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3.2.

숨은책 815


《난장이 마을의 유리병정》

 조세희 글

 동서문화사

 1979.5.15.



  앞날이 밝으리라 여기면서 종잇조각(대학졸업장)을 버리기로 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앞날이 되려나 따지지 말고, 언제나 오늘 이곳부터 씨앗 한 톨을 심으면서 천천히 걸어가자고 생각했습니다. 둘레에서는 “야, 네가 이루고 싶은 꿈은 그 종잇조각을 버리지 않고서 높은자리에 올라가서 이루면 더 빠르고 둘레에도 이바지하지 않겠어?” 하면서 뜯어말리거나 나무랐습니다. “그 종잇조각을 안 버린 이들 가운데 높은자리에 올라서서 첫마음을 안 잃은 사람이 있나?” 하고 대꾸했습니다. 벼슬·이름값·돈이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벼슬·이름값·돈을 쥐기 무섭게 시커멓게 물들면서 썩어문드러진 이들을 숱하게 보고 겪었습니다. 그나저나 조세희 님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난장이 마을의 유리병정》에 《시간여행》에, 책이름은 다르지만 겹치는 글이 많은 책을 다른 판으로 내놓았습니다. 펴냄터에서 일부러 이렇게 했을까요? 예전에는 일부러 ‘책 하나를 오롯이 새글로만 안 꾸린 판’이 꽤 나왔습니다. 그래도, 겹친 글을 되읽으며, 하루하루 살아갔습니다.


은강 방직의 여근로자들이 단식농성을 했다. 아는 사람은 알았고 모르는 사람은 몰랐다. 안 사람들 중의 얼마는 그들을 도울 수 없어 안타까와했고, 안 사람들 중의 얼마는 그냥 알고만 있었다. 모른 사람은 계속 몰랐기 때문에 계속 모르고만 있었다. 모른 사람이 알았더라도 아무 일 없었을 것이다. (60쪽/우리는 모두 몰랐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3.3.2.

숨은책 814


《시간여행》

 조세희 글

 문학과지성사

 1983.11.25.



  깨끗하지 않은 일을 안 하면서 살림돈을 버는 길이 서울에 있을까요? 없을 수는 없다고, 틀림없이 있으리라 여기면서 헤아려 보는데, 좀처럼 못 찾았습니다. 기름으로 굴러가며 매캐한 방귀를 내뿜을 뿐 아니라,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쇳덩이(자동차)는 안 몰고 싶어 종이(면허증)조차 안 땄기에 두 다리로 다니는 일거리를 살폈는데, 꽤 빠듯했어요. 1998년에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하며 책집일꾼에 책숲일꾼으로 곁벌이(부업)를 했으나 아름책을 살피거나 챙기는 책손은 드물었습니다. 밑바닥을 헤매는 벌이로 허덕이면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이어 《시간여행》도 찾아 읽었습니다. 책숲(도서관)에서 이런 책을 챙기는 젊은이를 못 봤고, 또래나 동생도 조세희 글은 어둡고 어렵다며 손사래치더군요. “밤이 있기에 별이 밝고 아침이 찾아와. 아직 모르니까 배우면 되고, 배우다 보면 환하게 알아볼 수 있어.” 하고 얘기하지만 제 말소리는 뜬구름 같았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뜬구름 같을 수 있는 책 한 자락은 100벌도 200벌도 300벌도 찍었습니다.


잠실은 모래로 만들어진 동네이다. 모래땅에 모래 아파트들이 가득 들어서 있다. 둑을 쌓고 그 위에 아스팔트를 깔아 도로를 내기 전에는 범람한 강물이 여름 잠실을 덮쳐누르곤 했었다. 모래 동네에 사는 사람들이 그것을 모르고 있다. (99쪽/민들레는 없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숲노래 그림책 2023.2.21.

숨은책 810


《단풍나무 언덕 농장의 1년》

 마틴 프로벤슨·앨리스 프로벤슨 글·그림

 양평 옮김

 백제/문선사

 1981.1.10./1984.6.15.



  2008년에 큰아이를 낳기 앞서까지 책집마실을 할 적마다 “집에 아이가 있어요? 아이가 없는 줄 아는데?” 하는 말을 으레 들었습니다. 아직 아이를 낳기 앞서도, 짝맺기(혼인)를 아직 안 하고 혼자 살던 때에도, 그림책이며 동화책을 잔뜩 사서 읽었거든요. “아이가 없는데 그림책하고 동화책을 왜 삽니까?” 하고 묻는 분이 많았어요. “아이가 아닌 제가 어른이 되려고 읽는 그림책하고 동화책입니다.” 하고 대꾸하면 거의 다 못 알아듣더군요. ‘그림책·동화책은 애들이나 읽는 책’으로 잘못 아는 분이 수두룩합니다만, ‘그림책·동화책은 어른이 되려는 사람이 읽는 책’입니다. 아이는 아이로서 어른이 되려고 읽고, 어른은 어른으로서 어른이 되려고 읽는 ‘그림책·동화책’입니다. 이런 얘기를 하면 “누가 그런 말을 합디까?” 하고 물으시는데 “아무도 이런 말을 안 하지만, 제가 그림책·동화책을 읽으며 느끼고 배운 바입니다.” 하고 얘기해요. 《단풍나무 언덕 농장의 1년》은 무척 아름다운 그림책입니다. 이 빛나는 그림책이 있는 줄 1981년이나 1984년에는 몰랐지만 1994년에 헌책집에서 문득 만나 뒤늦게 알았어요. 2008년에는 고맙게 되살아나기도 했습니다. 어른이 되려면 ‘아름그림책’을 읽을 노릇입니다.


ㅅㄴㄹ


#TheYearatMapleHillFarm #MartinProvensen

#


이 그림책 느낌글은 2009년에 쓴 적 있다.

https://cafe.naver.com/hbooks/1655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57738


곧 느낌글을 새로 쓰려고 한다.

2009년에 처음 쓸 적에는

큰아이가 갓난쟁이였고

이제는 두 아이 모두 꽤 자랐기에

새로 함께 읽은 느낌을

며칠 뒤에 글로 풀어내려고 한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 110


《따봉 개구쟁이 4》

 청림·정광식 엮음

 도서출판 동림

 1990.9.25.



  훔쳐서라도 책을 내면, 이 나라에 이바지할까요? 제값을 안 치르고서 슬쩍 베끼거나 훔쳐서 내는 책으로 돈을 벌면, 우리 살림에 이바지할까요? 《따봉 개구쟁이》는 ‘도라에몽’을 훔친 판입니다. ‘도라에몽 훔침책’은 여러 판이 나왔습니다. 어린배움터 곁 글붓집(문방구)에서 값싸게 불티나게 팔렸어요. 그림님 ‘후지코 후지오’ 님은 이녁 그림꽃을 여러 나라에서 훔침책으로 내는 줄 익히 알았다는데, ‘그림삯(저작권)을 바라지 않을 테니, 이웃나라 어린이가 제대로 나오는 그림꽃을 볼 수 있도록 해주기’를 바랐습니다. 베트남을 비롯해 여러 나라에서는 ‘도라에몽’을 마음껏 펴낼 뿐 아니라 제대로 읽힌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일본에서 나온 여러 살림살이랑 책을 훔쳤어요. 일본이 총칼을 앞세워 우리나라를 짓밟은 탓이라고도 하지만, 일본책뿐 아니라 온누리 모든 나라 책을 몰래 낸 우리나라예요. ‘열화당 사진문고’는 ‘프랑스 포켓 포쉐’를 훔친 판입니다. 예전 어린이는 《따봉 개구쟁이》를 비롯한 훔침책(해적판)을 보고 자라며 감쪽같이 속았습니다. 눈먼 속임짓을 꾀한 어른들은 무엇을 바라보았을까요? 이 나라 어른은 아이들한테 어떤 생각씨·살림씨·사랑씨를 심을 마음일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3.1.16.

숨은책 808


《J 이야기》

 신경숙 글

 마음산책

 2002.8.5.



  새책으로는 안 사되, 헌책으로는 사 놓는 책이 있습니다. ‘읽을 값어치’가 없기에 새책으로 안 사지만, ‘건사해서 남길 대목’이 있기에 굳이 품을 더 들여서 헌책으로 삽니다. 훔침쟁이(표절작가) 신경숙 씨가 쓴 《J 이야기》를 헌책으로 장만했습니다. 훔침쟁이 신경숙 씨는 책날개에 “《풍금이 있던 자리》를 독자들이 많이 읽어준 덕분에 시간과 작업실을 갖게 되어 1993년 이후로는 작품쓰기에만 몰입할 수 있었다” 같은 글을 적더군요. 그런데 ‘풍금이 있던 자리’라는 글이름은, 엄승화 님이 1987년에 선보인 《온다는 사람》이라는 책에 나오는 ‘풍금을 놓아 두었던 그자리’를 그대로 따왔다지요. 훔침글꾼은 2015년 뒤로 짐짓 책을 안 내놓는 척하다가 2021년 3월부터 슬그머니 책을 내놓습니다. ‘창비’는 버젓이 책을 팔고, 훔침글꾼은 여러 책집을 돌며 책수다(문학강연)를 합니다. 2023년 1월, 장강명 님은 ‘창비’가 훔침글꾼을 감쌀 뿐 아니라 ‘신경숙은 표절이 아니다’ 하고 앞세운다는 뒷얘기를 알립니다. ‘창비’가 지난날 어떤 책을 내놓으며 무슨 일을 했든, 오늘날 걷는 길은 오직 ‘막질(문단권력)’입니다. 사람들이 ‘창비·신경숙 팬클럽’이 되니 거리낌없이 나댑니다. 우리한테는 읽을 만한 책이 없을까요?


ㅅㄴㄹ

#반성이없다 #문단민낯

#반성없이숨긴들사라지지않는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