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을 재다 푸른사상 시선 150
박설희 지음 / 푸른사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53


《가슴을 재다》

 박설희

 푸른사상

 2021.11.10.



  사람들 누구나 노래(시)를 쓸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날에는 누구나 노래를 썼고 불렀고 지었고 나누었습니다. ‘지난날 누구나’라 할 적에는 임금·벼슬아치·글바치를 뺀 모든 사람입니다. 임금·벼슬아치·글바치는 우리말을 안 쓰고 중국말을 읊고 한문을 적었습니다. 붓힘을 쥔 이들한테는 노래가 없이 이름(명예)·돈(재산)·힘(권력)만 흘렀습니다. 붓·먹·벼루·종이를 구경조차 못 하던 수수한 사람들은 흙·풀꽃나무·비바람·해·별·바다·숲을 품으면서 손수 살림을 짓고 삶을 누리며 사랑을 나누었기에, 아이를 낳아 돌보는 나날을 고스란히 노래로 옮겨서 일하거나 놀거나 쉬거나 늘 새롭게 피어났습니다. 《가슴을 재다》를 읽었습니다. ‘글’이라는 허물을 내려놓을 수 있다면 노래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문학’이라는 고치에서 나올 수 있다면 노래가 되리라 봅니다. ‘시’라는 이름을 벗을 수 있다면 바로 노래로 나아가리라 봅니다. 남을 구경한 모습을 옮길 적에는 노래하고 멉니다. 그리 멀잖은 지난날 누구나 부르고 나누며 아이들이 물려받아 새로 부르던 노래는, 늘 스스로 짓는 삶을 스스로 바라보면서 울고 웃은 오늘입니다.


ㅅㄴㄹ


지구가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 휘파람소리일 거야 / 마실 나온 청년처럼 / 설렘과 감탄을 실은 휘파람 (휘파람/40쪽)


길 한복판에 있던 장끼가 / 자동차를 뒤늦게 발견하고 / 허둥지둥 길을 가로질러 // 달린다, 새가, 장끼가, / 날개를 접고 / 길짐승처럼 마구 달린다 (위기/6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지음, 이혜주 그림 / 창비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9.24.

노래책시렁 245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창작과비평사

 2002.11.30.



  〈조선일보〉에서 글꾼(기자)으로 일했기에 나쁜 사람일 수 없습니다만, 서슬퍼렇던 나날 그곳에서 일삯을 받은 사람을 좋게 보기는 어렵습니다. 더구나 문화부장·편집부장·논설위원을 하면서 우두머리(대통령)를 비롯한 힘꾼(권력자)하고 사이좋게 지낸 이가 노래꽃(동시)을 썼다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더구나 이 노래꽃을 ‘창비어린이(창작과비평사)’에서 선보였다면, 펴냄터가 넋이 나갔다고 밝히거나 ‘윤석중 동심천사주의를 어린이한테 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여길 만해요. 《마주 선 나무》를 읽으면 “때묻은 깃발”이라든지 “나만이 아는 그리운 노래”라든지 “1학년 그 귀여운”처럼 도무지 어린이스러울 수 없는 눈길을 엿볼 만합니다. 아이를 귀염둥이로 내려다보는 ‘귀염글(동심천사주의)’이자, ‘어른만 느끼는 옛생각(추억)에 잠긴 글치레’입니다. 아이들은 “때묻은 깃발”을 말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리운 노래”를 읊을 때가 아니에요. 신나게 땀흘리며 뛰놀며 노래를 쩌렁쩌렁 외칩니다. 누구나 글을 쓸 노릇이요, 어느 곳에 몸을 담갔어도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구경하는 마음이나 몸짓은 구경스런 글에 스스로 갇히고, 구경할 뿐이기에 자꾸 꾸미고 치레하고 덧바릅니다. 그만 구경하고 삶자리로 갑시다.


ㅅㄴㄹ


기차 / 지나간 뒤 // 때묻은 / 깃발처럼 // 흩날린다. (뒷모습/14쪽)


층계를 내려올 땐 / 가슴 속 / 노래가 / 찰랑대지요 // 나만이 아는 / 그리운 노래를 / 심심할 땐 혼자서 / 부르지요. (혼자 노는 아이/26쪽)


깃발처럼 나부끼는 잎 / 마음껏 뻗어 기지개 켜던 팔 // 1학년 그 귀여운 두 귀에 / 얼마나 옛얘기 담아 줄 수 있을까 (나무의자/1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 창비시선 477
이설야 지음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9.24.

노래책시렁 246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

 이설야

 창비

 2022.5.27.



  스스로 안 겪으면, 말하거나 느낄 수 없습니다. 누가 남긴 글·책이나 그림·빛꽃(사진)을 보며 이야기를 꾸리는 분이 부쩍 늘어나는데, 글이나 그림만으로도 그곳에 마음으로 날아가서 겪을 수 있겠지요. 다만, 마음으로 날아가지 않고서 그냥 따오기만 하거나, 몸으로 겪지 않은 삶을 문득 옮기려 한다면, 자꾸 꾸밈말을 하게 마련입니다. 마음에 피어나기에 생각이고, 생각을 소리로 옮기기에 말이고, 말을 누구나 눈으로 읽도록 그렸기에 글입니다. 말을 옮겨 글이고, 생각을 옮겨 말이고, 마음을 옮겨 생각인데, 마음에 피어나는 생각은 저마다 스스로 겪는 삶에서 태어납니다. 그러니까 글을 쓰고 싶다면 스스로 삶을 지으면 됩니다. 대단한 삶이나 초라한 삶은 없어요. 놀라운 삶도 덧없는 삶도 없습니다. 그저 오늘 이 삶을 스스로 고스란히 받아들여 사랑하면, 누구나 글님이요 노래님입니다.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를 읽으며 글님 하루를 그립니다. 어린 날 언니가 다니던 ‘심지 음악감상실’을 저도 열일고여덟 살에 가 보았습니다. 내가 듣고 싶은 노래 한 자락을 쩌렁쩌렁 울리는 소리로 그곳에 띄엄띄엄 앉은 사람들하고 함께 들으니 며칠 동안 온몸이 지잉 울리더군요. 모든 하루는 언제나 노래입니다. 노래이기에 삶입니다. 


ㅅㄴㄹ


공실이 많은 빌딩과 빌딩 사이 어두운 골목길 / 바람도 길을 잃고 헤매고 있었다 / 달빛이 찢어지고 있었다 / 유리창이 깨지고 있었다 (심지음악감상실/17쪽)


영수증을 재활용 종이로 알았다 / 내가 분류하고 나열한 생의 종목들 / 하나같이 구질구질한 쓰레기였다 (감열지/5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하나
강기화 지음, 홍종훈 그림 / 동시YO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2.9.18.

노래책시렁 252


《멋진 하나》

 강기화 글

 홍종훈 그림

 동시요

 2021.12.1.



  우리를 둘러싼 모든 숨결은 빛납니다. 빛나지 않는다면 목숨이 아니요, 목숨이 아니라면 죽음덩이나 먼지예요. 빛나는 숨결을 느끼거나 바라보지 않기에 자꾸 총칼을 지어내는 벼슬아치요 어른들입니다. 반짝이는 목숨을 배우거나 마주하지 못 하기에 그만 어리석은 벼슬아치나 못난 어른을 흉내내는 어린이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어린이한테 어떤 터전을 물려줄 적에 즐거우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울까요? 우리가 어른답다면 어린이한테 어떤 글을 들려주고 읽힐 적에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답고 즐거울까요? 《멋진 하나》는 귀염글(동심천사주의)에 기대지 않으려 하고, 배움수렁(입시지옥)을 굳이 다루려 하지 않는구나 싶지만, 빛나는 숨결한테 마음으로 묻거나 이야기를 해보고서 쓴 글은 아니로구나 싶어 아쉽습니다. “잎사귀가 입이라면 얼마나 시끄러울까”라니, 잎사귀한테 이런 얘기를 하면 잎사귀는 얼마나 서운한 나머지 시들시들할까요? 말놀이하고 말장난은 다릅니다. 놀이는 노래로 나아가지만, 장난은 재주부리기를 거쳐 따돌림과 죽음길로 갑니다. 별자리를 짐승뜰(동물원) 테두리로 바라보는 눈길도 아쉽습니다. 이제 울타리를 좀 벗읍시다.


ㅅㄴㄹ


잎사귀가 입이라면 / 얼마나 시끄러울까 // 잎사귀는 귀라서 / 잘 들어주는 귀라서 // 새가 노래하러 오나 봐 / 가끔은 울고 가나 봐 (잎사귀/15쪽)


…… 사육사는 헤라클레스 해설사는 켄타우르스 / 울타리 없는 동물원이야 // 오늘 밤 / 별빛 동물원에 놀러올래? (별빛 동물원/24쪽)


미운 오리 새끼라고 / 모두 백조가 되는 건 아니래 // 우리 아빠는 / 미운 오리 새끼였는데 / 재밌는 오리가 되었어 // 우리 엄마는 / 미운 오리 새끼였는데 / 씩씩한 오리가 되었어 (미운 오리 새끼/60쪽)

.

.

얄궂은 말씨는 손질하자


눈물 속에 푹 잠겨 있을 거야

→ 눈물에 푹 잠길래

→ 눈물에 푹 잠기겠어

→ 눈물에 푹 잠기고 싶어


웃긴 오리가 되는 중이야

→ 웃긴 오리가 되지

→ 웃긴 오리가 되어 가지


하얀 도화지에 색칠할 게 많아졌다

→ 하얀종이에 그릴 빛깔이 많다

→ 하얀종이에 이모저모 그려야지

→ 하얀종이에 다 그릴래


거리두기 2단계 거리두기 3단계

→ 틈새두기 2걸음 틈새두기 석걸음

→ 떨어지기 2칸 떨어지기 석칸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조망 조국 창비시선 97
이동순 지음 / 창비 / 1991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2.9.18.

노래책시렁 250


《철조망 조국》

 이동순

 창작과비평사

 1991.9.20.



  어릴 적부터 쇠가시울타리(철조망)를 어디서나 보았습니다. 인천 바닷가는 몽땅 쇠가시울타리로 둘렀고, 곳곳에 수두룩한 만듦터(공장)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다섯겹(5층) 나즈막한 잿빛집(아파트)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모든 배움터(초·중·고등학교)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골목으로 이은 집 가운데 쇠가시울타리를 두른 집이 많고, 유리병을 깨서 날카로운 조각을 담에 박은 집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쇠가시울타리를 높고 두껍게 두른 곳일수록 더 도둑이 들지 싶더군요. 바로 이곳이 넘볼 곳이라고 알리는 꼴인 쇠가시울타리랄까요. 《철조망 조국》을 읽으며 적잖이 숨막혔습니다. 엇갈리며 으르렁거리는 우리나라 민낯을 들여다보기에 숨막힌다기보다, 목소리만 높은 글자락이 숨막힙니다. 벼슬(정치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남녘도 북녘도 안 깨끗합니다. 흙을 일구는 수수한 사람들은 영호남이라서 다투지 않습니다. 붓을 휘두르는 이들이야말로 남·북녘으로 엇갈려 다투고, 영호남으로 맞물려 싸워 왔지 싶어요. 걷어낼 쇠가시울타리란 첫째로 벼슬이요, 둘째로 붓이요, 셋째로 돈·이름·힘이요, 넷째로 끈(학연·지연·혈연)입니다. 호미조차 쥐지 않은 맨손에 맨발로 풀밭을 디디고 서서 만날 때라야 아무런 울타리가 없습니다.


ㅅㄴㄹ


함께 지내며 서로 깔보거나 깎아내리지도 않고 / 한 나무에서 비바람 겪고 열매 맺어 / 이렇게 한 껍질 속에 다정하게 들앉은 품이 / 어쩌면 우리 통일조국의 모습과 이리도 꼭 같은지 (쌍밤/29쪽)


사방겹겹 빙 둘러쳐 답답하다 엔담이라 / 함석으로 높이 세운 붉게 녹슨 저 양철담 / 한번 가면 다시 못 볼 교도소라 벽돌담아 / 내 땅 속의 남의 땅 된 미군부대 꼬부랑담 / 담 중에도 가장 흉한 가시쇠줄 철조망담 / 남북간 영호남에 서로 막는 쌀쌀한 담 (담타령/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