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18) 통하다通 64 : 책읽기를 통해


책을 통해 내 아이가 고급의 어휘력, 반짝이는 창의력, 파고드는 집중력을 갖기를 말입니다 … 집중력을 돋워 주기 위한 책읽기를 통해 아이가 부모의 사랑을 온전히 느낄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박은영-시작하는 그림책》(청출판,2013) 16, 17쪽


 책을 통해

→ 책을 읽어

→ 책읽기로

→ 책으로

→ 책을 만나서

→ 책을 손에 쥐어

 …



  사람은 ‘책을 통해’ 배우지 않습니다. ‘책을 읽어’ 배웁니다. 책읽기는 책을 읽는 일이면서, 책을 만나는 일입니다. 책을 손에 쥐기에 책을 읽습니다. 책을 읽어 배운다고 할 적에는 ‘책으로’ 배운다고 말합니다.


  보기글을 보면 첫머리에는 ‘책을 통해’라 적은 뒤, 다음에는 ‘책읽기를 통해’라 적습니다. 글쓴이가 ‘通하다’라는 낱말에 깊이 사로잡혔구나 하고 느낄 만합니다.


  앞쪽이나 뒤쪽 모두 ‘책읽기로’로 손질할 만합니다. 앞쪽이든 뒤쪽이든 ‘책으로’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책이란 무엇이고 책읽기란 무엇인지 차근차근 생각을 기울이면서 말힘을 북돋울 수 있기를 빕니다. 4347.6.12.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책으로 내 아이가 더 나은 말힘, 반짝이는 슬기, 한곳을 파고드는 마음을 갖기를 말입니다 … 집중력을 돋워 주는 책읽기로 아이가 어버이 사랑을 오롯이 느끼기란 쉽지 않다


“고급(高級)의 어휘력(語彙力)”은 “더 나은 말힘”이나 “더 나은 말”로 다듬고, ‘창의력(創意力)’은 ‘슬기’로 다듬으며, “파고드는 집중력(集中力)”은 “한곳을 파고드는 마음”이나 “파고드는 힘”이나 “파고드는 몸가짐”이나 “파고드는 눈썰미”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돋워 주기 위(爲)한”은 “돋워 주는”으로 손질하고, “부모(父母)의 사랑”은 “어버이 사랑”으로 손질하며, ‘온전(穩全)히’는 ‘오롯이’나 ‘고스란히’나 ‘그대로’나 ‘옳게’로 손질합니다. “느낄 가능성(可能性)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느끼기란 어렵다”나 “느낄 수는 없다”로 손봅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17) 통하다通 63 : 섬진강을 통해


어쩌면 나는 감정이 메말라 섬진강을 통해 그것을 회복하려는 것인지도 모른다 … 섬진강을 통해 형성된 동일한 고향성이 마을을 지켜 온 것 때문이 아닐까

《조문환-네 모습 속에서 나를 본다》(북성재,2014) 29, 168쪽


 섬진강을 통해 회복하려는

→ 섬진강을 빌어 되찾으려는

→ 섬진강에서 되살리려는

→ 섬진강에 몸을 맡겨 살려내려는

 …



  섬진강을 따라 시골길과 냇길을 거닐던 글쓴이는 섬진강에서 삶을 보고 느끼며 배운다고 이야기합니다. 섬진강에서 무엇인가 되살리거나 되찾고 싶은 마음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렇지만 자꾸 “섬진강을 통해”라고 말합니다. “섬진강을 통해 형성된”이라고도 말하는데, ‘통하다’란 무엇일까요. 섬진강과 함께 이룬 삶이 아닐까요. 섬진강 곁에서 이룬 빛이 아닌가요. 섬진강 둘레에서 이룬 이야기요, 섬진강을 바탕으로 이룬 노래가 아닌가 싶습니다. 섬진강을 거닐면서 섬진강을 읽습니다. 섬진강을 찾으면서 섬진강을 느낍니다. 섬진강‘에서’ 꿈을 키우고 사랑을 만납니다. 4347.6.12.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어쩌면 나는 마음이 메말라 섬진강을 빌어 되살리려는지도 모른다 … 섬진강과 함께 이룬 똑같은 시골빛이 마을을 지켜 왔기 때문이 아닐까


‘감정(感情)’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마음’으로 다듬습니다. “그것을 회복(回復)하려는 것인지도”는 “이를 되살리려는지도”나 “되살리려는지도”로 손보고, ‘형성(形成)된’은 ‘이룬’으로 손봅니다. “동일(同一)한 고향성(故鄕性)”은 “똑같은 고향빛”이나 “똑같은 시골빛”으로 손질하고, “지켜 온 것 때문이”는 “지켜 왔기 때문이”로 손질해 줍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향은 어떤 곳일까. 오늘날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아이들이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는데, 도시가 고향인 아이들한테 ‘고향’이라는 낱말은 무엇을 가리킬까. 시골에서 태어나 자랐어도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시골내음을 마시기보다는 도시내음을 그리다가 훌쩍 도시로 가서는, 설과 한가위가 아니면 시골을 그리지조차 않는 사람들한테 고향이란 무엇이 될까. 오늘날 한국에서는 99%에 가까운 사람들이 도시에서 살아가는데, 아니 99.9%에 이르는 사람이 도시에 몰린 채 살아가는데, ‘고향’과 ‘시골’이라는 낱말은 어떤 뜻이나 느낌이 될까. 동요가 된 〈노을〉을 쓴 이동진 님이 빚은 그림책을 펼친다. 이동진 님은 이녁이 태어난 고향이나 시골이 아닌, 이녁이 어린 나날을 보냈음직한 고향이나 시골을, 또는 이녁이 젊은이나 어른이 되어 바라본 고향이나 시골을 《바람이 머물다 간 들판에》라는 그림책에 담아서 보여준다. 새마을운동이 한창 퍼지는 모습이 물씬 드러나는 고향이요 시골 이야기가 드리우는 그림책인데, 이 그림책에 서린 빛은 어떤 노래가 되어 아이들 가슴으로 젖어들 만할까. 아니, 무엇보다 오늘날 아이들 마음속에 ‘노을’이나 ‘들판’이나 ‘바람’ 같은 낱말이 들어설 틈이 있을까. 오늘날 어른들은 노을이나 들판이나 바람 같은 낱말을 아이한테 들려줄 겨를이 있을까. 오늘날 한국사람은 노을이나 들판이나 바람 같은 낱말을 섞어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쓰기는 할까. 4347.6.12.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한 줄 책읽기)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바람이 머물다 간 들판에
이동진 글.그림 / 봄봄출판사 / 2014년 4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5월 8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4년 06월 12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도서관 아왜나무


  지난날 초등학교였으나 문을 닫은 지 열 몇 해가 지난 곳에 우리 도서관이 있다. 우리 도서관이니 늘 드나들면서 나무를 바라본다. 예전에 초등학교가 있을 적에는 으레 가지치기를 받아야 했을 테지만,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나무는 가지치기에서 벗어난다. 나무결 그대로 자랄 수 있다.

  길가에 퍽 커다란 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를 눈여겨보는 이웃은 없다. 시골이라 어디에나 나무가 있기 때문일까. 나무를 눈여겨보는 이웃이 없으니, 꽃이 피건 열매가 맺건 쳐다보지도 않는다.

  네 해째 나무이름을 궁금하게 여기다가 유월에 하얗게 올망졸망 달린 꽃을 보고는 사진으로 찍는다. 사진으로 꽃을 찍어서 둘레에 여쭌다. 그리고, ‘아왜나무’라는 이름을 듣는다.

  아왜나무. 이름을 천천히 곱씹는다. 아왜나무는 언제부터 ‘아왜’였을까. 이 나무가 받은 이름은 어떤 뜻일까. 불이 붙으면 거품을 뿜으면서 불을 끈다고 하는 아왜나무라 하니, 어쩌면 이 나무는 ‘거품나무’라고도 할 만하다.

  꽃이 흐드러진 아왜나무 곁을 지나갈 때면 상큼한 꽃내음이 퍼져 발걸음을 멈춘다. 자전거로 달리다가도 ‘아, 상큼하네!’ 하고 느끼면서 얼른 세운다. 잎에도 줄기에도 가지에도 푸른 숨결을 그득 머금었기 때문에 꽃이 피면 더욱 푸른 냄새와 빛을 내뿜으면서 발걸음을 사로잡는지 모른다. 아왜나무가 자라는 곳은 더욱 싱그러우면서 맑은 바람이 불는지 모른다. 4347.6.12.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꽃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끼 제비를 바라보는 마음



  새끼 제비를 바라봅니다. 올해에는 우리 집 처마에서 새끼 제비가 몇 마리 깨어나서 자랄는지 궁금합니다. 지난해에는 농약바람에 휩쓸리면서 애써 깐 새끼들이 모두 죽었고, 그러께에는 다섯 마리가 깠습니다. 올해에는 얼핏설핏 보기로 세 마리까지는 틀림없이 보는데, 세 마리 뒤에 한두 마리가 더 있을까 궁금합니다.


  며칠 앞서까지 새끼 제비가 갹갹거리는 소리를 가늘게 들었습니다. 엊그제부터 새끼 제비 머리를 살몃살몃 들여다봅니다. 앞으로 며칠 더 있으면 머리에 반지르르한 털이 덮인 새끼 모습을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곧 새끼들이 올망졸망 바깥을 구경하느라 고개를 내미는 모습을 볼 테지요.


  암수 어미 제비는 먹이를 물어 나르느라 부산합니다. 새벽부터 저녁까지 쉬지 않습니다. 어미 제비는 먹이를 물어 나르면서 저희 배를 채울까요. 어미 제비는 새끼를 먹이느라 바쁘기에 저희 배를 채울 겨를은 없지 않을까요.


  튼튼하게 잘 지은 집을 더 튼튼하면서 포근하게 손질한 어미 제비입니다. 새끼 제비는 어미한테서 깊고 너른 사랑을 받아먹으면서 클 테고, 여름이 끝날 무렵 날개에 힘을 붙여 싱싱 마을과 들과 숲을 날다가, 가을이 찾아오기 앞서 바다를 가로질러 긴 마실을 떠나겠지요. 4347.6.12.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