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6 힘



  ‘힘주다’라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한자말로는 ‘강조·신신당부’쯤일 텐데, 돋보이기를 바라거나 내세우려 할 적에 ‘힘주기’를 합니다. 남보다 잘 보이려 하거나 앞에 나서려는 마음이 ‘힘주기’인데, 힘을 자꾸 주면 오히려 억지스럽거나 지나쳐 보여요. 힘을 빼면 수수합니다. 힘을 주려니 부풀립니다. 힘을 빼기에 차분합니다. 힘을 주기에 내버티려 합니다. 힘을 빼는 결은 스스로 고요히 빛나는 길로 가고, 힘을 주는 결은 더 크거나 빠르거나 많아 보이려고 겉치레를 하는 길로 갑니다. ‘글에 힘을 뺀다 = 글을 억지스레 부풀리거나 꾸미거나 자랑하거나 내세우거나 장난치거나 덧씌우거나 치레하거나 거짓을 보태지 않는다’입니다. 글에는 힘을 얹거나 싣거나 더할 노릇이 아닙니다. 글에는 오롯이 삶을 얹고 살림을 싣고 사랑을 더할 노릇입니다. 삶이 없이 힘만 잔뜩 들어간 글은 얼핏 멋져 보이지만 속이 비어요. 살림이 없이 힘줌꼴로 그럴듯이 꾸민 글은 두고두고 되읽을 곁글하고는 동떨어져요. ‘글을 잘 써야 할 텐데’ 하고 걱정하기에 그만 ‘잘 쓴 글처럼 보이려’고 덕지덕지 꾸미거나 다른 사람 글을 흉내내거나 베끼거나 훔칩니다. 낱말풀이하고 보기글은 힘주어 쓰면 망가집니다. 삶글은 어깨힘이 들어가면 일그러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5 꾸밈글



  “꾸미지 않으면 글이 아니다”처럼 생각하고 가르치고 배우는 분이 제법 많습니다만, 낱말책에 담는 뜻풀이는 꾸며서 쓰면 어울릴까요? 한자말 ‘설명문’이란 이름을 붙일 적에는 “꾸미지 않고, 있는 그대로 풀어서 쓰는 글”이라고 하되, ‘문학’이라 하면 “보기에 좋도록 꾸며서 쓴 글”로 여겨 버릇합니다. ‘예술’도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빛”이 아닌 “보기에 좋도록 꾸며서 나타내는 빛”으로 바라보기 일쑤입니다. ‘꾸밈’을 영어로 옮기면 ‘디자인’입니다. 똑같은 알맹이여도 겉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둘레에서 바라보는 눈길이 달라지니, 더 널리 보아주기를 바라면서 꾸민다고들 합니다. 글(문학)도 살림(예술)도 꾸며야 좋다고 여기곤 합니다. 그런데 “속을 가꾸지 않고, 겉만 꾸민다”고 한다면 “알맹이는 그대로인데, 겉모습으로 속이는 길”로 흐르게 마련입니다. 낱말풀이뿐 아니라 모든 글은 구태여 꾸미기보다는 가꿀 노릇 아닐까요? 가꾸는 마음이 사라지고 꾸미는 손짓만 늘면서 허울좋은 글이 넘치지 않나요? “꾸미면 꾸밈글”이요, “삶·넋·생각·마음·사랑·살림·숲을 그대로 담으면 글”이라고 느낍니다. 꾸밈글은 돈을 꾸듯 억지로 빈자리를 채우는 눈가림입니다. 글은 그대로 사랑하는 참빛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4 뉴스



  영어 ‘뉴스’를 ‘새소식’으로 고쳐쓰라고들 하는데 ‘소식’은 한자말입니다. ‘뉴스’를 제대로 고쳐쓰자면 ‘새얘기’나 ‘새말’쯤으로 적을 노릇입니다. 그런데 “새로운 이야기”라고 하는 ‘뉴스’이지만, 정작 속을 보면 하나도 새롭지 않은 얼거리에 줄거리라고 느껴요. 죽이고 죽는 줄거리, 속이고 다친 줄거리, 미움과 따돌림과 괴롭히는 못난짓이 춤추는 줄거리, 아프거나 튀틀린 줄거리, 다투거나 싸우는 줄거리가 가득한 ‘뉴스’예요. 이런 뉴스라면, 새롭게 살피거나 받아들일 이야기가 아닌, 사람들을 새삼스레 옭아매면서 바보로 내모는 이야기라고 할 만합니다. ‘새얘기·새말’이 아닌 ‘수렁얘기·굴레말’이라고 할까요. 이름은 ‘새로움(new)’이라지만 조금도 새롭지 않은 곳에 ‘새로움(new)’이라는 허울만 씌운다면,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겉으로만 내세우는 이름을 함부로 퍼뜨리지 않도록 다잡아야겠습니다. 오늘날 ‘뉴스’는 ‘궂긴일’이라 할 만합니다. 또는 ‘슬픈일·아픈일’이라 하겠지요. 낱말책은 뜻풀이만 다는 꾸러미가 아닙니다. 참뜻하고 제뜻하고 속뜻을 고스란히 살펴서 제대로 밝히는 꾸러미입니다. 허울좋게 겉치레로 붙인 이름을 파헤쳐 민낯을 드러내어 슬기롭게 바라보도록 이끌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3 기대다



  낱말책은 엮는이 혼자 쓰는 말이 아닌, 온나라 사람들이 쓰는 말을 두루 살피고 알맞게 추려서 쓰임새를 알리고 새길을 북돋우는 꾸러미입니다. 이런 얼거리라서 스스로 어떻게 말을 새로 엮느냐를 돌아보면서, 둘레에서 새말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를 지켜보고, 오래도록 이어오는 말은 어떠한 숨빛인가를 헤아립니다. 스스로 엮은 낱말책을 끝없이 다시 살피면서 다른 사람이 엮은 낱말책을 늘 곁에 둡니다. 다만 기대지 않습니다. 스스로 예전에 갈무리를 마친 뜻풀이·보기글에 기대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 갈무리한 뜻풀이·보기글에 기대지 않아요. 기꺼이 배울 뿐입니다. 스스로 해놓은 보람을 새삼스레 배우고, 이웃 누구한테서나 반갑게 배우지요. 돌림앓이판을 지나면서 숱한 사람들은 미리맞기(백신)에 기대었습니다. 나라부터 앞장서서 미리맞기를 하라고 시키기는 했으되, 스스로 살림길을 돌아보는 매무새라면 스스로길(자가면역)을 헤아리면서 푸른숲을 품는 시골살림이나 숲살이로 나아가게 마련입니다. 남이 떠먹이는 밥이 아닌 스스로 떠먹는 밥이듯, 남이 해주는 살림이 아닌 스스로 짓는 삶입니다. 스스로 살림을 짓는 길에 스스로 지은 말인 사투리처럼, 우리는 남한테 안 기대고 스스로 사랑할 적에 말꽃을 피웁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2 남북한



  경상말하고 전라말을 하나로 뭉뚱그릴 수 없습니다. 뿌리는 하나여도 살림새가 다르기에 경상말하고 전라말은 ‘비슷하되 다릅’니다. 경상말에서 청도말하고 진주말도 매한가지예요. ‘비슷한 경상말’이되 ‘다른 경상말’이에요. 전라말에서 ‘전라남도말’하고 ‘전라북도말’도 매한가지이지요. ‘전주말’하고 ‘순천말’은 ‘비슷하되 다릅’니다. 남녘하고 북녘도 뿌리는 하나요 여러모로 비슷하지만 다른 말입니다. 남북녘을 아우르는 낱말책을 크게 하나로 엮어내려 한다면 무척 뜻깊을 테지만, 굳이 안 해도 된다고 느낍니다. 삶·살림이 다르니 고장말이 다릅니다. 남녘하고 북녘은 날씨도 땅도 살림결이 확 벌어져서 말도 제법 벌어졌어요. 억지로 뭉뚱그릴 수 없습니다. 더구나 적기(표기법)조차 다른걸요. 띄어쓰기에 ㄱㄴㄷ(차례/어순)까지 다른 ‘한겨레 두나라’입니다. ‘거위·게사니’처럼 소리는 같아도 쓰임새가 확 다른 낱말도 있어요. 남북녘을 억지로 하나로 묶으려 하기보다는, 서로서로 쓰는 말결을 새롭게 살피고 배우도록 따로 여민 낱말책을 스스럼없이 나누는 길을 찾아야 슬기롭겠다고 봅니다. 사투리부터 고장마다 다른데, 나라하고 살림결이 다른 두 말은 저마다 알뜰살뜰 가꿀 적에 비로소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