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세뱃돈 2024.2.4.해.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이라는 설날이면, 아이들은 웃어른을 찾아다니면서 절을 했어. 지난해를 되새기고 새해를 그리는 마음을 여러 말씀으로 듣고서 절값을 받기도 해. 절값이란, 아이들이 스스로 한 해를 새롭게 그리면서 어질게 길을 펴러 할 적에 밑자락으로 삼으라는 돈이지. 요즈음은 다를 수 있지만, 예전에는 아이들이 돈을 얻거나 누릴 일이 드물거나 없어. 절값을 받고서 주전부리로 몽땅 쓰는 아이도 있지만, 그동안 주린 배를 한동안 채우는 일도 좋겠지. 어느 아이는 절값을 푼푼이 모아서 목돈을 이룰 테고, 집살림에 보탠다든지, 동무나 이웃을 바라지하는 자리에 쓰기도 해. 절값을 내어주는 어른들은 한 해 동안 아이들을 눈여겨보았어. 새해 새절을 받으며 다시 한 해 동안 가만히 지켜본단다. 아이마다 무엇을 잘하거나 못하는가를 지켜보거나 가리지 않아. 아이마다 어떻게 다른가 지켜보면서, 이 아이들이 마음을 쓰는 길을 말없이 바라본단다. 누가 짚거나 따지기에 곧장 알아차리면서 받아들이거나 바꾸는 아이가 있어. 누가 짚으면 불뚝거리거나 싫어하는 아이가 있어. 스스로 하루를 그리면서 배우는 아이는, 어떤 말도 귀여겨들으면서 스스로 살찌워. 어떤 말도 귓등으로 넘기는 아이는, 하루그림이 없으면서 눈치를 참 많이 본단다. ‘절’이란, 온몸을 접으면서 올리는 마음이야. 온마음이 아닌, 겉으로 돈만 바라는 굽신질은, 아이 스스로 제 길을 갉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159 향기 2023.9.28.



들깨밭에는 들깨내음

딸기밭에는 딸기내음

능금밭에는 능금내음

시금치밭은 시금치내


가을들을 가로질러 가면

갓 지은 가마솥밥 냄새

달개비꽃 곁에 앉으면

파랗게 하늘내 바람내


아기는 부드러이 젖내

어린이는 노느라 땀내

어른은 일하며 웃음내

우리는 함께 향긋하게


여름은 잎내음으로 푸르다

겨울은 눈냄새로 새하얗다

봄은 꽃내 물씬 말갛다

가을은 들빛으로 푸근하다


ㅅㄴㄹ


맡기에 부드러우면서 즐겁게 퍼지는 기운을 우리말로 ‘향긋하다’라 하고, 한자말로는 ‘향(香)·향기(香氣)’라 합니다. 코로 맡으면서 느끼는 기운은 ‘내·내음·냄새’라 하고요. 꽃은 ‘꽃내·꽃내음·꽃냄새’요, 잎은 ‘잎내·잎내음·잎냄새’입니다. 모든 것과 곳에는 저마다 그곳에서 스스로 살아온 나날이 있어요. 이러한 기운을 코로 맡는데, 다 다르기에 다 다르게 나는(나오는) 빛인 ‘내·내음·냄새’예요. 그런데 사람은 모두 다르니, 누구는 이 냄새가 마음에 들고, 누구는 이 내음을 마음에 안 들어하지요. 마음에 들면 ‘좋은내’일 테고, 마음에 안 들면 ‘나쁜내’라 여기는데, 내가 반기더라도 둘레에서 꺼릴 수 있어요. 둘레에서 즐기더라도 나는 싫거나 괴로울 수 있어요. 바람을 품어 바람내음이 일어납니다. 해를 받아들여 햇내가 일어납니다. 비오는 날에는 비냄새가 퍼져요. 풀꽃나무를 비롯해서, 흙에도 모래에도 돌에도 다 다르게 내음이 퍼집니다. 들에는 들내음이, 숲에는 숲내음이, 바다에는 바다내음이 있어요. 우리는 서로 어떤 마음빛과 몸빛으로 마주할 적에 아름다울는지 생각해 봅니다. 참하고 곱고 착한 사람내는 무엇일까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뺄셈 2024.1.27.흙.



나이를 먹을 적에는 목숨이 줄지 않아. “살아갈 날”이 줄어든다고 여긴다면, 하루를 그리는 마음이 없다는 뜻일 테지. 날마다 새로 맞이하는 하루를 그리는 마음이라면, 늘 “살아갈 날”을 스스로 품으니, “목숨이 줄어드는 몸”이 아닌, “목숨에 담는 하루”가 늘어난단다. 새로 태어난 아기는 “태어난 날부터 목숨이 줄어드는 수렁”이 아닌, “태어난 날부터 숨소리를 이어서 삶을 누리는 길에 늘어나는 빛”을 누린단다. 그렇지만 적잖은 사람들은 나이를 먹을 적마다 ‘뺄셈’이라 여기는구나. 무엇을 빼려는 마음일까? 스스로 목숨을 빼며 즐거울까? 살을 빼야 몸이 가볍지 않아. 살을 빼려는 사람은 목숨을 뺀다는 마음하고 같아. 군살을 빼려 하지 말고, 이제부터 어떤 새몸으로 바꾸어 가려는지 그리면 돼. 나아갈 새몸을 그리기에, “스스로 그린 새몸”으로 바꾸지. 누가 바꾸느냐고? 스스로 바꿔. 마음에 꿈을 심은 스스로 꿈길을 걷는단다. 꿈을 그리지 않는 사람은 ‘나이먹기’를 하면서 늙으니까, 몸 곳곳이 다 낡아. 꿈을 그리는 사람은 ‘삶을 누리면서 살림을 익히기’를 하면서 생각을 지으니까, 몸이 온통 새롭게 깨어나. 나쁘거나 거추장스럽거나 무겁기에 빼내지 않아. 쓸 일이 없다고 여기기에 ‘쓸 살림’을 챙길 뿐이야. 무엇을 곁에 두거나 속으로 품으면서 어떤 하루를 보낼 마음인지 생각하렴. 네가 짓는 생각은 네 마음을 빛내고, 빛나는 마음이 물결치면서 밝고 가벼이 움직이는 몸을 누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새기는 2024.1.28.해.



스스로 하는 말은 스스로 새기는 앞길이야. 네가 스스로 입을 거쳐 소리를 낸 그대로, 네가 앞으로 맞이할 길이 나타나고, 네가 오늘까지 걸은 길이 바뀌어. 스스로 머리에 띄우는 그림은 네가 이루거나 일구는 모습이야. 어떤 모습이든 네가 띄우는 대로 나타난단다. 미움도 네가 그려내어 짓지. 사랑도 네가 그려내어 샘솟아. 몽글몽글 일어나려는 ‘생각’이야. 그대로 이어가려는 ‘새김·새기다’야. 아침마다 마음에 무엇을 새기는지 헤아려 봐. 낮 내내 마음에 무슨 생각이 흐르는지 살펴봐. 저녁에 마음에 담은 그림을 떠올려 봐. 온하루에 흐른 말을 지켜보면서, 남이 아닌 나 스스로 마음을 어떻게 다루거나 폈는지 느껴 봐. 네 삶은 네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자취야. 네 마음은 네 삶을 스스로 새긴 무늬야. 좋거나 나쁘지 않아. 옳거나 틀리지 않아. 맞거나 어긋나지 않아. 온통 배울거리야. 무엇을 그렸건, 무엇을 했건, 무엇을 보고 느끼고 담았건, 이 모든 그림과 하루를 다시 생각하고 새기기에 ‘바뀌’거나 ‘새로울’ 수 있어. 잎이 새로 돋고, 잎이 새숨을 불어넣어. 어느새 일을 이루고, 어느틈에 이야기가 흘러. 어느덧 지나가고, 생생하게 나타나서 새록새록 돌아볼 수 있어. 네 앞에 생겨나는 모든 일이란, 네가 스스로 새긴 마음이요, 이리하여 마음에서 싹트는 생각이 문득 삶으로 드러난다는 얼거리를 읽는다면, 처음부터 아무 말이나 안 하겠지. 이제부터 새롭게 말을 할 테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떡 하나 : 우리 옛말에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가 있다. 하늬녘 예수님이 멧숲에서 들려주었다는 “미우니 사랑하라”하고 같은 얼거리이자 뜻이다. 미운 아이한테 떡 하나를 더 줄 적에는 오롯이 사랑일 노릇이다. 사랑이 없이 떡을 한둘이나 서넛 더 준들 안 반갑고 안 즐겁다. 옹글게 사랑으로 떡 하나를 더 주기에 모든 앙금에 고름에 생채기를 씻는다. 그런데 수수한 한 마디인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나 “미우니 사랑하라”를 몸소 보이거나 가르치거나 들려주거나 펴는 어른이 참으로 드물다. 밉다고 여기는 쪽을 삿대질로 깎아내리는 꼰대가 넘친다. 미운 짓만 골라서 하는데 어떻게 사랑하느냐며 되레 따지는 꼰대가 넘실댄다. ‘예수님 말씀’이나 ‘하느님 말씀’이라고 하더라도 도무지 안 받아들이는 꼰대가 가득하다. 울고 보채기만 하는 아기한테 젖을 물리기에 어버이라는 삶이다. 말을 할 줄 모르면서 울고 보채는 아이를 그저 사랑으로 달래고 다독이기에 어버이라는 살림이다. 밉다고 여길 만한 일이 눈앞에 나타나거나 생길 적에, 곧장 마음에 사랑이라는 씨앗을 품고서 상냥하게 마주하면서 풀어내려는 길을 한 발짝 내딛는다면, 이때에 비로소 ‘어른’이라는 이름을 쓸 수 있다. 어른이 아닌 사람은 얼뜨기요, 철바보요, 칭얼쟁이일 뿐이다. 2004.1.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