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12 우리나라는



  《사이에서, 그림책 읽기》를 읽으며 아쉬웠어요. 가르침(훈계·교육)이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지만, 그림책이란 가르침이나 외침(주의주장·사회의식·정치의식)으로는 허전해요. “아이로 태어나 어른으로 자라오는 동안 이 삶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스스로 살림을 사랑으로 짓는 숲빛 하루를 아이들한테 씨앗으로 물려준다는 기쁜 눈물웃음이 바탕인 이야기”일 적에 비로소 빛나는 그림책이라고 느껴요. 이쪽이어야 옳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만, 사랑에는 옳고 그름이 없습니다. 사랑이라면 이쪽도 저쪽도 없고, 사랑은 크거나 작지 않아요. 우리나라 그림책이 제자리걸음뿐 아니라 뒷걸음까지 치면서 한켠에서는 캐릭터 장사를 하고 다른켠에서는 훈계와 계몽에 사로잡힌 나머지, 그림책이 그림책스럽게 꽃피어나는 즐거운 춤노래라고 하는 숨결을 이켠도 저켠도 다 등돌리는구나 싶어요. 엘사 베스코브, 윌리엄 스타이그, 가브리엘 벵상, 이와사키 치히로, 바바라 쿠니, 이런 이들은 훈계도 계몽도 사회의식도 아닙니다. 그저 사랑이에요. 우리나라는 사랑으로 그림책을 여미는 눈길도 손길도 마음길도 잊은 채, 저마다 끼리끼리 무리를 지어서 저마다 옳다고만 외친다고 느껴요. 그러나 이 모든 틀을 벗으려는 이웃님이 곳곳에 있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11 어른만 그림책



  어린이한테 안 어울리는 그림책을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꽃들의 말》, 《너의 정원》, 《나를 안아줘》, 《할머니의 팡도르》 같은 그림책은 ‘어린이가 아닌 어른’ 눈높이에 따라서 ‘서울살이에 지친 마음을 달래는’ 줄거리라고 할 만합니다. 요 몇 해 사이에 ‘그림책’이란 이름은 붙이면서, 또 ‘0살부터 100살까지 읽는 책’이란 덧말까지 달면서, ‘어른만 읽을 그림책’이 꽤 쏟아집니다. 어른만 읽을 그림책이라면 ‘스무 살부터 그림책’이나 ‘마흔 살부터 그림책’처럼 이름을 바꿔야 옳아요. 다만 요즈음 아이들은 배움수렁(입시지옥)에 끔찍하게 시달리느라 어린이조차 밤 열한 시 무렵에 겨우 집에 들어와서 손전화 조금 들여다보다가 곯아떨어진다고 하니, 이런 수렁이야말로 쓸쓸하지요. ‘어른만 그림책’이 나쁘지 않으나, ‘어른이란 자리에서 그림책을 지어서 어린이하고 나누는 밑뜻’이란, ‘맑은 눈빛을 되찾으며 어진 어른으로 살아갈 숨결을 나누는 새길’일 텐데요. 아이들은 ‘억지스레 달라붙는 좋아함·끌림’이 아닌 ‘스스로 빛나는 사랑’입니다. 아이들은 ‘슬픈 죽음’이 아닌 ‘씨앗·열매를 남기는 가을겨울이란 새길’이에요. 들숲바다를 품지 않는 곳에서는 ‘서울내기 그림책’을 쓰고 읽겠지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10 국군의 날



  해마다 ‘국군의 날’에 이 나라는 무시무시한 총칼(전쟁무기)을 잔뜩 보여줍니다. 싸울아비(군인)를 너른터에 풀어놓고서 쌈박질(무술시범)을 보여주더군요. 총칼을 늘 볼 뿐 아니라 장난감 총칼을 쉽게 사는 동안, 또 누리놀이(인터넷게임)가 으레 총칼을 휘두르며 놈(적)을 때려잡는 얼거리인데 이런 길에 물드는 동안, 우리는 마음에 무엇을 심을까요? ‘국군의 날’이랍시고 “특전사 싸울아비가 칼·몽둥이를 휘두르며 놈을 때리고 죽이는 짓을 무술시범이란 이름을 붙여서 아이들 앞에서 버젓이 보여주는 짓”은 ‘썩은 나라’로 달려가는 지름길이에요. ‘성교육’이란 이름을 붙여 ‘살섞기(섹스)’ 이야기를 거침없이 꾸밈없이 적는 그림책·어린이책이 부쩍 늘어나는데, 이런 책에 ‘솔직한 표현’이라고 풀이말을 붙이기도 하는데, 사랑이 왜 사랑인가를 살피지 않고서, 또한 살섞기가 왜 살섞기인가를 더 들여다보려 하지 않고서, 그저 거침없거나 꾸밈없이 말하기만 한다면 무엇을 물려주는 셈일까요? 우리는 ‘죽으려고 태어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늙으려고 나이를 먹지 않’아요. 어깨동무(평화)가 무엇인지 안 보여주면서 ‘전쟁은 나쁘다’고만 말하면 무엇을 알까요? 사랑을 안 밝히면서 살섞기만 보여주면 어떤 길로 가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섣달빛 (2022.12.20.)

― 부산 〈파도책방〉



  인천에서 나고자라는 적잖은 사람들은 인천을 느긋이 바라볼 겨를이 아예 없다시피 합니다. 요새는 얼마나 달라졌는지 모르겠는데, 제가 거친 인천 배움터(학교) 열두 해에 걸쳐 ‘인천사랑’을 들려주거나 밝힌 길잡이(교사)는 한 사람도 못 봤습니다. 모두 스스로 “난 인생 낙오자라서, 여기 구닥다리 인천 막장 같은 데에서 교사를 한다구!” 하면서 우리를 두들겨패기 일쑤였습니다. 1982∼1993년 사이에 온몸으로 겪은 일입니다.


  서울살이(in Seoul)를 하려다 쓴맛을 보거나 나뒹군 분들이 인천 기스락으로 들어와서 ‘문화·예술·학술 우두머리’를 꽤 합니다.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서는 길잡이(교수) 자리를 못 얻고 ‘인천에 있는 대학교’에서 길잡이 자리를 얻고서 우쭐거리는 분을 숱하게 보았어요. 이런 분들을 스칠 적마다 딱하더군요.


  그런데 부산 동무를 사귀고 부산 이웃을 하나둘 만난 지난 서른 몇 해 동안 부산사람도 인천사람 못잖게 ‘서울바라기’가 많고, ‘서울로 안 가고 부산에 뿌리내리며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온몸으로 겪는 가시밭길’이 숱한 줄 느꼈습니다.


  왜 나고자란 고장에서 고즈넉이 즐거이 일하고 살림하고 사랑하고 보금자리를 꾸리고 아이를 낳으며 새길을 꿈꾸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가싯길을 걸어야 할까요? 왜 ‘서울뚫기(in Seoul)’를 못하는 사람한테 “넌 졌어(루저·패배자)” 같은 이름을 붉게 찍으려 들까요? 고을지기(지자체장)를 뽑을(선거) 수 있대서 ‘마을살림(지방자치)’이지 않습니다. 모든 아이들이 스스로 태어나고 뛰놀고 자라는 터전에서 실컷 노래하고 꿈꾸고 사랑할 수 있을 적에 비로소 마을살림입니다.


  한 해가 저무는 섣달 끝자락에 부산마실을 합니다. 시골인 고흥 버스나루에서 한참 기다린 끝에 시외버스를 탑니다. 얼추 대여섯 시간이 넘는 먼길에 글종이를 무릎에 얹고서 얘기꽃(동화)을 한 자락 씁니다. 덜컹덜컹 흔들리는 시외버스는 오히려 손으로 글을 쓰기에 즐겁습니다. 부산 사상에서 내려 시내버스로 갈아탑니다. 고무신차림인 숲노래 씨인데, 발을 밟거나 어깨를 밀치는 손님이 여럿 있습니다.


  버스에서 내린 다음 천천히 거닐며 보수동 책골목에 닿고. 이윽고 〈파도책방〉 앞에 섭니다. 올해가 가기 앞서 〈파도책방〉으로 책마실을 올 수 있어 기쁜데, 〈파도책방〉 자리는 올해를 끝으로 옮긴다는군요. 부산시하고 중구청은 여기 책골목을 사랑할 마음이 하나도 없네요. 번들거리는 새집을 지어야 ‘책골목’이 되지 않습니다. 다 다른 책집이 언제나 다 다른 책빛으로 책시렁을 건사하고 책손을 맞이할 수 있을 적에 책골목입니다. ‘헌책’은 “새로 읽을 책”입니다.


ㅅㄴㄹ


《겨레의 슬기 속담 3000》(교학사 출판부 엮음, 교학사, 1988.9.25.)

《이화문고 38 倫理와 思考》(소흥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7.25.)

《영농기술 꿩·칠면조·오리》(편집부, 오성출판사, 1973.첫/1984.2.20.재판)

《영농기술 비닐채소재배》(이경희 엮음, 오성출판사, 1979.첫/1984.2.20.재판)

《李朝木工家具의 美》(배만실, 보성문화사, 1978.9.15.)

《욕망하는 천자문》(김근, 삼인, 2003.6.27.첫/2003.7.10.2벌)

《해직일기》(조영옥, 푸른나무, 1991.5.30.)

《숲 속의 가게》(하야시바라 다마에 글·하라다 다케히데 그림/김정화 옮김, 찰리북, 2013.2.8.)

《ちびギャラよんっ》(ボンボヤ-ジュ 글·그림, ゴマブックス, 2004.5.1.첫/2005.4.10.7벌)

《名探偵 コナン 特別編 15》(靑山剛昌·平良隆久·阿部ゆたか·丸傳次郞, 小學館, 2002.4.25.)

《계몽사문고 63 파랑새》(마아테를링크/김창활 옮김, 계몽사, 1980.첫/1988.5.28.중판)

《민주열사 이한열 추모집, 그대 가는가 어딜 가는가》(청담문학사, 1987.7.2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아름빛 (2022.12.7.)

― 광주 〈예지책방〉



  아침 일찍 집을 나섭니다. 오늘은 광주로 갑니다. 이튿날 아침에 장흥 대덕중학교 푸름이를 만나서 ‘시골에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어른이 들려주는 글쓰기와 삶짓기 이야기’를 펴려고 하기에 미리 나섭니다. 돌림앓이 탓에 고흥·장흥을 잇는 시외버스가 끊겼어요. 옆 시골이지만 광주를 끼고 한참 돌아가야 합니다.


  하루를 오롯이 광주에서 보낼 텐데, 버스나루에서 내려 시내버스로 갈아타고서 〈예지책방〉으로 찾아갑니다. 잿집(아파트) 물결을 지나고, 어린배움터 옆을 걷습니다. 책집 앞까지 왔는데 아직 안 열었습니다. 아마 바깥일을 보실 테지요.


  책집 앞에 그림책이 몇 자락 있습니다. 책벼리(도서목록)도 있습니다. 슬슬 읽고서 노래꽃(동시)을 한 자락 씁니다. 요 며칠 문득 되새기는 《이오덕 일기》를 생각하면서 ‘책한테 드림 19’을 여밉니다. 어린이·푸름이·어른이 함께 곁에 둘 만한 아름책을 떠올리면서 ‘책한테 드림’이라는 노래꽃을 엮어요. 아름책을 읽은 마음을 옮기고, 아름책에 흐르는 삶빛을 담아 봅니다.


  둘레에서는 ‘추천도서·권장도서’ 같은 일본 한자말을 쓰는데, 저는 이런 이름은 안 쓰고 싶습니다. 함께 읽자고 알려줄 만한 책이라면 ‘아름책(아름다운 책)’이나 ‘사랑책(사랑스러운 책)’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꽃책(꽃다운 책)’이나 ‘빛책(빛나는 책)’이라는 이름을 슬며시 붙이기도 합니다.


  풀꽃나무한테 이름을 처음 붙인 옛날 옛적 시골사람 마음을 그리면서 ‘아름책·사랑책·꽃책’처럼 새말을 짓습니다. 일본말 ‘동시’도 ‘노래꽃’으로 풀어내 보고요. 일본말이나 일본 한자말이라서 나쁘지는 않아요. 일본사람은 그들 나름대로 아이를 사랑하는 눈빛으로 새말을 여밀 뿐입니다.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아이를 사랑하는 눈망울로 새말을 엮을 뿐이고요.


  배우려고 하기에 멈추지 않으면서, 신나게 놀고 노래하며 달릴 줄 알기에 튼튼히 자라나는 어린이하고 푸름이라고 느낍니다. 이무렵 빛나는 숨결은 온몸을 쓰며 움직일 적에 눈부시게 마련이에요. 젊은이뿐 아니라 누구나 쇳덩이(자동차)를 몰기보다는 자전거를 달릴 적에 어울립니다. 부릉이(자동차)하고 사귀기보다 이 땅하고 사귀는 길이 아름답습니다. 아름사람은 맨손 맨발 맨몸으로 하늘숨을 마셔요.


  우리는 ‘우리’를 씁니다. 나는 ‘나’를 쓰지요. “우리를 쓴다”나 “나를 쓴다”는 마음으로 하루를 돌아보고 아로새깁니다. 우리가 스스로 빛나고, 내가 스스로 반짝입다. 얼어붙는 겨울에 즐거운 마음이 신나는 몸짓으로 피어나는 하루라면 겨울꽃이겠지요. 스스로 마음을 담아 읽으면, 어느 책이든 반짝거릴 수 있어요.


ㅅㄴㄹ


《곁책》(숲노래·최종규, 스토리닷, 2021.7.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