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7.


《아니온 듯 다녀 가소서》

 안재인 글·사진, 호미, 2007.4.18.



해날을 잇는다. 작은아이가 손수 빨래한 신은 잘 안 마른다. 해는 나되 빨래가 다 마르지는 않는다. 큰아이는 이제 박새랑 쇠박새가 노래하는 소리가 다른 줄 가린다. 눈여겨보고 귀담아들을 적에는 문득 번쩍 하듯 마음을 가로지르면서 깨어날 수 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에 ‘낱말 ㄱㄴㄷ’을 붙인다. 퍽 힘이 드는 일이되 곧 마쳐야겠지. 쉬어가며 기운을 내자. 서두르면 놓친다. 얼른 끝내려 하면 어렵다. 바람결을 따르고 빗줄기를 품고 햇살이 퍼지듯 일손을 다스리면 알맞게 매듭을 짓는다. 《아니온 듯 다녀 가소서》를 되읽는다. 힘을 빼면서 찰칵 찍는 길은 어렵지 않다. 그저 힘을 빼면 된다. 이 꾸러미에도 힘이 좀 들어갔되, 이만큼이라도 힘을 빼면 빛결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찰칵찰칵 찍는 이들은 하나같이 힘이 잔뜩 들어갔다. 멋있게 안 찍으면 안 된다고 잘못 여기는 이가 수두룩하다. ‘무엇’을 ‘왜’ 찍어서 ‘누구’하고 ‘무슨 마음’을 나누려 하는가는 못 들여다보는구나 싶다. 위에 올라앉아서 내려다보는 마음이랄까. 윗마음도 마음이겠지만, 어깨동무도 살림길도 아니다. 아니온 듯 다녀가기보다는, 살며시 다녀가면 된다. 아닌 척하지 말고, 바람과 해와 비와 별처럼 부드러이 사랑으로 다녀가면 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6.


《생쥐들의 뉴턴 사수 작전》

 박병철 글·한태희 그림, 한솔수복, 2020.2.14.



이레 만에 찾아온 해날을 반긴다. 해를 쬐고 빨래를 널고, 밥을 차리고,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큰아이가 빚는 그림꽃을 놓고서 그림감을 어떻게 다룰 만한지 이야기한다. 느긋이 바라보며 가면 된다. 막히거나 아리송한 대목을 만나면 쉬엄쉬엄 붓을 놓고서 둘레를 지켜보면서 기다리면 된다. 작은아이가 “왜 ‘참새’라는 이름이에요?” 하고 묻는 말에 ‘참나무·참깨’ 같은 이름이 붙은 밑뜻을 풀어내어 들려준다. 《생쥐들의 뉴턴 사수 작전》을 읽었다. 굳이 뉴턴을 들면서 빛꽃(과학)을 다루지 않아도 되리라 여기는데, 꽤 잘 여민 줄거리라고 느낀다. 어느 모로 보면 ‘뉴턴’하고 얽힌 줄거리는 군더더기 같다. 생쥐 살림길을 바탕으로 ‘사람과 뭇짐승과 숲이 맺는 사이’를 줄거리로 짜서 이야기를 편다면 훨씬 빛날 만하지 싶다. 이렇게 하고서 책끝에 ‘뉴턴이란 누구인가?’를 가볍게 붙이는 쪽이 어울릴 테지. ‘가벼운 위인전’으로 엮더라도 똑같이 위인전이다. 훌륭한 사람을 다루는 글은 이렇게 하든 저렇게 하든 아이들 삶하고 매우 멀다. ‘훌륭’이 아닌 ‘살림’을 복판에 놓고서, 어린이도 오늘부터 즐겁게 추스르고 꾸리고 나누고 베풀고 펼 만한 길을 들려주면, 저절로 아름답게 나아갈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5.


《부산에 살지만》

 박훈하 글, 비온후, 2022.2.28.



1994년부터 그림꽃(만화) 느낌글을 꾸준히 썼다. 얼추 3000꼭지가 넘을 듯싶다. 이 가운데 82꼭지를 추슬러서 묶어 본다. 오늘은 비가 그칠 동 말 동한다. 조용히 집에서 보내는 하루이다. 밤이 되자 구름이 걷히고 별이 나온다. 보름달이 온마을을 훤하게 비춘다. 이제부터 해날로 접어들겠구나. 《부산에 살지만》을 지난해에 읽으면서 여러모로 아쉬웠다. 이른바 ‘역사·문화·건축·예술’로 바라보아도 나쁘지는 않지만, 이런 이름에 기대면 막상 ‘삶·살림·사랑·숲’하고는 멀다. 부산뿐 아니라, 서울이나 온나라 발자취를 담는 이들 가운데 “어린이가 어떤 노래를 부르면서 무슨 놀이를 누렸는지”를 적거나 밝히는 이가 있는가? 푸름이 나이일 무렵 고장마다 어떤 살림길로 새로 나서는지를 살피거나 담는 이가 있는가? 글이란 까맣게 모르지만, 들숲바다를 밝게 깨우친 수수한 사람들이 짓는 하루를 톺거나 옮기는 이가 있는가? 《부산에 살지만》을 쓰려면, 조그마한 골목집에 삯을 들어서 다섯 해는 너끈히 살아내야지 싶고, 열 해 남짓 두 다리로 걸어다니기만 하면서 일해야지 싶고, 스무 해 즈음 고을꽃과 고을나무와 고을새를 눈여겨보면서 “부산에도 둥지를 트는 제비”가 어느 마을에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4.


《나로 살아가는 기쁨》

 아니타 무르자니 글/추미란 옮김, 샨티, 2017.5.31.



해가 나는가 싶더니 다시 비가 듣는다. 조물조물 올라오는 봄꽃을 본다. 꽃망울이 터지려는 봄나무를 쓰다듬는다. 하늘을 가르는 새를 쳐다보고, 우리 마당을 슥 지나가는 새끼 고양이를 바라본다. 《나로 살아가는 기쁨》을 모처럼 다시 들추었다. ‘나’라는 낱말에서 ‘낳다·나다·날다’가 뻗고, ‘나무·남다’가 잇는다. ‘기쁘다’는 ‘기운·깊다·기르다’하고 닿는다. 내가 누구인지 알아보는 길이란, 나하고 마주한 너는 누구인지 알아차리는 하루이다. 서로 누구인지 알 적에는 사람이란 어떻게 사귀는지 읽고, 사람 둘레에 있는 숱한 숨결하고 저마다 어떤 사이로 살림을 일구는지를 찾는 나날로 나아간다. 예부터 임금이나 벼슬아치나 글바치는 글을 안 쉽게 썼다. 누구나 속빛을 알아차리지 못 하도록 가로막은 셈이다. 오늘날에도 숱한 글쟁이는 글을 어렵게 쓰고, 나라에서도 뜬금없는 말씨를 함부로 쓴다. 왜 이처럼 바보스레 글로 굴레를 씌우는지 스스로 읽어내지 않는다면, 우리 스스로 종살이에 갇힌다. “쉽게 말하고 글쓰기”라기보다는 “어린이하고 말하고 글쓰기”라든지 “숲빛으로 말하고 글쓰기”라고 할 만하다. 아무 낱말이나 쓴다든지, 허울스럽게 치레하는 말을 부릴 적에는, 탈바꿈이 아닌 탈쓰기에 옭매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3.


《별새의 꿈》

 샤론 킹 차이 글·그림/노은정 옮김, 사파리, 2022.2.15.



종이새뜸을 사려고 순천마실을 가려는데, 마을 앞 11:10 시골버스부터 안 온다. 어이없지만, 시골에서는 두 시간마다 지나가는 버스가 말없이 안 들어오기도 한다. 옆마을로 걸어가서 12:20 시골버스를 탄다. 그런데 순천버스나루에서 새뜸을 팔던 가게가 사라졌다. 헛걸음에 허방이지만 곰곰이 생각해 본다. “사람들이 종이새뜸을 안 산다”고 여기기보다는 “사람들이 사읽고서 건사할 만한 이야기를 종이새뜸이 안 담은 지 오래”라고 보아야지 싶다. 아직 종이책이 나올 수 있는 밑힘이라면, “그래도 종이책을 두고두고 읽다가 둘레에 물려줄 수 있다”이지 싶다. 마을책집 〈책방사진관〉을 들르고서 고흥으로 돌아간다. 《별새의 꿈》을 읽으며 옮김말이 몹시 아쉬웠다. 왜 어린이 눈높이를 안 헤아리는 옮김말일까 하고 돌아보다가 “Starbird”를 “별새”가 아닌 “별새의 꿈”으로 옮긴 줄 알아챈다. 꾸밈없이 나눌 말을 살피지 못 하니, 어린이 곁에서 들려줄 말빛을 놓치거나 모르게 마련이다. 낮에는 낮잠이고, 낮밥이며, 낮꿈이다. 새는 새꿈이고, 꽃은 꽃꿈이다. 별새는 그저 별새꿈이기도 하다. ‘꾸미’려 하면 망가진다. ‘꾸리’거나 ‘가꾸’려 해야 살아난다. 말끝을 하나하나 들여다볼 적에 낱말 하나가 씨앗으로 자란다.


#Starbird #SharonKingChai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