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남기는 말


  우리 아이들한테 언제나 남기는 말 한 마디. 우리 오늘 하루 새롭게 열면서 즐겁게 짓자. 우리 아이들이 전화를 걸면 늘 들려주는 말 한 마디. 우리는 서로 마음으로 고이 이어졌으니 눈을 가만히 감고 떠올리면 반가이 만날 수 있어. 맛있게 먹고, 넉넉히 놀고, 찬찬히 배우고, 사이좋게 나누고, 꿈을 그리는 하루를 살자. 아버지는 이제 바깥일 보러 마실길 떠나야겠구나. 2017.12.12.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을 치고 그냥 가는 운전수



  오늘 낮 읍내 우체국에 작은아이를 이끌고 다녀오는 길입니다. 자동차는 시골에도 많아 큰길이든 골목길이든 한쪽에 줄줄이 서기 일쑤입니다. 찬바람이 많이 부는 오늘 날씨인데, 문득 골목길에서 자동차 한 대가 꽤 빠르게 쌩 지나가려 합니다. 찬바람이 쌩 불기에 작은아이를 가슴으로 안으며 걷는데, 이 자동차는 제 가방을 툭 칩니다. 이러고서 그냥 지나가려 합니다. 문득 걸음을 멈추어 뒤돌아보는데 자동차에서 아무도 안 내립니다. 제 가방을 자동차가 친 소리가 꽤 컸으나 내릴 생각을 안 합니다. 이러면서 깜빡이만 켭니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짓입니다. 쳤으면 내려야지요. 추우니 창문조차 안 열고 깜빡이를 켜며 ‘미안하다’는 뜻을?


  어찌하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찬바람이 부는 날씨이니 아이가 안 추울 만한 곳으로 가자고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이르러서야 제가 생각을 잘못했다고 깨닫습니다. 아이하고 함께 있는 자리였으니 아이가 배울 수 있도록, 그 자동차에 탄 운전수를 내리도록 해서 잘잘못을 제대로 가려서 뉘우치는 말을 들어야 했다고 깨닫습니다. 아이한테는 말로만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자동차가 좁은 골목에서 빨리 지나가려 했지?” “응.” “좁은 골목에서 찬바람까지 부는 이런 날에는 자동차가 기다려 주어야 해. 너는 자동차를 좋아하니까 운전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알아두면 좋겠어.” “응.” “그리고 자동차가 사람을 쳤으면 반드시 바로 자동차에서 내려야 해. 자동차에 치인 사람이 다쳤든 안 다쳤든 꼭 내려서 살펴야 해.” “응.” 2017.12.8.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학교에 안 가면 나쁜 아이 된다?



  어느 고장에서 이야기꽃을 나눌 때에 어느 분이 저한테 물으셨어요. “아이가 학교에 안 다니면 앞으로 사회에서 나쁜 짓을 하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요?” 하고요. 이렇게 물으신 분은 올해에 어느 대안학교에서 정년퇴직을 하셨다고 합니다. 이분이 만난 푸름이는 이분이 일한 학교를 다니면서 바르면서 착한 마음으로 거듭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들은 학교에 보내야 한다’고 여기신대요.


  저는 이분 말씀이 끝나기를 기다린 뒤에 먼저 빙그레 웃었습니다. 이러고서 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선생님, 그동안 좋은 학교에서 좋은 일 해 주시느라 애쓰셨어요. 선생님이 이끈 아이들은 참말로 훌륭한 어른으로 자라리라 생각해요. 그런데요, 우리 사회를 한번 돌아보면 좋겠어요. 신문이나 방송에 숱하게 오르내리는 엄청난 사건이나 사고를 일으킨 분들이 대학교를 안 나왔을까요? 중학교나 고등학교를 안 나왔을까요? 초등학교를 안 나왔을까요? 다 아니지요? 그런데 왜 그분들은 그렇게 엄청난 잘못을 저지르는 나쁜 사람으로 살까요? 이웃을 등치거나 엄청난 거짓말로 어마어마한 돈을 가로채는 분들도 으레 학교를 오래 다니며 많이 배운 사람들이에요. 이웃을 괴롭히거나 전쟁무기를 만드는 과학자와 연구개발자는 학교를 안 다녔을까요? 착하게 살아갈 사람은 학교를 다니건 안 다니건 착하게 살아간다고 느껴요. 나쁘게 살아갈 사람은 학교룰 안 다니건 다니건 나쁘게 살아간다고 느껴요. 오늘날 한국 학교를 돌아보면 어느 학교에서든지 따돌림하고 괴롭힘이 불거져요. 학교폭력을 막자고 그토록 애쓰고 정책이 나와도 거의 나아지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학교는 어떤 곳이기에 이런 수렁이 되었을까요? 저희는 아이들이 졸업장을 거머쥐어서 이 졸업장으로 돈이나 이름만 얻는 어른이 되기를 바라지 않아요. 저희는 아이들이 스스로 삶을 짓고 살림을 가꾸는 슬기로운 사랑을 키우기를 바라요. 더욱이 우리 집 아이들은 ‘우리 집 학교’를 다니면서 배워요. 옛날부터 온 나라나 겨레는 집과 마을이 모두 학교였어요. 어버이가 교사요 마을 어른이 교사였지요. 이제는 교사 노릇을 교대를 나온 전문직한테만 맡기는데요, 지난날에는 누구나 아이들을 살뜰히 아끼면서 누구나 아이들을 슬기롭게 가르치려고 마음을 쏟았어요. 학교를 다니느냐 안 다니느냐를 바라보지 말고, 우리가 아이들을 어떻게 슬기롭게 이끌면서 사랑으로 가르치는 즐거운 마을하고 보금자리를 가꿀 수 있을까 하는 길을 새롭게 찾아야지 싶어요.”


  학교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생각해요. 다만 학교에 얽매이지 말아야지 싶어요. 졸업장에 매인 삶이 되면 우리 스스로 옥죄이고 말아 슬픈 수렁에 빠진다고 느껴요. 2017.12.1.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들은 왜 그래?’ 하고 큰아이가 묻다



  면소재지나 읍내에는 쓰레기를 알맞게 나누어 내놓도록 하는 그물주머니가 있습니다. 우리는 곧잘 이곳에 유리병이나 플라스틱이나 다 쓴 건전지나 형광등이나 깡통을 나누어 내놓으려고 가지고 나오는데, 언제 보아도 ‘쓰레기 그물주머니’에는 온갖 쓰레기가 뒤죽박죽입니다. 큰아이가 묻습니다.


  “아버지, 여기는 플라스틱 버리라고 하는 데 아니야? 그런데 왜 여기에 병을 버리는 사람이 있어?”

  나는 유리병을 플라스틱 자리에 버린 적이 없어서 어떻게 이렇게 버릴 수 있는지, 이처럼 버린 사람 마음을 도무지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만히 있는데, 다시 묻습니다.


  “아버지, 여기는 유리병 버리라고 적혔잖아. 그런데 왜 여기에 비닐하고 깡통을 버리는 사람이 있어?”


  나는 유리병 버리는 데에 깡통이나 비닐을 버린 적이 없습니다. 그야말로 이렇게 버리는 사람이 어떤 마음인가를 알 노릇이 없습니다.


  아이한테 어떤 말을 들려주어야 할까요? 사람들이, 그러나 알고 보면 모두 우리한테 이웃인 사람들이, 이렇게 ‘한글을 읽을 줄 모른다’고 말해야 할까요? 한글을 읽을 줄 모를 뿐 아니라, 어디에 어떻게 버리든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다고 말해야 할까요? 사람들은 그냥 어디에든 버리면 ‘나 알 바 아니야’ 하고 여긴다고 말해야 할까요?


  “그렇구나. 참 엉뚱하게 버린 사람이 많네. 이를 어쩐다. 이렇게 하면 치우는 분도 매우 힘들 텐데. 그런데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하든 우리는 제대로 하자. 다른 사람이 길에 쓰레기를 버린다고 해서 우리도 따라서 버리면 어떨까?” “아니야. 난 그렇게 안 해.” “그렇지? 우리부터 제대로 하고 똑바로 살면 차츰차츰 온누리가 달라질 수 있으리라 생각해.” “그래, 그러면 되겠네. 우리가 좋은 씨앗이 되기로 해요.”


  좋은 씨앗이 되기로 하는 아이는 작은 촛불로 아름다운 삶터를 바라는 마음이기도 하겠지요. 아이들하고 읍내마실을 할 적에 이 고장 어린이나 푸름이가 빵이나 과자를 먹고 나오는 빈 껍데기를 그냥 휙 던져서 버린다거나, 음료수 깡통을 발로 뻥 걷어차면서 낄낄거린다거나, 때로는 도랑에 멀리 던지는 내기를 한다거나, 학교 앞 문방구에서 뽑기를 하고서 뽑기 선물을 담은 플라스틱 구슬을 발로 콰직 밟아서 깨뜨리며 깔깔대는 모습을 으레 봅니다. 한두 아이가 아닌 대단히 많은 아이들이, 또 푸름이까지 이런 몸짓이라서 이제 이 고장 아이들한테 지청구하는 일을 그만두었습니다.


  군내버스를 탈 적에 갑자기 앞으로 끼어들어 먼저 타겠다는 어린이나 푸름이, 여기에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늘 마주칩니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무엇을 보면서 배울까요? 우리는 아이들한테 어버이나 어른으로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요? 우리가 함께 나누면서 생각할 슬기롭고 아름다운 마을이나 터전은 어떤 그림일 적에 즐거울까요?


  “사람들은 왜 그래?” 하고 묻다가 “좋은 씨앗”으로 스스로 마무리를 짓는 아이한테서 즐거우면서 밝은 바람 한 줄기를 느끼는 겨울 문턱입니다. 2017.12.1.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죽을 끓이다가



  죽을 끓이다가 죽는 줄 알았습니다. 너무 힘들고 아파서. 끙끙거리는 몸을 일으켜 두 아이 먹을 죽을 끓이는데 어질어질하는 몸을 버티면서 끓이고 나니 그야말로 아무 힘이 없어요. 온식구가 몸살을 앓느라 해롱거리는 날, 죽도 섣불리 끓이지 말자고 생각합니다. 곁님이 슬쩍 한 마디를 하니, 우리한테 아홉 번 구운 대소금이 있고, 사탕소소 졸인 덩이가 있으니, 물을 끓여서 이를 타서 마시면 되지 않느냐. 이 말을 듣고서 애먼 데에 용을 뺐네 하고 돌아봅니다. 2017.12.1.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