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진화론·창조론 : (한국) 학교에서는 ‘진화론’ 하나만 가르치면서 ‘창조론’은 엉터리라고 몰아붙인다. 문득 궁금해서 사전을 뒤적이니, 사전에도 ‘진화론·진화설’은 올림말로 다루되 ‘창조론·창조설’은 아예 없다. 가만 보면 (한국) 학교는 외곬로 치닫는 교과서에 갇히기 일쑤이다. 아직 한국 학교만 양자물리학조차 거의 안 가르치다시피 하는데, 따지고 보면 못 가르칠 만하지 싶다. 양자물리학을 제대로 익히지 않은 길잡이라면 아이들한테 엉터리로 들려주거나 뜬금없는 지식을 퍼뜨릴 테니까. 진화론이든 창조론이든 모두 ‘론(論)’이다. 그저 ‘말’이나 ‘생각’일 뿐이란 소리이다. 나는 ‘진화론’을 거의 믿지 못한다. 왜 못 믿는가 하면, 아무리 보아도 사람들 터전은 조금도 ‘진화·진보’를 못하지 싶으니까. 보라, 이 나라가 얼마나 진화하거나 진보했는가? 이 꼴을 진화나 진보로 여길 만한가? 그렇게 진화나 진보를 잘했기에 한국은 지구에서 자살율이 끔찍하게 높은가? 게다가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가장 많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나라가 한국인데, 무슨 얼어죽을 진화나 진보인가? 배움터가 배움터답게 나아가도록 틀을 마련하는 우두머리란 보이지 않는다. 고작 대학입시 틀을 바꿀 뿐이다. 대학교 앞에서 줄세우기 하는 데에서 멈출 뿐인 이 나라 얼마나 진화하거나 진보했는가? 독재자 몇을 끌어내렸더라도 ‘탈을 쓴 새로운’ 독재자가 바보짓을 그대로 잇는다면, 이는 진화도 진보도 아니라고 느낀다. 그렇다고 ‘창조론’을 믿지도 않는다. 나는 그저 하나, “모든 삶은 우리가 스스로 지어서 누린다”고 느낀다. 내가 스스로, 네가 스스로, 우리가 스스로, 이 모든 지구라는 별을 지어서 저마다 다른 삶을 누리지 싶다. 그러니 거듭거듭 생각한다. 어떤 나라를 짓고 싶니? 어떤 별을 짓고 싶니? 어떤 보금자리를 짓고 싶니? 어떤 나다운 사람으로 나아가는 사랑을 짓고 싶니? 2019.10.22.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센스 있는 사진 : 나더러 “센스 있는 사진을 찍으시네요.” 하고 말하는 분이 있어, 살짝 할 말을 잃었다. “센스 있는”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길이 없더라. 잘 찍는단 소리인지, 느낌이 있단 소리인지, 한때를 바로 잡아챈다든지, 사랑스럽단 뜻인지 종잡지 못했다. 그저 내가 대꾸할 수 있는 말은 하나. “저는 필름으로 사진을 배우던 사람이에요. 디지털 사진을 찍더라도 필름으로 찍듯 한 칸 한 칸을 모두 아끼면서 찍어요. 필름값이 떨어진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잘못 찍거나 엉성하게 찍고 말아 다시 찍는 일이 없도록 꼭 한 칸만 찍고서 끝내려는 생각이에요. 찍고 싶은 모습을 잘못 찍거나 엉성하게 찍으면 자꾸 이 자리에 머물러야 해서, 다음 자리로 넘어가지 못해요. 우리가 찍을 모습은 끝도 없는데 한 자리에만 머무르면 새로운 모습도 새로운 길도 찾을 수 없어요. 언제나 한 칸 사진으로 한 가지 모습을 끝내고 다음으로 나아갈 길을 즐겁게 걷자는 생각으로 찍을 뿐입니다.” 2019.10.22.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글쓰는 가시내 : 글쓰는 가시내가 늘면서 온누리가 차츰차츰 거듭난다고 느낀다. 그러나 ‘글만 쓰는’ 가시내가 차츰 늘면서 ‘글만 쓰던’ 사내로 꽉 차던 무렵처럼 좀 갑갑한 모습도 드러난다. 생각해 보라. 글은 가시내가 쓰든 사내가 쓰든 대수롭지 않다. 아이가 써도 되고 어른이 써도 된다. 그런데 여태 이 나라 이 땅에서는 ‘살림도 사랑도 삶도 숲도 멀리한 채, 오직 글만 쓰는’ 사내가 판친 터라 글밭이 엉망이었다고 느낀다. 글을 쓰고 싶다면 ‘글만 써서’는 아니될 노릇이다. 글을 쓰고 싶다면, 먼저 살림을 익힐 길이다. 왜 있잖은가, 성룡이란 사람이 배우로 나와서 찍은 영화 〈취권〉이 잘 말해 준다. 스승이란 이는 성룡한테 무술에 앞서 ‘살림’을 스스로 익히도록 가르쳤다. 이다음으로는 ‘사랑(고요한 평화를 바탕으로 짓는 따스한 마음)’을 스스로 익히도록 가르쳤지. 밥을 짓고 옷을 다듬고 집을 돌보는 길을 익히고서 글을 쓰면 된다. 짝짓기를 넘어, 온누리 숨결을 아낄 줄 아는 사랑이 되고서 글을 쓰면 된다. 스스로 오늘 이곳을 똑바로 보면서 신나게 노래하는 하루를 짓고서 글을 쓰면 된다. 서울에 머물지 않는 몸이 되는, 다시 말해서 스스로 삶터를 숲으로 일구는 길이 되면서 글을 쓰면 된다. ‘글만 쓰는’ 사람이 넘실거리면 제아무리 글쓰는 가시내가 늘더라도 온누리는 거듭나지 못한다. 2019.10.9.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노래하는 꽃 : 노래하는 모든 분들 마음에 즐거운 이야기가 꽃처럼 피어나면 좋겠다. 노래하는 사람은 웃음꽃이든 눈물꽃이든, 꽃을 혀에 얹고 귀로 받으며 눈으로 바라보고 마음에 가꾸면 좋겠다. 마음에 꽃이 있으면 누구나 꽃노래를 부르겠지. 꽃그림을 그리고, 꽃글을 쓰고, 꽃사진을 찍고, 꽃살림을 가꾸겠지. 온누리를 바꿀 수 있는 힘은 들꽃이나 숲꽃 한 송이에 있다고 느낀다. 드센 물결로는 온누리를 바꾸지 않거나 못하리라. 왜? 드센 물결은 모든 지저분한 것을 쓸어내는 일, 청소를 한다. 온누리를 살기 좋도록 가꾸는 길이란 언제나 꽃손, 꽃눈, 꽃마음, 꽃말, 꽃노래로 어우러진 꽃살림을 피우는 꽃집이 모인 꽃마을에서 이룬다고 느낀다. 2019.10.22.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책 장만 : 스스로 책 한 자락을 즐거이 장만해서, 조곤조곤 소리를 내어, 가만가만 누려 보면 좋겠다. 그러면 다 알 수 있다. 겉치레인지 속사랑인지, 겉꾸밈인지 사랑씨앗인지 하나하나 알아챌 수 있다. 모든 꽃은 스스로 피어나며 아름답다. 모든 나무는 스스로 뿌리를 뻗고 자라면서 우람하다. 모든 풀은 스스로 새싹을 틔워 푸르게 노래하기에 사랑스럽다. 치를 값을 아끼면 얻을 수 없다. 2009.10.2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