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무늬한글


우리가 쓰는 모든 물은 흐르고 흘러서 갯벌에 이른 뒤에 바다로 스며듭니다. 뭍에서 정갈하게 살림을 짓는다면 개펄이 깨끗하고 바다가 맑아요. 뭍부터 어지럽게 뒹굴거나 망가뜨리면 뻘도 몸살을 앓고 바다도 고단합니다. 한쪽만 튼튼하지 않습니다. 몇몇만 나쁘지 않습니다. 아무리 살짝 앓거나 아프더라도 으레 모든 곳으로 퍼져서 나란히 고단합니다. 우리한테는 한글이 있는데, 어쩐지 무늬한글을 쓰는 분이 많아요. 겉보기로 사람이라는 탈이나 옷을 씌웠기에 사람이 아니듯, 무늬는 한글이되 우리글도 우리말도 아닐 수 있어요. 속살과 얼거리가 모두 알차고 아름답기에 우리글과 우리말입니다. 속빛과 매무새가 모두 참하고 착하기에 사람입니다. 슬쩍 흉내를 낸대서 사람이지 않습니다. 넌지시 이웃나라 말씨를 섞는다면 ‘한글토씨’일 뿐입니다. 이제는 이 땅도 바다도 하늘도 맑게 돌보는 마음으로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이제부터 마음도 말도 글도 밝게 가꾸는 길로 깨어나야지 싶습니다. 우리 몸을 이루는 피와, 구름을 이루는 비와, 이 별을 얼싸안는 바다는, 서로 다르되 하나인 숨빛입니다. 조금씩 손을 뻗어서 하나씩 가다듬어 봐요.


ㅅㄴㄹ


갯벌·개펄·뻘·펄·뻘밭 ← 간석(干潟), 간석지, 조간대(潮間帶)


토씨한글·토씨는 한글·토씨만 한글·힌글토씨·한글은 토씨·무늬한글·무늬는 한글·무늬만 한글·한글무늬·한글은 무늬 ← 국한문(國漢文), 국한문체(國漢文體), 국한문혼용, 국한문혼용체


군데·군데군데·곳·곳곳·샅·사타구니·사타리·조각·조금·몇몇·몇 곳·몇 군데·한곳·한데·한자리·한쪽·한켠·살그머니·살며시·살짝·살살·슬그머니·슬며시·슬쩍·슬슬·넌지시 ← 국부(局部), 국부적, 국소(局所), 국소적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낱채


같이 하는 일이 있습니다. 고루 나누면서 일손을 덥니다. 함께 일하다 보면 여러 일을 두루 느끼면서 다함께 마음을 주고받습입니다. 작은일을 거들면서 한결 가볍습니다. 큰일을 나란히 맡으면서 짐을 덥니다. 오늘이 흘러 또다시 어제로 간다면, 오늘을 맞이하면서 모레가 눈앞에 있습니다. 모든 날은 맞물립니다. 오늘이기에 어제하고 모레를 잇고, 오늘을 살아가면서 아침과 저녁이 맞닿습니다. 오고가는 하루마다 이야기를 남깁니다. 해와 바람을 아울러서 풀잎이랑 나뭇잎에 담고, 비와 눈이 어울리다가 철이 새롭게 흐릅니다. 다닥다닥 모인 집채에서라면 돌개바람을 다같이 견딥니다. 따로따로 낱채라면 호젓이 하늘바라기를 하는 보금터입니다. 동틀녘에 일어나서 여러모로 추스르는 살림집입니다. 저물녘에 느긋이 자리를 깔면서 이럭저럭 마무리를 하는 수수집입니다. 개미한테도 지렁이한테도 집이 있어요. 나비나 풀벌레라면 들과 숲이 모두 집일 수 있어요. 갓 깨어난 어린 새한테 먹이를 물어다 나르는 어미 새가 부산합니다. 이래저래 온힘을 쏟습니다. 둥지를 쉬잖고 드나드는 날갯짓을 바라보면서 나도 덩달아 새로 힘을 내자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같이·고루·두루·함께·다같이·다함께·더불어·덩달아·더·더하다·덤·덧대다·덧바르다·덧붙다·나란하다·넣다·또·또한·또다시·-하고·-랑·-과·-도·거들다·곁들다·딸리다·붙이다·신다·입다·양념·얹다·여미다·엮다·오가다·오고가다·주고받다·아울러·어울려·모처럼·이래저래·이럭저럭·여러모로·그럭저럭 ← 겸(兼), 겸비(兼備), 겸사(兼事). 겸사겸사, 겸하다(兼-)


집·집채·집더미·집덩이·낱집·낱채·둥지·둥우리·보금자리·보금터·살림집·수수집·여느집 ← 주택(住宅)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마음


모든 노래에 흐르는 가락은 우리 마음입니다. 슬프거나 기쁘다고 여기는 마음을 가락에 얹어요. 신가락이나 신명가락일 수 있고, 눈물노래나 슬픔노래일 수 있습니다. 모든 글에 감도는 빛은 우리 마음입니다. 반갑거나 아프다고 여기는 빛을 글로 옮겨요. 기쁨글이나 웃음글일 수 있고, 멍울글이나 고름글일 수 있습니다. 누구나 넋을 입은 몸입니다. 우리 얼은 반짝이는 냇물이나 바닷물처럼, 서로 다르게 퍼지는 숨빛이 피어나는 윤슬이라고 할 만합니다. 온누리에는 떠돌별이 있고, 우리 둘레에는 떠돌새가 있어요. 씨앗을 퍼뜨리는 꽃이라면 떠돌꽃일 테고, 언제나 마실을 다니는 하루라면 떠돌깨비일 테지요. 몸뚱이만 멀쩡하기에 숨꽃이지 않습니다. 숨은 붙었되 죽은넋이나 죽은빛인, 감은눈이자 감은얼인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고요히 빛나는 고요숨인 줄 알아보려고 하지 않기에 그만 숨통이 끊어져요. 흔들릴 적마다 하늘꽃을 온마음에 담을 노릇입니다. 고단할 적마다 하늘빛을 온몸에 실을 일입니다. 뻗어나가는 아침해 빛발처럼, 가락꽃을 담는 바람처럼, 마음꽃을 틔우면서 기운을 차립니다. 스스로 노래하기에 스스로 노을빛입니다.


ㅅㄴㄹ


신가락·신명가락·신노래·신명노래·널노래·널가락·가락꽃 ← 재즈


넋·넋빛·넋아이·얼·윤슬·님·마음·마음꽃·빛·빛결·빛기운·빛값·빛꽃·빛살·빛발·빛줄기·떠도는넋·떠돌이넋·떠돌다·떠돌별·떠돌새·떠돌님·떠돌빛·떠돌꽃·떠돌이·떠돌깨비·목숨·숨·숨결·숨빛·숨길·숨꽃·숨통·숨붙이·숨소리·하늘꽃·하늘빛·죽은넋·죽은빛·죽은이·감은눈·감은빛·감은님·감은넋·감은얼·고요·고요넋·고요꽃·고요빛·고요숨·고요잠·고즈넉하다·뻗다·뻗어나가다·뻗치다 ← 영혼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살핌길


나한테 맞는 얼개가 있고, 너한테 어울리는 틀이 있어요. 너랑 나를 맺는 사잇목을 두고, 부드러이 잇는 곬을 냅니다. 둘레를 하나하나 본다면 디딤길을 다스리고 살핌길을 꾸릴 만합니다. 아직 길눈이 안 밝더라도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이 길에서 헛디딜 수 있고,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수 있어요. 한창 살펴보다가 어긋날 때가 있고, 두리번두리번하다가 끝날 수 있어요. 모르는 줄 알아보기에 돌아봅니다. 나라책숲에도 가고, 큰책숲에도 갑니다. 마을책숲에도 가고, 작은책숲에도 드나들어요. 어디에서나 알음길을 가꿉니다. 앞선 어른이 여민 꾸러미를 읽기도 하고, 스스로 풀꽃나무하고 들숲바다를 헤아리기도 합니다. 둘레를 찾으면서 짚어 가노라면 천천히 눈을 뜰 만합니다. 우리 마을에서 찾아봅니다. 이웃 고장에서 둘러봅니다. 모든 곳은 저마다 징검다리이니, 느긋이 생각하면서 길꽃을 펴려고 합니다. 앞뒤를 어우르는 흐름을 읽어요. 이 자리하고 저 마당하고 얽힌 이음길을 곱씹습니다. 일머리를 추슬러서 차근차근 일굽니다. 차곡차곡 밟아 가면 어느덧 깨달을 테고, 환하게 웃고 노래하는 살림길을 걸어가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얼개·얼거리·틀·틀거리·사잇목·샛목·곬·길·길눈·길꽃·앞뒤·자리·판·흐름·밟다·이음길·잇는길·줄·일머리·디딤돌·디딤길·디딤칸·징검다리·징검돌·징검길 ← 행정절차


살피다·살펴보다·알아보다·찾아보다·돌아보다·둘러보다·둘레보기·둘레찾기·마을보기·마을찾기·고을보기·고을찾기·고장보기·고장찾기·짚다·톺다·헤아리다·살핌길·살핌꽃·알음길·알음꽃 ← 현장조사, 현지조사


나라책숲·나라책숲집·열린책숲·열린책숲집·큰책숲·큰책숲집·큰책밭·큰책터 ← 공공도서관, 국립도서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안학교



 아이의 미래를 생각해서 대안학교를 고려한다 → 아이 앞날을 생각해서 다른길을 살핀다

 대안학교를 선택하려고 준비한다 → 새배움터로 가려고 한다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열린배움터를 부쩍 눈여겨본다


대안학교 : x

대안(代案) : 어떤 안(案)을 대신하는 안

학교(學校) : [교육] 일정한 목적·교과 과정·설비·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 학원



  다르게 가른 ‘다른길’이 있고, ‘다른배움’이 있습니다. 이대로는 낡은 틀이나 굴레일 테니, ‘새길·새곳’을 찾고, ‘새배움’을 펴려고 합니다. 누구나 날갯짓을 펴는 배움길을 바라기에 ‘열린배움터’를 살핍니다. ㅅㄴㄹ



대안학교는 말 그대로 ‘대안적인’ 교육을 실천하는 배움터

→ 다른배움은 말 그대로 ‘다르게’ 펴는 배움터

→ 새배움터는 말 그대로 ‘새로’ 일구는 배움터

→ 다른길은 말 그대로 ‘다르게’ 나누는 배움터

→ 새길은 말 그대로 ‘새’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윤성근, 이매진, 2009) 78쪽


농사일을 하며 근처에 있는 대안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논밭일을 하며 둘레 새배움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흙을 일구며 가까운 새길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 280쪽


곳곳에서 대안학교가 등장하고, 가정학교가 늘어나고, 교육이 한 발씩 달라지고 있었지만

→ 곳곳에서 다른길이 나오고, 집배움이 늘어나고, 배움길이 한 발씩 달라지지만

→ 곳곳에서 새길이 나오고, 스스로길이 늘어나고, 배움판이 한 발씩 달라지지만

《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한울림, 2021)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