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살핌길
나한테 맞는 얼개가 있고, 너한테 어울리는 틀이 있어요. 너랑 나를 맺는 사잇목을 두고, 부드러이 잇는 곬을 냅니다. 둘레를 하나하나 본다면 디딤길을 다스리고 살핌길을 꾸릴 만합니다. 아직 길눈이 안 밝더라도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이 길에서 헛디딜 수 있고,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수 있어요. 한창 살펴보다가 어긋날 때가 있고, 두리번두리번하다가 끝날 수 있어요. 모르는 줄 알아보기에 돌아봅니다. 나라책숲에도 가고, 큰책숲에도 갑니다. 마을책숲에도 가고, 작은책숲에도 드나들어요. 어디에서나 알음길을 가꿉니다. 앞선 어른이 여민 꾸러미를 읽기도 하고, 스스로 풀꽃나무하고 들숲바다를 헤아리기도 합니다. 둘레를 찾으면서 짚어 가노라면 천천히 눈을 뜰 만합니다. 우리 마을에서 찾아봅니다. 이웃 고장에서 둘러봅니다. 모든 곳은 저마다 징검다리이니, 느긋이 생각하면서 길꽃을 펴려고 합니다. 앞뒤를 어우르는 흐름을 읽어요. 이 자리하고 저 마당하고 얽힌 이음길을 곱씹습니다. 일머리를 추슬러서 차근차근 일굽니다. 차곡차곡 밟아 가면 어느덧 깨달을 테고, 환하게 웃고 노래하는 살림길을 걸어가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얼개·얼거리·틀·틀거리·사잇목·샛목·곬·길·길눈·길꽃·앞뒤·자리·판·흐름·밟다·이음길·잇는길·줄·일머리·디딤돌·디딤길·디딤칸·징검다리·징검돌·징검길 ← 행정절차
살피다·살펴보다·알아보다·찾아보다·돌아보다·둘러보다·둘레보기·둘레찾기·마을보기·마을찾기·고을보기·고을찾기·고장보기·고장찾기·짚다·톺다·헤아리다·살핌길·살핌꽃·알음길·알음꽃 ← 현장조사, 현지조사
나라책숲·나라책숲집·열린책숲·열린책숲집·큰책숲·큰책숲집·큰책밭·큰책터 ← 공공도서관, 국립도서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