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무지 2023.8.10.



안다면 알뜰히 말하고

알맞게 이어가겠지

모르면 멍하니 읊다가

머뭇머뭇 망설이지


알기에 알차게 가꾸고

아름다이 헤아린다

몰라서 밀치고 몰다가

모조리 무너뜨리지


아는 사람이라면

무엇을 모르는 줄 알고

새롭게 알아가는 길에

반가이 배우며 웃어


모르는 굴레라면

뭘 모르는지 모르기에

그대로 굴레에 갇혀서

하나도 안 배우더라


ㅅㄴㄹ


알지 못 할 적에 ‘모르다’라 하고, 이를 한자말로는 ‘무지(無知)’로 나타냅니다. 모르기에 잘못이라거나 나쁘지 않아요. “모르는 줄 알” 때에는 스스로 배우려고 합니다. “모르는 줄 모를” 때에는 스스로 닫아걸면서 짜증을 내고 부아를 일으키면서 싸우거나 다투기 일쑤입니다. “모르는 줄 모를” 때에 함부로 달려들거나 몰아붙이거나 밀어대기 때문에 ‘어리석다’고 여겨요. ‘알다’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난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아.” 하고 말하면서 “난 내가 모르는 길을 배울게.” 하고 덧붙입니다. 모르는 줄 알기에 “모르는 일”을 함부로 안 해요. 모르기에 늘 고개를 숙이면서 묻습니다. 모르니까 어른이어도 어린이한테 얌전하게 묻고서 배우려고 합니다. “모르는 줄 모를” 적에는 나이를 앞세워서 누른다거나, 이 핑계 저 핑계로 빠져나가려고 하더군요. 아무리 달아난들 끝나지 않으니, “모르는 길을 배워서 알려고 하지 않을” 적에는 늘 쳇바퀴를 돌아요. 쳇바퀴질로 허둥지둥하기에 그만 스스로 지쳐서 무너져요. 하나씩 배우는 길은 얼핏 더뎌 보이지만, 차근차근 스스로 세우면서 든든하고 새롭게 일어서는 살림빛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노을빛 2024.4.23.불.



네가 지켜보든 안 보든 늘 해가 뜨고 져. 네가 느끼든 안 느끼든 아침저녁으로 노을빛이 퍼져. 네가 어느 곳에 있어도 이 별은 늘 빙그르르 돌아. 네가 무엇을 하든 이 별 둘레와 먼 곳에서 숱한 별이 반짝여. 네가 곁에 가든 등을 지든, 새는 언제 어디에서나 노래하고 날아. 네가 알아채든 아니든, 지렁이는 흙을 새로 일구지. 아침노을을 느끼거나 보는 하루이니? 저녁노을을 만나거나 아는 오늘이니? 밤에는 고요하게 덮는 ‘잠빛’이고, 낮에는 환하게 퍼지는 ‘일빛’이고, 아침저녁으로는 노래처럼 번지는 ‘노을빛’이야.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더라도 아침노을과 저녁노을이 있어. 네가 걷거나 뛰거나 앉거나 눕거나, 네 몸에는 노상 피가 흘러. 너는 말을 할 적에 피돌이를 느끼니? 숨을 쉬고 뱉는 사이에 온몸이 어떻게 거듭나는지 알아보니? 네가 스스로 숨소리를 느끼는 귀를 틔운다면, 나뭇잎이 들려주는 숨소리를 들을 수 있어. 네가 온몸에 바람이 드나들면서 기쁘게 흐르는 숨결을 느끼는 빛을 틔우면, 넌 돌과 모래가 어떻게 숨쉬는지 읽을 수 있어. 그러나 하나는 늘 새겨야겠지. 여태 몰랐거나 안 읽었기에 대수롭지 않아. 틔워서 느끼고 읽는 오늘부터 바꿀 수 있어. 바로 여기에서 하면 돼. 숨을 내쉬면서, 이 숨이 어느 하늘로 피어올라서 노을하고 섞이는지 지켜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비구름 2024.4.24.물.



하늘을 덮으면서 흐르는 구름은 빗물을 뿌리기도 하지만, 햇볕에 녹아 아지랑이로 스며들기도 해. 바람은 빗방울도 아지랑이도 실어나르지. 물은 가만히 바람을 타고서 어느 곳으로든 찾아가. 구름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바람에는 풀꽃나무·짐승·새·풀벌레·사람이 두루 조금씩 내놓는 물기운을 맞아들여서 퍼뜨려. 그래서 모래만 있는 데에서는 메마르다고 느낄 테고, 나무와 풀이 우거진 데에서는 비구름이 없더라도 향긋하면서 시원하단다. 서울(도시)처럼 북적거리고 쇳덩이에 높은집이 빽빽한 데라면 숨이 막히겠지. 그곳에는 푸른숨도 파란바람도 비구름도 스미거나 퍼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물기운을 조금씩 내놓으면서 나누려고 하는 숨붙이”가 턱없이 적거든. 보렴. ‘서울사람(도시인)’은 제 몸에 있는 물기운을 기껍고 즐겁게 베푸는 몸짓일까? 몸을 친친 감거나 덕지덕지 발라서 막잖니? 게다가 해바람이 흐르는 곳에 나오는 사람이 몹시 적어. 비가 올 적에 빗물을 품을 흙과 풀과 나무와 새와 풀벌레가 없으니까 매캐하지. 빗물을 그리고 사랑하면서, 제 몸에 흐르는 숨기운과 물기운을 늘 새롭게 내쉬는(내놓는) 터전에서라야, 누구나 느긋하고 튼튼하단다. 돌봄터(병원)가 왜 사람을 오히려 괴롭힐까? 왜 돌봄터에서 더 앓거나 아플까? “풀빛이 없는 화학약품·백신” 탓에 사람들 스스로 몸을 망가뜨리기도 하지만, ‘해·바람·비·별·흙·숲’이야말로 사랑으로 가득한 ‘돌봄물(약·치료약)’인데, 어느 돌봄터에서 해바람비와 별흙숲과 바다를 맞이할 수 있니? 없더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문학이라는 2024.4.25.나무.



글을 쓰면서 ‘글’이라고 안 하는 까닭을 헤아릴 수 있을까. 일을 하면서 왜 ‘일’이라 않는지 알아차릴 수 있을까. 종이를 접으니 ‘종이접기’야. 땅을 콕콕 호면서 조금씩 홈을 내듯 파는 연장인 ‘호미’야. 말을 말답게 쓸 줄 안다면, 마음을 오직 마음으로 돌볼 테지. 말부터 꾸미려 한다면, 허물을 씌우고 꺼풀을 덮으면서 꽁꽁 싸매다가 감출 텐데, 이러면 해와 바람이 스밀 틈이 없어. 씌우지도 덮지도 싸매지도 않으니, 감출 일이 없으면서, 갖은 일을 다 치르거나 만난단다. 숱한 일을 겪다 보면, 신나거나 좋은 일도 있겠지만, 서운하거나 싫은 일도 있어. 그런데 좋든 싫든 온갖 일을 맞이하고 보면, 몸과 마음이 천천히 자라. 너는 몸뿐 아니라 마음이 자라고 싶기에, 이곳에서 살아간단다. 때로는 짜증스럽거나 얼토당토않은 일이 있고, 때로는 반갑거나 활짝 웃을 일이 있어. 모든 일은 물이 흐르듯이 지나가고 다가오며 오늘을 이뤄. ‘글’이나 ‘일’이나 ‘종이접기’나 ‘호미’라고 할 적에는, 이 이름하고 맞물리는 일을 그대로 보고 겪고 느낀단다. 그런데, ‘글’이 아닌 ‘문학’이라 하거나, ‘일’이 아닌 ‘작업’이라 하거나, ‘종이접기’가 아닌 ‘예술’이라 하거나, ‘호미’가 아닌 ‘농기구’라 하면, 꺼풀이 생기지. 이 꺼풀은 곧 껍데기를 이루고, 겉치레로 나아가. 겉치레일 적에는 참모습을 못 보거나 등진단다. 말에 꺼풀을 씌워서 껍데기가 늘면, 그야말로 해바람비를 등지거나 잊으면서 ‘노래’도 잃어버려. 고작 말 한 마디이지 않아. 모든 일은 말 한 마디부터야. 마음에 놓는 말 한 마디가 두 마디로 열 마디로 자라. 삶이라는 길을 꿈빛으로 물들이고 싶으면, 말씨부터 심고서 마음을 밭으로 가꾸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빈곤 貧困


 빈곤에 시달리다 → 가난에 시달리다

 경제적 빈곤에서 벗어나려고 → 가난에서 벗어나려고 / 돈가뭄에서 벗어나려고

 화제의 빈곤으로 → 얘깃거리가 없어서 / 할 말이 떨어져

 빈곤한 생활 → 가난한 살림 / 엉성한 살림 / 모자란 살림 / 빈살림

 빈곤한 지식 → 어설픈 길 / 얕게 알다 / 허술히 알다 / 빈머리


  ‘빈곤(貧困)’은 “1. 가난하여 살기가 어려움 2. 내용 따위가 충실하지 못하거나 모자라서 텅 빔 ≒ 빈난(貧難)·간곤·곤궁·궁곤·빈궁”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난·가난살림·가난살이·가난벌이·가난팔이·가난장사·가난집’이나 ‘가난이·가난님·가난꽃·가난벗·가난뱅이·가난삯꾼·가난일꾼’으로 손봅니다. ‘배고프다·굶다·굶는벌이·굶는삯꾼·굶는일꾼·굶주리다’나 ‘가물·가물다·가뭄·가파르다·강파르다·깎아지르다’나 ‘동냥꾼·땅거지·거지·거렁뱅이·겨울·비렁뱅이’로 손보아도 돼요. ‘그냥·변변찮다·비리다’나 ‘낮다·나떨어지다·나뒹굴다·떨려나가다·떨어지다’로 손볼 만하고, ‘돈없다·돈고비·돈고개·돈벼랑·돈수렁·돈앓이’나 ‘맨끝·맨뒤·맨몸·맨밑·맨손·맨주먹’으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비다·빈그릇·빈몸·빈손·빈주먹·빈털터리·빌빌·빌어먹다’로 손보고, ‘모자라다·못나다·못 받다·못살다·뿌리얕다’나 ‘밑바닥·밑자리·밑지다·바닥·바닥나다’로 손봅니다. ‘발가벗다·발가숭이·벌거벗다·벌거숭이·벗다’나 ‘벼랑·벼랑끝·벼랑길’이나 ‘빚·빚길·빚살림·빚잔치·빚지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생활의 빈곤이 토양과 작물을 한층 더 약하게 하는 것이다

→ 가난하기에 흙하고 남새가 한결 더 힘을 잃는다

→ 가난한 탓에 흙이며 풀이 한결 더 흐물거린다

《소농》(쓰노 유킨도/성삼경 옮김, 녹색평론사, 2003) 106쪽


풍요의 시대를 누리다 어느 순간부터 처절한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진다는 말이다

→ 넉넉한 나날을 누리다 어느 때부터 끔찍히 가난 수렁으로 떨어진다는 말이다

→ 넘치는 한때를 누리다 어느덧 모진 가난 굴레로 떨어진다는 말이다

→ 눈부신 한때를 누리다 어느새 빈털터리 벼랑으로 떨어진다는 말이다

→ 한껏 누리다 어느 때부터 깡그리 잃고 가난하다는 말이다

《동네에너지가 희망이다》(이유진, 이매진, 2008) 22쪽


나는 상상력이 너무 빈곤해서 손가락을 잘라도 가루가 날릴 것이다

→ 나는 생각나래가 너무 모자라 손가락을 잘라도 가루가 날릴 듯하다

→ 나는 생각힘이 너무 바닥이라 손가락을 잘라도 가루가 날리리라

→ 나는 생각하는 힘이 너무 얕아 손가락을 잘라도 가루가 날리리라

《생물성》(신해욱, 문학과지성사, 2009) 67쪽


대한민국의 노인빈곤율은 기록적으로 높다

→ 우리나라에 늙은가난이 무척 많다

→ 이 나라는 가난한 늙마가 대단히 많다

→ 우리는 늙은가난이 엄청나다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하승수, 한티재, 2015) 77쪽


일을 할수록 더 빈곤해지는

→ 일을 할수록 더 가난한

→ 일을 할수록 더 굶주리는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송경동, 창비, 2016) 128쪽


2011년 미국에서는 어린이 5명 가운데 1명이 빈곤 상태에 있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어요

→ 2011년 미국에서는 어린이 다섯 가운데 하나가 가난하다는 놀랄 만한 이야기가 나왔어요

→ 2011년 미국에서 살폈더니 뜻밖에도 어린이 다섯 가운데 하나가 가난하게 산다고 해요

《세계의 빈곤, 게을러서 가난한 게 아니야》(김현주, 사계절, 2016) 23쪽


최저 임금이 근로 빈곤층에게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입니다

→ 밑삯은 가난일꾼한테 바로 이어갑니다

→ 바탕삯은 가난한 일꾼한테 바로 와닿습니다

→ 가난한 일꾼은 밑삯에 확 얽매입니다

《나라는 부유한데 왜 국민은 불행할까?》(오건호와 네 사람, 철수와영희, 2018) 211쪽


내 빈곤한 어휘력이 원망스러워

→ 내 못난 말발이 미워

→ 내 어설픈 말솜씨가 싫어

→ 내 엉성한 말씨가 못마땅해

→ 내 허술한 말힘이 부끄러워

→ 내 얕은 말재주가 창피해

《공전 노이즈의 공주 2》(토우메 케이/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17쪽


철학의 빈곤은 통치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 얕은 넋은 이끌 적에 나타나게 마련이다

→ 생각이 없으면 잘 다스리지도 못한다

→ 어설픈 빛은 살림길에 그대로 드러난다

《진보는 어떻게 몰락하는가》(진중권, 천년의상상, 2020) 224쪽


근로빈곤층(working poor)은 일을 해도 가난한 사람들을 말한다. 그리고 우리 가족은 근로빈곤층이다

→ 가난벌이는 일을 해도 가난한 사람들을 말한다. 그리고 우리 집안은 가난일꾼이다

→ 굶는벌이는 일을 해도 가난한 사람들을 말한다. 그리고 우리 집은 굶는일꾼이다

→ 하루벌이는 일을 해도 가난한 사람들을 말한다. 그리고 우리 집은 하루일꾼이다

《워킹푸어 가족의 가난 탈출기》(강은진, 작아진둥지, 2022) 244쪽


이들의 빈곤이 세습될 가능성은 매우 컸다

→ 이들은 거의 가난을 물려준다

→ 이들은 다들 가난을 이어받는다

《가난이 사는 집》(김수현, 오월의봄, 2022) 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