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4.26. 쓰는 손은 하나여도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꿈은 문득 그려서 품습니다. 몸을 잊고서 마음을 읽는 어느 때에 가만히 씨앗을 스스로 빚어서 온넋으로 바라볼 적에 꿈이 깨어나서 천천히 싹틉니다. 오늘 하는 숱한 놀이나 일이나 살림은, 모두 누구나 예전에 스스로 그린 꿈씨입니다. 잘하거나 못하는 일은 없습니다. 겪으면서 배우는 일입니다. 훌륭하거나 못난 일이 아닙니다. 맞아들여서 생각하고 살피면서 배우는 일입니다.


  넉벌손질(4교)을 하는 《말밑 꾸러미》입니다. ‘우리말 어원사전’을 손수 쓰고 여밀 수 있으리라고는 어림조차 못 했지만, 꿈씨는 진작에 심었습니다. 1992년에 《민중서관 이희승 콘사이스 국어사전》을 두 벌째 다 읽고서 “이 따위로 엮는 엉터리가 우리나라 국어사전이라면, 내 손으로 제대로 엮고 말겠어.” 하고 혼잣말을 하면서 책상을 쾅 내리쳤습니다. 한창 ‘자율학습’이라면서 잿집(시멘트 덩어리 교실)에 갇힌 어느 날 저녁 아홉 시 무렵이었어요.


  그런데 이 꿈씨는 이날 바로 잊었습니다. 심기는 했되 잊었지요. 이태 뒤인 1994년에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들어갔고, 네덜란드말을 익혀서 옮김빛(통·번역)이라는 길을 가려 했지만, 네덜란드 낱말책조차 없는 곳이 ‘대학교’라는 허울뿐인 줄 느끼고서, 이 따위 대학교도 그만두어야겠구나 싶었고, 이듬해에 바로 싸움터(군대)에 들어갔습니다. 돈·이름·힘이 없는 여린 사내는 어쩔 길 없이 언제라도 끌려가야 한다면, 제발로 먼저 들어가겠다고 여겼어요.


  강원도 양구 멧골짝에서 스물여섯 달을 구르면서, ‘군의문사’와 ‘군대폭력’과 ‘군납비리’를 뼛골로 지켜보았고, 다시 대학교에서 열두 달을 보내면서 ‘운동권 문제’를 곁에서 보고는 너무 신물났습니다. 이러는 동안에도 날마다 몇 군데 헌책집으로 책읽기를 다녔어요. 주머니에 오천 원을 넣고서, “오천 원어치 책”을 날마다 사되, 돈이 안 되어 못 사는 책은 서서읽기를 했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앉은 적이 없습니다. 책값을 치르지도 못 하면서 앉을 수 없다고 여겼고, 얼른 서서읽기로 하나를 끝내야 다음 책을 읽을 수 있거든요.


  이무렵에 혼자 ‘사전짓기’를 익혀 가는데, “어떻게 우리나라는 우리말을 다루는 어원사전도 없지? 국어학자란 놈들은 다 뭐 하나?” 싶었어요. 고등학생 때처럼 새삼스레 “그러면 내가 써야 할까? 그런데 그냥 국어사전도 아닌 어원사전은 어떻게 써야 하지?” 하고 마음에 대고서 물었습니다.


  정부·대학교·연구소에 깃들지 않은 채 글을 쓰거나 책을 낸다면, 더더구나 낱말책을 묶자면, 밥벌이를 할 길이 까마득합니다. 이런 살림길이라서 다른 곁일을 끝없이 하는데, 곁일로도 버거운 살림은 으레 언니가 도왔고, 여러 책숲이웃(도서관 후원자)이 함께 도왔습니다.


  읽고 쓰고 새겨서, 새롭게 여미고 가다듬어서 쓰는, 이러한 낱말책짓기(사전편찬)는 한 사람이 하되, 어느 한 사람이 낱말책짓기를 하도록 돕는 숱한 사람들 마음과 손길과 숨결이 있기에, 그리고 곁님과 아이들이 함께 보금자리를 일구면서 살림노래를 부르기에, 게다가 시골에서 숲빛을 늘 머금으면서 새한테서 배우고 풀꽃나무한테서 배우고 바람한테서 배우고 바다랑 하늘이랑 흙한테서 배우니, ‘쓰는 손은 하나’이되, ‘쓰는 손을 돕는 숨결은 온·즈믄·골·잘’입니다.


  셈틀로만 넉벌손질을 하다가 벅차서 펴냄터에 종이로 뽑아 주십사 하고 여쭈었습니다. 펴냄터에서는 아예 미리책(가제본)으로 꾸며서 보내줍니다. 고맙게 흐르는 마음과 손길과 이바지를 기쁘게 맞이합니다. 큰아이는 “내 통장에서 100만 원쯤 뽑아 줄까요?” 하고 묻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안 받겠다고 하고 싶지만, “그러면, 30만 원을 도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하고 절을 합니다. 살림돈뿐 아니라, 고흥교육청에 ‘폐교 사용료’를 목돈으로 치러야 하기에, 푼푼이 이 돈 저 돈 한창 모읍니다. 아무튼, 마무리를 짓고, 고흥교육청에 목돈을 치르고, 기지개를 켤 즈음에, ‘우리말 어원사전’을 만나려나 하고 헤아리는 봄날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6.


《고릴라를 보려면》

 최영민 글, 삐삐북스, 2021.6.15.



다시 부슬부슬 비가 뿌린다. 큰아이하고 우리 책숲에 들르고서 이웃마을까지 들길을 걷는다. 그냥 비를 맞으면서 생각에 잠긴다. 오늘날 시골 논둑길은 잿빛으로 덮고서 짐수레가 지나다녀서 엉망이다. 지난날 논둑길은 사람하고 소하고 짐승하고 풀벌레가 다니면서 비날에도 느긋이 다닐 만했다. 둘이서 한참 거닐면서 예전에 보내고 놀던 이야기를 한다. 저녁에 비가 그치고 별이 살짝 돋는다. 《고릴라를 보려면》을 돌아본다. 오늘날 깊이 헤아릴 대목을 차근차근 짚는다고 느낀다. 다만, 몇 가지는 못 짚는다. 첫째, 시골을 모르고 못 짚는다. 둘째, 숲과 들과 바다 곁에서 숲들바다를 살피는 눈이 없다. 셋째, 말이 너무 어렵고, 일본말씨·옮김말씨를 못 추스른다. 고릴라를 보려면, 마음으로 볼 노릇이다. 숲과 마을을 보려면 마음으로 보아야지. 말과 글도 마음으로 볼 노릇이다. 마음이 없이 섣불리 부스러기(정보·지식)로 다가서려 하니 그르치기 일쑤이다. 어른들이 들려주는 부스러기를 머리에 담고서 “이렇게 바꿔야 해요!” 하고 외치는 아이들이지 않기를 빈다. 아이들 스스로 소꿉놀이를 하면서 “나는 이렇게 하면서 하루를 사랑해요!” 하고 노래하는 아이들이 태어나기를 빈다. 마음을 담는 말부터 씻어야 푸른별도 씻을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5.


《분단시대의 사회학》

 이효재 글, 한길사, 1985.10.20.



비는 그친 아침. 구름이 가득하다. 아침 일찍 면사무소로 두바퀴를 달린다. 시골에서 쓰레기를 줍는 두루일(공공근로)을 하는 할매할배가 옆마을 바깥채에 앉아서 쉰다. 면사무소를 들러서 집으로 돌아오며 보니 이분들은 다 그대로 있다. 숱한 두루일은 시늉이기는 하다. 낮부터 다시 빗줄기가 듣는다. 앵두꽃이 활짝 피고, 동박꽃도 나란히 피며, 꽃찔레도 잎이 나온다. 《분단시대의 사회학》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지난 2021년에 새판이 나오기도 했는데, 1985년부터 2024년 사이에도 우리 터전은 썩 안 바뀌었기에, 얼마든지 되새길 만하다. 여러 벼슬꾼이 바뀌고, 주먹꾼이 자리에서 물러나고, 순이는 바지를 마음껏 꿰고, 배움터에서 길잡이가 매를 휘두르는 일은 없다시피 하다. 그렇지만 골목집과 마을집이 사라지면서 잿집이 늘고, 한 집에 쇳덩이(자가용)를 두셋씩 거느리기도 할 뿐 아니라, 시골이 확 무너졌고, 아직 우리말을 쉽고 상냥하게 쓰는 살림길이 깃들지 못 한다. 돈은 늘었으나, 숲이 줄어든 이 나라이다. 배움터를 다닌 사람이 부쩍 늘지만, 풀꽃나무하고 들숲바다를 온몸으로 읽는 사람은 확 줄었다. 마음을 읽거나 사랑을 속삭이는 길이 줄면서, 겉치레가 늘어난다면, ‘분단사회’가 아닌 ‘죽음수렁’일 수 있다.


《분단시대의 사회학》(이이효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2.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4.


《사치코, 살아 있습니다 4》

 츠게 아야 글·그림, 미우, 2023.6.15.



엊저녁부터 내리는 비는 멎기도 하다가 내리기도 한다. 고즈넉하게 흐르는 하루이되, 밤부터 새벽 사이에는 숱한 멧새가 신나게 노래를 들려준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열 남짓 다른 멧새노래가 하나로 섞인다. 오늘도 《말밑 꾸러미》 석벌손질을 하는데 한참 멀었다. 서두르지 말자고, 느긋이 꼼꼼히 보자고 생각한다. 《사치코, 살아 있습니다 4》을 읽었다. 넷에서 맺는구나. 그림님이 앞서 선보인 《노다라고 합니다》는 첫머리는 볼 만했으나, 갈수록 길을 잃다가 어영부영 맺었는데, 《사치코》는 그리 어영부영은 아닌 듯하면서도, 길머리가 없이 헤매다가 맺는구나 싶다. 샛길과 어영부영을 줄거리로 보여주려는 뜻일 수 있으리라. 삶이라는 길을 구태여 바른길이나 반짝길로 가야 할 까닭이 없다. 다만, 어느 길이건 다 다르게 꽃길인 줄 알아보면 된다. ‘삶’은 좋은일도 나쁜일도 가리지 않고서 일어난다. 삶을 바라보며 가다듬기에 ‘살림’이다. 스스로 짓는 손길인 살림을 펴고 풀고 맺고 여미는 사이에 ‘사람’이란 무엇인지 생각한다. 이때에 스스로 눈을 빛내어 마음을 틔우니 ‘사랑’을 바라보면서 피어난다. 삶에서 멈추거나 맴돌면 ‘나’를 잊거나 잃으면서 떠돈다.


#?植文 #幸子生きてま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3.


《숲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윌리엄 재스퍼슨 글·척 에카르트 그림/이은주 옮김, 비룡소, 2000.5.1.



텃노랑민들레가 무럭무럭 오른다. 곁에서 제비꽃이 나온다. 앵두꽃망울이 몇 송이 벌어지고, 동박꽃도 함초롬하다. 큰아이랑 들길을 걸어 옆마을에 가서 시골버스를 타고 저잣마실을 간다. 삽질소리가 시끄럽고 매캐하다. 열 몇 해째 내내 뚝딱거린다. 무엇을 하려는 삽질이고, 시골은 돈을 어디다 쏟아붓는지 알쏭하지만, 이런 일이 끝없다. ‘삽질나라’는 이명박 혼자서 하지 않았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도 삽질나라였고, 김영삼·박근혜도 삽질나라였다. 누가 우두머리에 앉든 온나라가 구석구석 삽질로 돈벌이를 한다. 아이하고 기스락숲을 걷는다. 조금 돌더라도 부릉길 아닌 샛길로 가서 멧새노래를 듣는다. 저녁에는 다시 비가 온다. 《숲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되읽는다. 이 책을 처음 만나던 스무 해쯤 앞서를 떠올린다. 그때나 이때나 우리나라는 아직 이만큼 글그림을 여미어서 선보이기 어렵다. 글꾼도 그림꾼도 온통 서울·큰고장에 사는걸. 시골빛을 머금고서 숲빛을 노래하는 살림을 지을 줄 모르는 채 어떻게 ‘숲글·숲그림’을 펼 수 있을까? ‘서울에서 살며 새를 보는 책’은 꽤 나오지만, ‘시골에서 아이랑 살림을 지으면서 새랑 이웃하는 책’은 여태 못 본다. 겉으로만 훑으면 알맹이를 모르게 마련이다.


#How the Forest Grew #WilliamGJaspersohn #ChuckEckart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