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2024.3.4.

말 좀 생각합시다 79


 주먹비


  이웃님 한 분이 ㅋ이란 달책을 펴냅니다. 이 달책 어느 머릿글에 박남수라는 분을 다루는데, 이분은 1918년에 태어났다고 하더군요. 이런 분이 있었구나 하고 생각하던 터에 서울로 이야기마실을 간 어느 날, 용산에 있는 헌책집 〈뿌리서점〉에서 이분이 예전에 썼다는 《어딘지 모르는 숲의 기억》(박남수, 미래사, 1991)을 보았어요. 깜짝 놀랐습니다. 만나고 잇는 실이며 끈은 이렇게 닿는군요.


  서울에서 움직이는 길에 이 책을 읽는데 31쪽에서 “쏟아지는 주먹비에 터진, 개구리는”이라는 글월을 보았지요. 문득 덮었습니다. 고요히 생각에 잠깁니다. 눈을 살며시 감고 ‘주먹비’라는 낱말을 읊어 보았습니다. 이 낱말은 박남수 님이 처음 짓지 않았습니다. 낱말책에 “주먹비 : 쏟아지는 비 같은 매우 심한 주먹질”처럼 실립니다. 그러나 글님은 주먹비를 달리 썼습니다. 비처럼 쏟아지는 주먹이 아닌, 주먹처럼 쏟아지는 비라는 뜻으로 썼지요.


  언제부터인가 ‘물폭탄’이란 말이 퍼집니다. 날씨를 알리는 목소리에서 비롯했지 싶은데, 여느 사람들도 이 말을 따라서 써요. 비가 왕창 쏟아지면 다들 아무렇지 않게 ‘물폭탄’이라 합니다.

  참말로 하늘은 우리한테 꽝꽝(폭탄) 퍼부을까요? 총칼에 비를 빗대어도 어울릴까요? 아이들이 이런 말을 듣거나 배워도 될까요?


  수수하게 ‘큰비’라는 말이 있습니다. 마구 쏟아진다면 ‘막비’라 할 만합니다. 엄청나게 퍼붓는다면 ‘엄청비’라 해볼 만합니다. 빗물이 마치 주먹처럼 굵으면서 퍼붓는다면 ‘주먹비’라는 이름을 쓸 수 있어요. ‘함박비’나 ‘소낙비’나 ‘벼락비’ 같은 말을 알맞게 가려서 써도 어울립니다.


  우리는 노래를 읽어야지 싶습니다. 삶을 아름다이 바라보면서 사랑스레 가꾸는 손길로 쓴 노래를 읽어야지 싶어요. 어른끼리 주고받는 노래보다는 아이하고 함께 읽을 노래를 읽고 써야지 싶어요. ‘문학이 아닌 노래’를 쓰다 보면 말이 한결 부드러이 흐를 테고, 여느 자리를 비롯해서 날씨를 알리거나 삶터를 다루는 자리에서도 노랫말이 퍼지리라 생각해요. 그렇습니다. 우리는 노래하듯이 말해야지 싶습니다. 아니, 노래하며 말해야지 싶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말삶

말 좀 생각합시다 78


 절하루


  저는 열매배움터(중학교)에 들어간 1988년에 영어를 처음 배웠습니다. 그때 배운 낱말 가운데 ‘temple’이 있는데, 영어 낱말책은 ‘사원’으로만 풀이했습니다. 낱말책에 적히기로도 ‘사원’이고, 영어 길잡이가 가르치기로도 ‘사원’이었어요. ‘사원’이란 말을 이때 처음 들었기에 몹시 낯설고 어려웠습니다. ‘사원’이란 낱말을 외우면서도 어쩐지 동떨어졌다고 느꼈습니다.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다닐 즈음 우리 낱말책에서 ‘사원(寺院)’을 찾아보니 “절. 사찰”로 풀이합니다. 무릎을 탁 쳤어요. ‘절’이라 풀이하면 될 영어 ‘temple’을 ‘사원’이라 적은 셈이니까요. 그나저나 ‘사원 = 절. 사찰’이라 나온 낱말책이기에 다시 ‘사찰(寺刹)’을 찾아보는데 “= 절”로 풀이하더군요.


  멍했습니다. 하나하나 따지면 ‘사원·사찰 = 절’인 얼거리예요. 우리말은 절이요, 우리나라 사람은 절이라 말하는데, 막상 낱말책이나 영어 배움책은 절을 ‘절’이라 이야기하지 않는구나 싶어 놀랐습니다.


  요즈막에 절집에서 하루를 묵거나 단잠을 누리는 일을 놓고서 ‘템플스테이’라는 영어를 쓰곤 합니다. 우리말 ‘절’도 안 쓰지만, 한자말 ‘사원·사찰’도 안 써요. 나라 곳곳에 늘어나는 마을책집이 있고, 이 마을책집에서는 ‘북스테이’를 한다고 합니다. 우리말은 틀림없이 ‘책’이지만, 책집에서 하루를 묵는 일을 놓고는 우리말 아닌 영어로 이름을 지어서 쓰곤 하더군요.


  절집이나 책집에서 하루를 묵는 살림길이 우리나라에서 먼저 태어나지 않았기에 영어를 받아들여서 쓸는지 모릅니다. 그러면 곰곰이 생각할 노릇이라고 느껴요. 이 땅에 걸맞게 마땅한 이름을 새로 지으면 어떻겠느냐고 말이지요.


  절집에서 절살림을 누리는 길이라면 ‘절살림·절집살림’처럼 수수하게 쓸 만합니다. ‘절빛마실·책빛마실’처럼 절집이나 책집에 마실을 하되 더 깊은 빛을 본다는 느낌을 담아도 돼요. 절살림하고 책살림을 곁에 놓고 달콤한 하루를 누리며 잠도 잔다면 ‘절집단잠·절빛단잠’도 어울려요. 하루를 누린다는 얼개로 ‘절집하루·절하루·책집하루·책하루’나 ‘절하룻밤·절밤·책하룻밤·책밤’이라 할 만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말 좀 생각합시다 77


 첫코


  뜨개질을 하는 분이라면 뜨개질에서 ‘첫코’가 얼마나 큰가를 잘 압니다. 삽을 쥐어 일하는 분이라면 삽일에서 ‘첫삽’이 참 대수로운 줄 알아요. 길을 나서는 사람이라면 모든 마실길에 ‘첫길’이나 ‘첫걸음’이 큰 자리를 차지하는 줄 압니다. 아기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라면 아기 입에서 터져나올 ‘첫말’을 기쁘게 기다립니다. 즐겁게 밥을 지은 사람이라면 밥자리에서 ‘첫술’을 얼마나 맛나게 뜨려나 조마조마 지켜봅니다.


  모든 일을 처음 하는 자리라면 ‘처음’이라 하면 되는데, 우리 삶자리마다 처음을 가리키는 낱말이 수두룩히 있습니다. 아마 앞으로 이런 말마디는 꾸준히 늘어날 만하지 싶어요. 글쓰기를 좋아하면 ‘첫글’을, 이야기를 좋아하면 ‘첫마디’를, 겉모습을 따지면 ‘첫모습’을, 냇가 바닷가 샘가 우물가를 좋아하면 ‘첫물’을, 서로 손을 맞잡거나 어깨동무하기를 바라면 ‘첫손’ 같은 말이 퍼뜩 떠오를 테고, 이런 말은 차츰차츰 널리 씁니다.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첫말을 어떻게 여느냐가 참으로 대수롭습니다. 첫느낌을 잘 살릴 첫발을 잘 떼어야지요. 요즈막에 ‘셰어(share)’라는 영어를 앞에 붙여 ‘셰어하우스’나 ‘셰어푸드’ 같은 말을 쓰는 분이 제법 있고, 이런 말씨는 차츰 퍼져 ‘셰어메이트’ 같은 말도 쓰더군요. 아마 ‘셰어페스티벌’ 같은 말도 생기겠구나 싶어요. 그런데 왜 ‘셰어’라는 영어를 끌어들여야 할는지 생각해 보기를 바라요. 나누는 자리라면, 나누는 일이라면, 나누는 마음이라면, 나누며 함께 기쁘려는 뜻이라면, ‘나눔·나누다’ 같은 말을 쓰면 되지 않을까요?


  나눔 한 마디로 처음을 연다면 ‘나눔집’입니다. ‘나눔밥’이 될 테고, ‘나눔잔치’를 엽니다. 나누는 일이나 잔치를 함께하는 벗이라면 ‘나눔벗’이에요. 나누는 일을 하는 사람은 ‘나눔이’일 테고, 나눔마을·나눔마당·나눔옷·나눔책·나눔자리·나눔놀이·나눔일·나눔돈……처럼 새롭게 나누는 마음과 뜻를 한 올 두 올 풀어내어 이야기를 엮을 만합니다. 첫코를 잘 꿰어 다음코가 이쁘고, 첫말이 고와 다음말이 곱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2023.5.18.

말 좀 생각합시다 76


 위밑옆


  어느 분이 “‘상하좌우(上下左右)’라 하면 말이 짧아요. 바로 알아들을 수 있고요. 그런데 이를 한자 아닌 한국말로 하려면 ‘위아래왼쪽오른쪽’이 되니 너무 길어요. 한자로 하면 짧아서 경제성이 있습니다.” 하고 말하더군요.


  이 말에 나오는 ‘경제성’이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짧아야 좋다고 여긴다면 우리말로도 얼마든지 짧게 말할 만합니다. 다만 짧다고 해서 늘 좋을 수 없는 줄 알고 생각해 보기를 바랍니다. 짧게 말하는데 못 알아듣는다면? 짧게 말하고서 이래저래 풀이말을 붙여 주어야 한다면?


  어른이라면 ‘상하좌우’를 웬만큼 알겠지요. 이와 달리 어린이라면 이 한자말을 모르기 일쑤예요. ‘상하좌우’를 못 알아들어서 묻는 어린이는 반드시 있습니다. 이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짧아야 좋다’고만 따져야 할까요?


  한자말 ‘좌우’는 ‘왼오른’입니다. 석 글씨입니다. 그런데 한자말로 가리키는 ‘좌우’란 ‘옆’이나 ‘곁’이나 ‘둘레’이기도 합니다. 이쪽하고 저쪽이지요. ‘옆’하고 비슷하지만 다른 ‘곁’이며 ‘둘레’를 헤아려 봅니다. 짧기로 본다면 ‘옆·곁’이야말로 짧습니다. 두 낱말은 결을 달리 나타내면서 더 알맞게 다룰 수 있어요. ‘둘레’는 길이가 같아요.


  이다음으로 살피면, ‘위아래옆’처럼 짧게 끊을 만합니다. 그리고 ‘위밑옆’처럼 글씨 하나를 더 줄일 만해요. ‘위밑곁’이라 할 만하고 ‘위아래둘레·위밑둘레’나 ‘위아래곁·위아래둘레’라 해도 어울려요.


  말이란, 길기에 안 좋거나 짧기에 좋을 수 없습니다. 무엇을 나타내려 하는가를 살필 노릇이요, 누구하고 이야기하면서 생각을 나누려 하느냐를 함께 헤아릴 노릇입니다. 이러면서 우리 나름대로 언제든지 새말을 빚을 수 있어요. 우리는 ‘위밑옆·위밑곁’을 쓸 만하며 ‘위밑왼오른’처럼 써도 됩니다. 이제부터 써 볼 수 있어요. 우리말로 생각을 새로 뻗으면 됩니다. 자리하고 때에 걸맞게 우리말로 새롭게 슬기를 빛내어 이 말 저 말 지으면 즐거워요. 아이더러 알맞게 새말을 짓도록 이끌면 되고, 어른도 틈틈이 새말을 지으면서 어깨동무를 하면 사랑스럽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 숲노래 우리말 2023.4.4.

말 좀 생각합시다 75


 이녁


  전라도 시골에서 살며 새롭게 쓰는 말씨가 제법 있습니다. ‘이녁’은 이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녁’이란 말씨는 마을 어르신을 비롯해서 이곳저곳에서 흔히 들었습니다. 다만, 젊은이나 푸름이나 어린이한테서는 이 말씨를 못 들어요. 이웃 고을·고장을 다니면서 귀를 기울이니 ‘이녁’은 경상도에 강원도에 충청도에서도 곧잘 쓰는 말씨인 줄 알아차립니다. 귀에 익은 말씨로 깃들면서, 또 이 말마디를 어느 자리에 어떻게 쓰는가를 헤아리면서, 새삼스레 쓰고 즐겁게 폅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을 살피면 ‘이녁’을 “ㄱ. 듣는 이를 조금 낮추어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하오할 자리에 쓴다 ㄴ. ‘이쪽’의 옛말”로 풀이합니다. ‘이녁’은 참말로 듣는 이를 살짝 낮추는 부름말일까요? 어쩌면 이 뜻풀이가 옳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뜻풀이는 올바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숱한 낱말책은 아직 온나라 사람들 말씨·말결·말빛을 모조리 못 담아내기도 하지만, 우리말을 부러 낮추고 한자말을 부러 높이기 일쑤이거든요.


  누구나 ‘이녁’을 갑자기 쓰기는 만만하지 않을 수 있으나, 말뜻을 곰곰이 짚도록 이야기하면서 새롭게 쓸 수 있어요. ‘이녁’은 ‘이 + 녁’입니다. ‘이녁’처럼 ‘저녁·그녁’ 또는 ‘이녘·저녘·그녘’을 쓸 수 있습니다. 사람을 가리킬 적에 ‘이꽃·저꽃·그꽃’이나 ‘이집·저집·그집’이라 해도 어울려요.


  말씨란, 말을 하는 몸짓이나 느낌이나 빛깔이나 모습입니다. 어설픈 낱말책을 추스르고, 엉성한 낱말책을 다독이면서, 너랑 나 사이에, 그대랑 나 사이에, 너희와 우리 사이에, 알맞으면서 새롭게 펼 말씨를 오늘부터 지을 수 있어요.


  ‘너·그대·자네’하고는 다르면서 수수하게 쓰는 말씨인 ‘이녁’이라고 할 만해요. 듣는 쪽이나 가리키는 쪽을 낮추지도 올리지도 않으면서, 이곳에서 어깨동무하고 잇는 숨빛을 수수하게 ‘이녁’으로 그릴 만합니다. 그래서 “아무개 어르신 이녁이 들려준 이야기”라든지 “이녁이 나한테 준 나물”처럼 쓸 만해요. 서로서로 꾸밈없이 만나고 어울리는 자리에서도 알뜰살뜰 쓸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