂은 모습에 눈감기는 어렵겠지요. 그러나 언제나 우리 보금자리가 먼저요, 이 보금자리에서 뛰놀며 웃고 노래할 아이들이 먼저입니다. “아이들을 돌보고 사랑할 살림을 누리려고 나라를 뜯어고치려는 길”이지 않을까요? 아이들을 등지거나, 아이들하고 어깨동무할 수수하며 쉬운 말을 잊은 채 ‘운동’만 한다면, 우리한테는 빈 껍데기만 남습니다.


ㅅㄴㄹ


전화해서 니 거서 뭐하노? 시 쓴다 카지 말고 빨리 와서 노동운동 해야 안 되겠나! / 말했었다 창원 간 날 / …… / 후배 창근이는, 이라크 전쟁 반대 인간 방패를 짜더니 나중엔 양심적병역거부로 수감되었다 (기념일/28쪽)


손 흔들기 좋은 창문을 달고 / 버스는 곧 도착할 것이다 멈출 것이다 멈춘 채, 앞의 차 한 대를 먼저 보내고 / 또 한 대를 보내고 (종점/9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규동 시전집
김규동 지음 / 창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26.

노래책시렁 265


《생명의 노래》

 김규동

 한길사

 1991.10.5.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예부터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스스로 사랑이 아니라면 ‘껍데기라는 몸’은 있되, ‘목숨이 없다’고 여겼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언제나 아이랑 한몸에 한마음으로 살림을 지으면서, 아이 삶결을 헤아리는 말씨를 가다듬습니다. 아이를 안 낳을 뿐더러 안 돌본다면, ‘나이는 먹’되, ‘어질거나 슬기롭지 않다’고 여겼습니다. 우리 집 아이가 없어도 이웃 아이에 마을 아이가 있습니다. 온누리 아이들이 있어요. 이 아이들을 한동아리로 바라보면서 사랑하는 숨결을 스스로 품지 않는다면, 모든 말글이나 몸짓은 겉치레입니다. 《생명의 노래》를 되읽습니다. 이제는 ‘생명의’ 같은 일본말씨를 떨칠 수 있는 글살림일까요? 글님은 늘 ‘어머니·어머님’을 그립니다. 모든 글은 어머니로 열고 어머님으로 닫는다고 할 만합니다. 어머니를 그릴 만하고, 텃마을(고향)에 가 보고 싶을 만합니다. 그런데 어머니도 예전에는 아이였고, 우리는 어느새 어버이(어머니·아버지) 자리에 서게 마련입니다. 태어난 곳만 아름답게 돌아볼 수 없어요. 발 닿는 모든 곳이 아름다이 피어나는 마을입니다. 노래는 놀이에서 나왔습니다. 놀이에서 노래가 나와요. 아이 마음으로, 아이 눈빛으로, 아이 마음을 펴기에 노래입니다.


ㅅㄴㄹ


깎인 나무토막처럼 / 어머님의 손은 차다 / 야위고 지친 그 손에 / 그러나 / 아름다운 조선은 침묵처럼 새겨져 있다 (어머님의 손/14쪽)


어머니 / 조금 쉬세요 / 가을날 옥수수대같이 / 가느다란 모습 하시고 / 무슨 일 그리도 많이 하시나요 / 백두산 가까운 곳 / 멀리 두만강이 흐르고 / 바라뵈는 건 산과 하늘뿐인 고향마을 (대신 할께요 어머니/8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